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삼강행실도의 만화칸과 칸 사이 형태 분석
An Analysis on Shapes of the Gaps between Comics frames and Frames of 'The Three Bonds And The Morals in Human Relations'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1 no.12, 2011년, pp.674 - 681  

박경철 (조선대학교 만화애니메이션학부)

초록

조선 시대 인쇄물인 삼강행실도는 세계 만화역사에서도 이른 시기인 1434년에 간행되었다. 삼강행실도에는 만화기호인 '만화칸'과 '칸과 칸 사이'가 등장한다. 만화기호인 만화칸의 상징성 못지않게 칸과 칸 사이도 만화기호에서 상징적 의미가 있다. 만화역사의 측면에서 보면 칸이 등장한 후, 칸과 칸 사이가 등장한 그 자체만으로도 의미를 부여할 수 있다. 그 상징적 근거들을 찾아 밝힘으로써 국내 만화역사의 역사적 근거가 다져질 것이다. 삼강행실도에서는 칸과 칸 사이의 형식적인 유형을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첫 번째는 '구름칸과 구름칸 사이'이며, 두 번째는 '구름칸과 배경칸 사이'이다. 삼강행실도의 두 가지 유형인 칸과 칸 사이는 현대 만화와 비교할 때 모양이나 연출에서 차이를 보이지만 칸과 칸 사이의 의미는 유사하다고 하겠다. 이처럼 본 연구는 삼강행실도의 칸과 칸 사이의 형태를 분석함으로써 국내 만화역사의 타당한 근거를 제시하는 데 의미가 있다. 만화기호 중에서도 칸과 칸 사이에 초점을 맞추어, 삼강행실도의 칸과 칸 사이의 형태를 증명하는 것이 연구의 목적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Three Bonds And The Morals in Human Relations' was published in Joseon Dynasty period in 1434, relatively early days of comic history in the world. The gaps between comics frames have symbolic meaning as comics frames have in the area of symbols of comics. After comics frames appeared, it was 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두 번째, 칸 역할을 하는 선만 사용하여 <삼강행실도>의 칸을 표시하였다. 그런후 현대 만화의 칸에 비유함으로써 삼강행실도의 칸과칸 사이의 형태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하였다.
  • 는 그림만 하더라도 회화나 일러스트레이션 등의 분야에서 그 의미를 찾을 수 있지만, 본 연구자는 같은 대상의 를 만화의 관점에서 연구하는 것이 목적이다.
  • 본 연구는 세종대왕기념사업회에서 2010년 12월에 간행한 의 역주를바탕으로 칸과 칸 사이의 형태를 연구하였다.
  • <삼강행실도>의 그림 105개 중에서 칸과 칸 사이가 있는 그림으로 범위를 제한하여, 여러 사례를 싣기 위하여 매 다른 그림들을 사용하였다. 연구 주제가 만화 칸이 아닌 칸과 칸 사이이기 때문에 칸과 칸 사이가 있는 만화만을 연구하였다. 즉 칸과 칸 사이의 사례에만 집중하고자 하였다.
  • 연구 주제가 만화 칸이 아닌 칸과 칸 사이이기 때문에 칸과 칸 사이가 있는 만화만을 연구하였다. 즉 칸과 칸 사이의 사례에만 집중하고자 하였다. 또한, 만화에서 이야기라는 중요한 부분이 있음에도 이야기를 배제하고 만화칸의 순서만표기하였으며, 만화칸과 칸 사이의 형태가 있다는 실증적 근거를 밝힘으로써 칸과 칸 사이의 존재 여부에 무게를 두었다.
  • <삼강행실도>를 한국만화의 원형이자 뿌리의 하나로 바라보고 있으며, 연구를 통해 국내 만화역사를 정립하는 일부분이 되기를 바라고 있다. 특히 여러 만화기호 중에서도 칸과 칸 사이의 형태에 초점을 맞추고서 조선 시대의 칸과 칸 사이의 실증적 근거를 증명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가설 설정

  • [그림 13]은 [그림 10]에서 현대 만화의 칸으로 비교하기 위한 그린 그림이다. 첫 번째, 형태의 차이가 나는 이유는 칸의 모양 때문이다. <삼강행실도>의 칸(A)이 구름과 집, 능선 등 그림의 외곽선을 사용하는 반면에 현대 만화(C)에서는 그림을 칸으로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칸 용도로 사용하기 위하여 직선을 사용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9)

  1. 스콧 맥클루드, 만화의 이해, 시공사, pp.68-101, pp.18-24, 2002. 

  2. 로저 새빈, 만화의 역사, 글논그림밭, p.13, 2002. 

  3. 박경철, "속삼강행실도의 만화칸 기호 연구", 한국콘텐츠학회, 제11권, 제10호, pp.156-164, 2011. 

  4. 정우영, 역주 속삼강행실도, 한국문화사, p.318, 2008. 

  5. 역주 김정수, 역주 삼강행실도, 세종대왕기념사업회, 2010. 

  6. 세종대왕기념사업회, 삼강행실도, 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72. 

  7. 이원복, 회화, 솔, 2005. 

  8. 윌 아이스너, 만화와 연속예술, 비즈앤비즈, 2009. 

  9. 최정란, 조선시대 '행실도'의 목판화 양식에 대한 연구, 대구카톨릭대학교, 200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