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아로니아 분말을 첨가한 청포묵의 품질특성 및 항산화활성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Cheongpomook Added with Aronia (Aronia melanocarpa) Powder 원문보기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 Cookery Science, v.30 no.2, 2014년, pp.161 - 169  

황은선 (한경대학교 영양조리과학과) ,  뉴안 도티 (한국전통식품 글로벌센터)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Cheongpomook prepared with different amounts of aronia (Aronia melanocarpa) powder were studied. Freeze-dried aronia powder was incorporated into mung bean starch at different levels (1, 3 and 5% aronia powder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mu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현재까지 다양한 기능성 재료를 첨가하여 제조한 묵의 품질특성에 관한 연구는 널리 진행되고 있는데 반해, 아로니아를 첨가하여 제조한 묵에 대한 생리활성 물질 분석 및 항산화 활성 평가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아로니아의 활용도를 증가시킬 목적으로 아로니아 분말을 첨가한 청포묵 제조의 최적 조건 및 품질특성을 구명하였고, 아울러 아로니아 함유 청포묵의 생리활성물질 함량 및 항산화활성을 측정하여 기능성을 탐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아로니아의 이명은 무엇인가? 아로니아(Aronia melanocarpa)는 18세기경에 북아메리카 동유럽 등지에서 재배되던 다년생의 관목으로 아로니아베리(aronia berry), 블랙 쵸크베리(black chokeberry), 블랙베리(black berry) 등으로 불린다(Wu X 등 2004). 최근에는 국내에도 아로니아 씨앗을 들여와 일부 농가에서 높은 경제적 가치를 기대하며 재배 중에 있다(Sueiro L 등 2006).
청포묵의 원료는 무엇인가? 청포묵은 녹두전분을 원료로 제조하고 흰 빛깔을 띠며그 자체만으로는 특별한 맛이 없기 때문에 간장 등으로 양념하여 반찬으로 내거나 비빔밥의 재료로 오래 전부터 이용되어 왔다(Lee KA 등 2012). 최근 건강한 식생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전통적인 청포묵 재료에 생리활성과 약리작용을 함유한 다양한 재료들을 첨가하여 묵을 제조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아로니아를 첨가하여 제조한 묵에서 안토시아닌에 의해 기대되는 효과는 무엇인가? 독특한 자줏빛을 색소를 가진 안토시아닌을 전통적인 청포묵에 첨가할 경우 시각적인 효과를 높이고 다양한 생리활성 물질로 인하여 건강에도 유익할 것으로 사료된다. 현재까지 다양한 기능성 재료를 첨가하여 제조한 묵의 품질특성에 관한 연구는 널리 진행되고 있는데 반해, 아로니아를 첨가하여 제조한 묵에 대한 생리활성 물질 분석 및 항산화 활성 평가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은 실정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AOAC. 1995.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6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Ch. 3, pp 1-26 

  2. Bridle P, Timberlake CF. 1997. Anthocyanins as natural food colors-selected aspects. Food Chem 58(1-2):103-109 

  3. Cha JA, Cha GH, Chung LN, Kim SY, Chung YS, Yang LS. 2008. Investigation on the history of the Muck (traditional starch jelly) and its processing methods revie4wed in the ancient and the modern culinary. Korean Soc Food Culture 23(1):73-89 

  4. Chang KM. 2007. Manufacturing of functionalized color mook by addition of the color and flavor from natural foods. Korean J Food Culture 22(3):365-372 

  5. Cheung LM, Cheung PC, Ooi VE. 2003. Antioxidant activity and total phenolics of edible mushroom extracts. Food Chem 81(2):249-255 

  6. Choi SR. 2008. A study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wpea starch mook with sunggumcho. MS. Thesis, Sejong University pp 10-52 

  7. Choi EJ, Oh MS. 2004. Sensory and textural characteristics of mungbean starch gels with soy bean oil and sucrose fatty acid ester during room temperature storage. J Korean Home Economics Assoc 42(2):213-227 

  8. Chung HW. 2010. Quality characteristics of mungbean starch gels added with Rubus coreanus miquel powder. MS Thesis, Myunggi University pp 19-30 

  9. Chung KM. 1991. Molecular structure and lipid in starches for mook. Korean J Food Sci Technol 23(5):633-641 

  10. Chung HJ, Cho SJ, Chung JH, Shin TS, Son HS, Lim ST. 1998. Physical and molecular characteristics of cowpea and acorn starches in composition with corn and potato starches. Food Sci Biotechnol 7(4):269-275 

  11. Girones-Vilaplana A, Valentao P, Andrade PB, Ferreres F, Moreno DA, Garcia-Viguera C. 2012. Phytochemical profile of a blend of black chokeberry and lemon juice with cholinesterase inhibitory effect and antioxidant potential. Food Chem 134(4): 2090-2096 

  12. Giusti MM, Wrolstad RE. 2001. Characterization and measurement of anthocyanins by UV-visible spectroscopy. Handbook of food analytical chemistry. New Jersey: John Wiley & Sons pp 19-31 

  13. Hakkinen S, Heinonen M, Karenlampi S, Mykkanen H, Ruuskanen J, Torronene R. 1999. Screening of selected flavonoids and phenolic acids in 19 berries. Food Res Int 32(5): 345-353 

  14. Hellstrom JK, Shikov AN, Makarova MN, Pihlanto AM, Pozharitskaya ON, Ryhanen EL, Kivijarvi P, Makarov VG, Mattila PH. 2010. Blood pressure lowering propeties of chokeberry (Aronia mitchurinii, var Viking). J Funct Foods 2(2):163-169 

  15. Jakobek L, Drenjancevic M, Jukic V, Seruga M. 2012. Phenolic acids, flavonols, anthocyanins and antiradical activity of "Nero", "Viking", "Galicianka" and wild chokeberries. Scientia Hort 147(12):56-63 

  16. Jung YH, Kimg GB, Choe SN, Kang YJ. 1994. Preparation of mook with sea mustard and sea tangle: 1. The optimum conditions of sea mustard and sea tangle mooks. J Korean Soc Food Nutr 23(1):156-163 

  17. Kim EY, Baik IH, Kim JH, Kim SR, Rhyu MR. 2004. Screening of the antioxidant activity of some medicinal plan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6(2):333-338 

  18. Kim HS, Kim MJ, Lee MS, Lee GS, Kim AJ. 2012. Quality characteristics of nokdumook using yangha (Zingiber mioga R.) powder. Korean J Food Nutr 25(3):521-528 

  19. Kim AJ, Lim YH, Kim MH, Kim MW. 2002a. Quality characteristics of mungbean starch gels added with green tea powder.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2(2):135-140 

  20. Kim AJ, Lim YH, Kim MH, Kim MW. 2002b. Quality characteristics of mung bean starch gels added with mulberry leaves powder, yellow soybean powder and mugwort powder. Korean J Food Cook Sci 18(6):567-572 

  21. Lee KA, Kim BR, Kim HS, Shin MS. 2012. Literature review of Tangpyeongchae in cook books published in 1700-1960s. Korean J Food Cook Sci 28(3):327-335 

  22. Na HS, Kim K. 2002. Effect of soaking conditions on storage characteristics of acorn mook. J Korean Soc Food Sci Nutr 31(2):221-224 

  23. Park JH, Kim EM. 2010. Changes i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mung bean starch jelly with white lotus (Nelumbo nucifera) root powder added. Korean J Culinary Res 16(1):180-190 

  24. Re R, Pellegrini N, Proteggente A, Pannala A, Yang M, Rice-Evans C. 1999. Antioxidant activity applying an improved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assay. Free Radic Biol Med 26(9-10):1231-1237 

  25. Singleton VL, Lamuela-Raventos RM. 1999. Analysis of total phenols and other oxidation substrates and antioxidants by means of Folin-Ciocalteu reagent. Method Enzymol 299:152-178 

  26. Strigl AW, Leitner E, Pfannhauser W. 1995.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nalysis of the anthocyanins in black chokeberries (Aronia melanocarpa Michx Ell.) by TLC, HPLC, and UV/VIS-spectrometry. Zeitschrift fuer Lebensmittel-Untersuchung und-Forschung 201(3):266-268 

  27. Sueiro L, Yousef GG, Seigler D, De Mejia EG, Grace MH, Lila MA. 2006. Chemopreventive potential of flavonoid extracts from plantation-bred and wild Aronia melanocarpa (black chokeberry) fruit. J Food Sci 71(8):C480-C488 

  28. Woisky R, Salatino, A. 1998. Analysis of propolis: some parameters and procedures for chemical quality control. J Apic Res 37(2):99-105 

  29. Wu X, Gu L, Prior RL, McKay S. 2004. Characterization of anthocyanins and proanthocyanidins in some cultivars of Rives, Aronia and Sambucus and their antioxidant capacity. J Agric Food Chem 52(26):7846-785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