$\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선원의 사회적 정체성이 이직의사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Seafarers' Social Identity on Turnover Intention 원문보기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Journal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v.35 no.10, 2011년, pp.829 - 836  

김정만 (한국해양대학교 해사수송과학부) ,  이도화 (동아대학교 경영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선원의 사회적 정체성의 선행요인(사회화, 사회적지지, 조직지원인식, 조직내 지위)이 사회적 정체성을 통해 이직의사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를 실증적으로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선원 362명으로부터 회수한 설문자료를 공분산구조분석 방법으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선원의 사회적 정체성이 높을수록 이직의사가 감소한다. 둘째, 선원의 사회화, 사회적지지, 조직지원인식이 높을수록 선원의 사회적 정체성이 강화된다. 셋째, 사회화와 사회적 지지는 사회적 정체성을 통해서만 이직의사를 감소시키지만, 조직지원인식은 간접적인 효과와 함께 직접적으로도 이직의사를 낮추는 역할을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empirically identify how the antecedents of seafarers' social identity(i.e., socialization, social support,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status in organization) affect turnover intention via social identity. In order to achieve this objective, this study conducted covarianc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연구는 이런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해운의 역군인 선원이 해상 선원직을 이탈하는 이직의 원인을 다루고자 한다. 구체적으로는 선행연구(김정만ㆍ이도화, 2011)에 의할 때, 선원들이 이직하는 주요 원인은 임금과 근로조건 만족도, 선원의 사회적 정체성, 경력비전에 대한 만족, 그 외 다수의 인구통계적 특성들로 나타났는데, 이 연구는 선원의 사회적 정체성의 선행요인이 무엇이며, 이들이 사회적 정체성을 통해 이직의사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를 실증적으로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이 연구는 경제발전에 따라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선원의 이직현상이 발생하는 원인을 사회적 정체성 관점에서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선원들에 대한 설문자료를 공분산구조분석 방법으로 분석한 결과, 먼저 선원의 사회적 정체성이 높을수록 이직의사가 증가한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이 연구는 이런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해운의 역군인 선원이 해상 선원직을 이탈하는 이직의 원인을 다루고자 한다. 구체적으로는 선행연구(김정만ㆍ이도화, 2011)에 의할 때, 선원들이 이직하는 주요 원인은 임금과 근로조건 만족도, 선원의 사회적 정체성, 경력비전에 대한 만족, 그 외 다수의 인구통계적 특성들로 나타났는데, 이 연구는 선원의 사회적 정체성의 선행요인이 무엇이며, 이들이 사회적 정체성을 통해 이직의사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를 실증적으로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가설 설정

  • 가설 1 : 사회적 정체성이 높을수록 선원의 이직의사가 감소할 것이다.
  • 가설 2 : 사회화가 많이 이루어질수록 선원의 사회적 정체성은 증가할 것이다.
  • 가설 3 : 사회적 지지가 높으면 선원의 사회적 정체성은 증가할 것이다.
  • 가설 4 : 조직지원인식이 높을수록 선원의 사회적 정체성은 증가할 것이다.
  • 가설 5 : 조직내 지위가 높을수록 선원의 사회적 정체성은 증가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선원의 감소의 영향은 어떠한가? 우리나라의 해운과 해운관련 산업에서 선원이 차지하는 비중은 매우 높다. 역사적으로 보면, 과거의 해운 국가였던 유럽의 스페인, 포르투갈, 또는 영국이나 근대화 이후 새로운 해운의 강자로 부상했던 일본이 이제는 해운, 조선 및 연관 산업 분야에서 그 주도적 지위를 거의 잃어버리고 명맥만을 유지하고 있는 큰 이유 중 하나는 해운이나 조선 및 그 연관 산업의 주체인 선원의 감소이다. 이와 같이 해운과 해운 관련 산업분야에서 그 일선에서 근무하는 선원의 역할은 매우 중요하지만, 육상에 서의 산업 발전으로 육상 일자리가 많아지고, 바다를 항해하는 고립된 선박에서 생활해야하는 등 해상 근로조건의 취약성으로 인하여 앞서 언급한 유럽 국가들이나 일본과 같이 우리나라 역시 선박 보유량은 증가하는데 반해 선박에 승선해야 할 선원의 수는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추세이다.
선원의 감소의 이유는 무엇인가? 역사적으로 보면, 과거의 해운 국가였던 유럽의 스페인, 포르투갈, 또는 영국이나 근대화 이후 새로운 해운의 강자로 부상했던 일본이 이제는 해운, 조선 및 연관 산업 분야에서 그 주도적 지위를 거의 잃어버리고 명맥만을 유지하고 있는 큰 이유 중 하나는 해운이나 조선 및 그 연관 산업의 주체인 선원의 감소이다. 이와 같이 해운과 해운 관련 산업분야에서 그 일선에서 근무하는 선원의 역할은 매우 중요하지만, 육상에 서의 산업 발전으로 육상 일자리가 많아지고, 바다를 항해하는 고립된 선박에서 생활해야하는 등 해상 근로조건의 취약성으로 인하여 앞서 언급한 유럽 국가들이나 일본과 같이 우리나라 역시 선박 보유량은 증가하는데 반해 선박에 승선해야 할 선원의 수는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추세이다. 현재 그 공백을 동남아시아의 개발도상국 선원으로 충당하고 있지만, 결과적으로 해운과 해운관련 산업에 대한 우리의 노하우는 우리가 유럽이나 일본으로부터 이전 받았듯이 점점 우리의 후발주자에게 이동해 가고 있는 실정이다.
선원의 사회적 정체성의 선행요인(사회화, 사회적지지, 조직지원인식, 조직내 지위)이 사회적 정체성을 통해 이직의사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에 대해 분석한 결과는 어떠한가? 선원 362명으로부터 회수한 설문자료를 공분산구조분석 방법으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선원의 사회적 정체성이 높을수록 이직의사가 감소한다. 둘째, 선원의 사회화, 사회적지지, 조직지원인식이 높을수록 선원의 사회적 정체성이 강화된다. 셋째, 사회화와 사회적 지지는 사회적 정체성을 통해서만 이직의사를 감소시키지만, 조직지원인식은 간접적인 효과와 함께 직접적으로도 이직의사를 낮추는 역할을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김도형.서균석.김태형(2011). 학습동기, 경력계획 및 조직지원인식에 따른 경력정체와 이직의도간 관련성. 대한경영학회지, 24(5), 2571-2597. 

  2. 박래효.김경수(2006). 노동조합원의 노조특성에 대한 지각이 노동조합참여에 미치는 영향: 상대적 박탈감, 사회정체성, 집단효능감을 중심으로. 인사.조직연구, 14(3),pp. 1-40 

  3. 박은철?이도화(2011). 근로자의 가치성향이 노조정체성과 노조참여행동에 미치는 영향. 산업경제연구, 24(1),pp. 371-390. 

  4. 오선민(1997). 사회화 관련 학습이 조직몰입,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비서학논총, 6, pp. 137-160. 

  5. 장용선.문형구.박준형(2010). 직무배태성, 직무탐색, 이직의도와의 관계에 대한 연구. 한국인사관리학회추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6. 전기호.이병규.박헌준(2010). 사회적 네트워크, 협조적행동, 그리고 사회적 정체성. 한국인사조직학회 춘계학술연구발표회 발표논문집. 

  7. 차종석(2011). 조직사회화의 선행요인과 이직의도의 관계: R&D 인력을 대상으로. 대한경영학회지, 24(5),pp. 2549-2569. 

  8. Abrams, D., & Hogg, M. A. (2001). Collective identity: Group membership and self-conception. In M. A. Hogg & R. S. Tindale (eds.), Blackwell handbook of social psychology: Group processes, pp. 425-460). Malden, MA: Blackwell. 

  9. Berger, J., & Zelditch, M., Jr. (1998). Status, power, and legitimacy: Strategies and theories. New Brunswick, NJ: Transaction. 

  10. Carsten, J. M., & Spector, P. E.(1987). Unemployment, job satisfaction and employee turnover: A meta-analytic test of Muchinsky model.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72, 374-381. 

  11. Chan, D.(1996). Cognitive misfit of problem-solving style at work: a facet of person-organization fit.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Decision Processes. 68, pp. 194-207. 

  12. Chao, G. T., O'Leary-Kelly, A. M., Wolf, S., Klein, H. J., & Gardner, P. D. (1994).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Its contents and consequence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79(5), pp. 730-743. 

  13. Chatman, J. A. (1991). Matching people and organization: Selection and socialization in public accounting firms.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36, pp. 459-484. 

  14. Cobb, S. (1976). Social support as a mediator of life stress. Psychosomatic Medicine, 38, pp. 300-314. 

  15. Eisenberger, R., Huntington, R., & Sowa, D. (1986).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71(3), pp. 500-507. 

  16. Fisher, C.(1986).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An integrative review. In K. Rowland & G. Ferris (eds.), Research in personnel and human resource management, 4, pp. 105-109, Greenwich, CT: JAI Press. 

  17. Hom, P. W., & Griffeth, R. W. (1991). Structural equations modeling test of a turnover theory: Cross-sectional and longitudinal analysi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76(3), 350-366. 

  18. Louis, M. R.(1980). Surprise and sense-making: What newcomers experience in entering unfamiliar organizational setting. Administrative Quarterly, 25(2), pp. 26-51. 

  19. March, J. G., & Simon, H. A.(1958). Organizations. New-York: Wiley. 

  20. Mitchell, T. R., & Lee, T. W. (2001). The unfolding model of voluntary turnover and job embeddedness: Foundations for a comprehensive theory of attachment," Research in Organizational Behavior, 23, pp. 189-246. 

  21. Mitchell, T. R., Holtom, B. C., & Lee, T. W., Sablinsky, C. J., & Erez, M. (2001). Why people stay: using job embeddedness to predict voluntary turnover.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44(6), pp. 1102-1121. 

  22. Mobley, W. H. (1977). Intermediate linkag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employee turnover.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62, pp. 237-240. 

  23. O'Reilly, C. W., Chatman, J., & Caldwell, D. F. (1991). People and organizational culture: A profile comparison approach to person-organization fit.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34, pp. 487-516. 

  24. Price, J. L., & Muller, C. W.(1981). A causal model of turnover for nurses.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24, 711-722. 

  25. Steers, R. M., & Mowday, R. T.(1981). Employee turnover and postdecision accommodation process. In L. L. Cummings & B. M. Staw (eds.). Research in Organizational behavior, 3, pp. 235-281. Greenwich, CT: JAI Press. 

  26. Vilanova, P., Bernardin, H., Johnson, D., & Dahmus, S. (1994). The validity of a measure of job compatibility in the prediction of job performance and turnover of motion picture theater personnel. Personnel Psychology, 47, pp. 73-9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