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녹두가루 첨가 비율에 따른 청포묵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Cheongpomook Prepared with Different Levels of Mungbean Powder 원문보기

한국생활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v.20 no.6, 2011년, pp.1229 - 1237  

김애정 (경기대학교 대체의학대학원 대체의학과) ,  한명륜 (혜전대학 식품영양과) ,  노정옥 (전북대학교 식품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Cheongpomook prepared with five different levels of mungbean powder (0, 25, 50, 75, and 100%). We conducted the Hunter's color values, the rheological characteristics, sensory evaluations, and pasting properties of the Cheon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녹두가루 첨가 수준에 따른 청포묵의 관능평가는 식품영양학을 전공하는 훈련된 대학원생 요원으로 20명을 대상으로 시료의 관능적인 특성에 대하여 평가하도록 하였다. 평가 시 사용한 척도는 7점 기호 척도로 특성이 좋을수록 높은 점수를 기록하는 방법으로 매우 나쁘면 1점부터 매우 좋으면 7점까지 기록하도록 하여 맛(taste), 색(color), 향(flavor), 조직감(texture), 전체적인 기호도(overall quality)를 평가하였다.
  • , 1999; Park & Kim, 2010) 등 다양한 관점에서 이루어졌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녹두전분의 영양적인 단점을 보완하며 청포묵의 물성이 유지되는 녹두가루의 혼합비율을 설정해서 저열량 식품의 조건을 만족시키면서 대사성 질환을 예방할 수 있는 녹두성분이 강화된 청포묵을 제조하여 그 품질 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청포묵과 젤리를 재료 면에서 비교하면 무엇이 다른가? 청포묵을 비롯한 대부분의 묵은 열량이 낮고 소화흡수가 용이하며 저열량 다이어트 미용식품으로 떠오르고 있는 천연식품이며 쫄깃하고 말랑말랑한 특성이 있어 서양의 젤리와 유사한 식품으로 보여 진다(Chang, 2007a). 청포묵과 젤리를 재료 면에서 비교해 보면 청포묵은 탄수화물인 전분이고 젤리는 불완전 단백질인 젤라틴인 점에서 영양학적으로 전혀 다른 식품이다. 청포묵은 100 g당 37 kcal로 저열량 식품이지만 탄수화물 이외에는 주요 영양소가 거의 없는 단점이 있는 식품이다(현화진 외, 2007).
녹두가 함유한 flavonoid 화합물에는 무엇이 있는가? 근육단백질을 구성하는 아미노산인 leucine 및 valine 등을 비롯한 단백질이 풍부하여 운동 시 근육 손상 억제 및 에너지 원이 된다. 오메가-3 지방산(linolenic acid)이 풍부하고 nuclease, urease, invertase, amylase 등 분해효소 및 phytoalexin, delphinidin mono-glucoside, triacontanol, β-sitosterol, stigmasterol, vitexin 등과 같은 flavonoid 화합물이 함유되어 있다(Jeune et al., 1999; Shin et al.
녹두전분으로 만든 청포묵은 어떤 물성을 가지고 있는가? , 2008). 녹두전분으로 만든 청포묵은 비교적 낮은 전분함량과 겔(gel)형성 능력이 뛰어나며 표면이 매끈하고 탄성이 크고 부드러우며 어느 정도 이상의 힘이 가해지면 크게 몇 조각으로 부서지는 절단성을 가지는 독특한 물성을 갖고 있다(Joo & Chun, 1991). 청포묵을 비롯한 대부분의 묵은 열량이 낮고 소화흡수가 용이하며 저열량 다이어트 미용식품으로 떠오르고 있는 천연식품이며 쫄깃하고 말랑말랑한 특성이 있어 서양의 젤리와 유사한 식품으로 보여 진다(Chang, 2007a).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김창민, 신민교, 안덕균. (1997). 완역 중앙대사전. 서울: 정담. 

  2. 현화진, 송경희, 최미경, 손숙미. (2007). 쉽게 보는 식품 칼로리와 영양성분표. 경기도: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교문사. 

  3. Cha, J. A., Cha, G. H., Chung, L. N., Kim, S. Y., Chung, Y. S., & Yang, I. S. (2008). Investigation on the history of the muck (traditional starch jelly) and its processing methods reviewed in the ancient and the modern culinary literatur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Culture, 23(1), 73-89. 

  4. Chang, K. M. (2007a). Manufacturing of functionalized color mook by addition of the color and flovor from natural food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Culture, 22(3), 365-372. 

  5. Chang, K. M. (2007b). A study cookery utilization of Pimpinella brachycarpa N. for developing as functional food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Culture, 22(2), 274-282. 

  6. Cho, S. A., & Kim, S. K. (2000). Paticle size distribution, pasting pattern and texture of gel of acorn, mungbean, and buckwheat starches.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32(6), 1291-1297. 

  7. Cho, Y., & Choi, M. Y. (2007). Sensory and instrumental characteristics of acorn starch mook with additives. Korean Journal of Food & Cookery Science, 23(3), 346-353. 

  8. Choi, E. J., & Oh, M. S. (2001). Changes in retrogradation characteristics of meungbean starch gels during storage. Korean Journal of Food & Cookery Science, 17(4), 391-398. 

  9. Choi, E. J. (2002). Quality characteristics of mungbean starch gels added with different materials. Unpublished master thesis, Chatolic University Dissertation, Korea. 

  10. Chung, G. M. (1991). Molecular structure and lipid on starches for mook.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23(5), 633-641. 

  11. Crane, L., Leung, H., Barwick, S., Parti, S., & Meazer, S. (1984). The preparation of interferon gamma production T cell hybridomas from jaculin-stimulated T lymphocytes and SH9 T-cell line. The Journal of Immunology, 53(4), 855-858. 

  12. Itoh, A., Iizuka, K., & Natori, S. (1985). Antitumor effects of Sacrcophaga lectin on murine transplanted tumor. Japanese Journal of Cancer Research, 76(10), 1027-1033. 

  13. Jang, E. K. (1990). Characteristics of mook according to the mixing ratios and christianization of mung bean starch. Unpublished master thesis, Ewa University, Korea. 

  14. Jeune, K. H., Ahn, M. G., Jung, S. M., Choi, K. M., Lee, S. H., & Chung, S. R. (1999). Effect of mung bean lectin (MBL) on cytokine gene expression from human peripheral blood mononuclear cells. The Korean Society of Pharmacognosy, 30(4), 355-362. 

  15. Joo, N. M., & Chun, H. J. (1991). Effect of oil addition on texture of mungbean starch gel. Korean Journal of Food & Cookery Science, 8(1), 21-25. 

  16. Kim, A. J., Lim, Y. H., Kim, M. H., & Kim, M. W. (2002a). Quality characteristics of mung bean starch gels added with mulberry leaves powder, yellow soybean powder and mugbean powder. Korean Journal of Food & Cookery Science, 18(6), 567-572. 

  17. Kim, A. J., Lim, Y. H., Kim, M. H., & Kim, M. W. (2002b). Quality characteristics of mung bean starch gels added with green tea powder. Journal of the East Asian Society of Dietary Life, 12(2), 135-140. 

  18. Kim, A. K. (1995). Comparison of gel properties of mung bean powder and starch. Unpublished master thesis, Dankook University, Korea. 

  19. Kim, H. S. (1987). Effect of amylose and amylopection on the texture of mook.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Korea. 

  20. Kim, H. S. (1994). Gelatinization and gelation of cowpea starch. Korean Journal of Society of Food Science, 10(1), 76-79. 

  21. Kim, S. J., & Han, Y. S. (1998). Effect of green laver on the extension of shelf-life of muk. Korean Journal of Society of Food Science, 14(1), 119-123. 

  22. Kwon, S. H. (1989).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mung bean starch. Unpublished master thesis, Dankook University, Korea. 

  23. Lee, Y. S., Kwak, E. J., & Lee, K. H. (1999). A study on the preparation and rheological properties of chik mook. Korean Journal of Society of Food Science, 15(6), 652-658. 

  24. Liener, I. E., Sharon, N., & Goldestein, I. J. (1986). Properties, function and application in biology and medicine. In The lectins. NY: Academic Press. pp 1-600. 

  25. Na, H. S., & Kim, K. (2002). Effect of soaking conditions an storage chracteristics of acorn mook.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31(2), 221-224. 

  26. Na, H. S., Kim, K., Oh, G. S., & Kim, S. K. (2002). Properties of acorn mook with various soaking conditions.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34(2), 207-212. 

  27. Obendorf, R. L., Steandman, K. J., Fuller, D. J., Horbowicz, M., & Lewis, B. A. (2000). Molecular structure of fagopyritol Al (O- $\alpha$ -D-galactopyranosyl -(1 $\rightarrow$ 3)-D-chiro-inositol)by NMR. Carbohydrate Research, 328, 623-627. 

  28. Park, J. H., & Kim, E. M. (2010). Changes i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mung bean starch jelly with white lotus(Nelumbo nucifera) root powder added. The Korean Journal of Culinary Research, 16(1), 180-190 

  29. Park, Y. S., & Chang, H. G. (2007). Quality characteristics of sponge cakes containing various levels of black rice flour.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39(4), 406-411. 

  30. Peng, X., Zheng, Z., Cheng, K. W., Shan, F., Ren, G. X., Chen, F., & Wang, M. (2008). Inhibitory effect of mung bean extract and its constituents vitexin and isovitexin on the formation of advanced glycation endproducts. Food Chemistry, 106(2), 475-481. 

  31. Shin, S. H., Kang, S. S., & Kwon, K .S. (1990). Studies on the components of seeds of phaselus radiatus. Yakhak Hoeji, 34(4), 282-285. 

  32. Sohn, K. H., & Yoon, G. S. (1988). Rheological properties of cowpea mung bean starch gels and pastes. Journal of the Home Economics Association, 26(3), 93-102. 

  33. Yoon, G. S., Sohn, K. H., & Chung, H. J. (1989). Comparison of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cowpea and mung bean starches.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27(1), 39-4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