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 거세한우(26-28개월) $1^+$, 1 등급육과 뉴질랜드산 냉장수입 육우로부터 채끝, 등심, 우둔, 꾸리부위를 공시시료로 이용하여 일반성분, 육색, 전단력, 가열감량, 지방산조성, 아미노산조성 및 무기물 함량을 비교하였다. 뉴질랜드산 흑우육은 채끝, 등심, 꾸리, 홍두깨 부위 모두 단백질 및 수분함량이 한우고기 $1^+$, 1 등급육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반대로 근내지방함량은 뉴질랜드산 채끝, 등심, 꾸리부위가 한우고기 $1^+$, 1 등급육보다 유의적으로 낮았다(p<0.05). 육색은 뉴질랜드산 흑우육이 한우고기 $1^+$, 1 등급육과 비교했을 때 채끝과 홍두깨 부위의 $L^*$값(백색도)이 유의적으로 높았고 꾸리 부위의 $a^*$값(적색도) 및 $b^*$값(황색도)은 유의적으로 낮았다(p<0.05). 전단력은 채끝, 등심, 홍두깨 부위에서는 원산지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꾸리부위에서는 한우고기 $1^+$, 1 등급육이 뉴질랜드산 흑우육보다 전단력이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뉴질랜드산 흑우육이 한우고기보다 4개 부위 모두에서 유의적으로 가열감량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p<0.05). 지방산 조성에서 뉴질랜드산 흑우육은 한우고기보다 C18:0 및 C18:3n3 함량이 유의적으로 높았고 C16:1n7 및 C18:1n9 지방산은 유의적으로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p<0.05). 특히 C18:2n6 지방산은 한우고기 $1^+$ 등급육이 4개 부위 모두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p<0.05). 뉴질랜드산 흑우육은 한우고기 $1^+$, 1 등급육보다 포화지방산(SFA) 함량이 유의적으로 높은 반면에 단일불포화지방산(MUFA) 함량은 유의적으로 낮았다(p<0.05). 한편 n-3 계열 다가불포화지방산 함량은 뉴질랜드산 흑우육이 유의적으로 더 높았다(p<0.05). 아미노산 조성에서 aspartic acid, threonine, serine, alanine, valine, leucine, isoleucine, tyrosine, phenylalanine, lysine, histidine 함량은 채끝, 등심, 꾸리 및 홍두깨 부위 모두에서 뉴질랜드산 흑우가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Cystein, arginine과 proline 함량도 뉴질랜드산 흑우육이 한우고기 $1^+$, 1 등급육보다 채끝과 등심 부위에서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무기물 조성 비교에서 뉴질랜드산 흑우육은 한우고기보다 채끝부위의 Ca 함량과 홍두깨 부위의 Zn 함량이 유의적으로 더 높았던 반면에 한우고기 1 등급육은 뉴질랜드산 흑우육보다 채끝과 꾸리 부위에서 Fe 함량이 유의적으로 더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p<0.05). 결론적으로 한우육과 뉴질랜드산 수입흑우육은 부위에 따라 차이는 있었으나 전반적으로 한우육은 근내지방과 단일불포화지방산 함량이 높았고 뉴질랜드산 흑우육은 단백질함량과 아미노산함량이 상대적으로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뉴질랜드 흑우육은 한우육보다 유통경로상 냉장숙성기간이 더 길었으나 전단력 수치를 비교한 결과 등심, 채끝등심, 홍두깨 부위의 연도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한우고기는 뉴질랜드산 흑우육보다 근내지방함량이 높고 특히 단일불포화지방산함량이 높았으며 뉴질랜드산 흑우육은 단백질함량과 아미노산함량이 높았다. 또한 뉴질랜드산 흑우육이 수입육 유통경로상 한우육보다 숙성기간이 더 길었음에도 불구하고 전단력 분석결과 등심, 채끝등심 및 홍두깨 부위의 연도에 있어서 한우육과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고 가열감량이 적어 한우육이 뉴질랜드산 흑우육보다 숙성효과 및 육질이 우수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proximate composition, meat color, Warner-Bratzler shear force (WBS), cooking loss (CL), fatty acids composition, amino acid composition and mineral contents of Hanwoo beef (QG $1^+$, 1) and imported New Zealand black Angus beef with loin, stri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등심부위에 대한 분석자료가 대부분이고 부위별과 다양한 수입산 쇠고기에 대한 영양성분 및 육질분석자료는 많지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본 연구는 한우고기(육질등급 1+ , 1)와 국내시장에 본격적으로 수입되어 유통되고 있는 뉴질랜드산 냉장 쇠고기에 대한 이화학적 품질 및 영양적 특성을 상호 비교하여 수입육에 대한 기초적인 품질정보를 제공하고자 실시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쇠고기의 품질의 사후 처리조건은 무엇이 있는가? 국내소비자들의 육류소비경향은 양보다는 질적인 개념으로 전환되고 있으며 수입자유화 및 유통시장이 개방되면서 외국의 질 좋은 쇠고기가 들어오고 있어 소비자들의 선택의 폭은 점차 확대되고 있다. 쇠고기의 품질은 품종, 성별, 연령, 근내지방도, 기후, 사육조건과 냉각, 숙성 및 포장 등의 사후 처리조건을 들 수 있다(Flores et al., 1999).
수입산 쇠고기와의 품질차별화를 도출해 내기 위한 방안은 무엇이 있는가? 사실상 한우고기의 강점은 미각적이면서 영양적인 우수성 및 품질고급화로 인한 고급육 이미지가 강하지만 수입육에 비해서 가격이 높기 때문에 소비자에 대한 육질의 차등인식 없이는 경쟁이 어려운 것이 사실이다. 수입육과의 품질차별화를 도출해 내기 위해서는 수입쇠고기의 특성을 파악하는 한편 한우육의 고품질화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와 동시에 한우육의 우수성을 밝혀 국제적인 경쟁력을 갖출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현재까지 한우와 수입육에 대한 연구가 일부 진행된 바 있었으나 각 나라의 등급체계 및 유통조건의 차이로 현실적으로 동급의 품질 비교가 어려운 실정이었다.
국내소비자들의 육류소비경향은 무엇으로 전환되고 있는가? 국내소비자들의 육류소비경향은 양보다는 질적인 개념으로 전환되고 있으며 수입자유화 및 유통시장이 개방되면서 외국의 질 좋은 쇠고기가 들어오고 있어 소비자들의 선택의 폭은 점차 확대되고 있다. 쇠고기의 품질은 품종, 성별, 연령, 근내지방도, 기후, 사육조건과 냉각, 숙성 및 포장 등의 사후 처리조건을 들 수 있다(Flores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6)

  1. AOAC (2006)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5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pp. 210-219. 

  2. Bowers, J. A., Craig, J. A., Kropf, D. H., and Tucker, T. J. (1987) Flavor, color and other characteristics of beef longissimus muscle heated to seven internal temperatures between $55{^{\circ}C}\;and\;85{^{\circ}C}$ . J. Food Sci. 52, 533-536. 

  3. Breidenstein, B. B., Cooper, C. C., Evans, R. G., and Bray, R. W. (1968) Influence of marbling and maturity on palatability of beef muscle. 1. Chemical and organoleptic considerations. J. Anim. Sci. 38, 1532-1541. 

  4. Brewer, S. and Novakofski, J. (2008) Consumer sensory evaluation of aging effects on beef quality, J. Food Sci. 73, 578-582. 

  5. Busboom, J. R., Jeremiah, L. E., Gibson, K. A., Gaskins, C. T., Reeves, J. J., and Wright, R. W. (1993) Effects of biological source on cooking and palatability attributes of beef produced for the Japanese market. Meat Sci. 35, 241-258. 

  6. Campo, M. M., Sanudo, C., Panea, B., Alberti, P., and Santolaria, P. (1999) Breed type and ageing time effects on sensory characteristics of beef strip loin steaks. Meat Sci. 51, 383-390. 

  7. Campo, M. M., Nute, G. R., Wood, J. D., Elmore, S. J., Mottram, D. S., and Enser, M. (2003) Modeling the effect of fatty acid in odour development of cooked meat in vitro: part I-sensory perception. Meat Sci. 63, 367-375. 

  8. Chrystall, B. (1994) Meat texture measurement. Adv. Meat Res. 9, 316-619. 

  9. Cho, S. H., Park, B. Y., Kim, J. H., Hwang, I. H., Kim, J. H., and Lee, J. M. (2005) Fatty acid profiles and sensory properties of longissimus dorsi, tripecps brachii, and semimembranosus muscles from Korean Hanwoo and Australian Angus Beef. Asian-Aust. J. Anim. Sci. 18, 1786-1793. 

  10. Cho, S. H., Park, B. Y., Seong, P.N., Kim, J. H., Kim, K. E., Lee, J. M., and Kim, D. H. (2009) Beef purchase of Korean consumers. Proceed. 41st Kor. J. Food Sci. Anim. Resour., p. 172. 

  11. Choi, M. H. (2003) Nutritional science in 21st century. Kyo Moon Sa, Seoul, Korea, pp. 319-335. 

  12. Cornforth, D. P. (1994) Color: its basis and importance. In : Advances in meat research series. Pearson, A. M. and Dutson, T. R. (eds) Blackie Academic & Professional Publisher, Glasgow, Scotland, pp. 34-78. 

  13. Chrystall, B. (1994). Meat texture measurement. Adv. Meat Res. 9, 316-619. 

  14. CIE (1986) Colorimetry. 2nd ed, Commision Internationale de Leclairage I'Eclairage, Publication CIE No. 15.2. Vienna. 

  15. Enser, M., Hallet, K., Hewitt, B., Fursey, G. A. J., Wood, J. D., and Harrington, G. (1998) Fatty acid content and composition of UK beef and lamb muscle in relation to production system and implications for human nutrition. Meat Sci. 49, 329-341. 

  16. Faustman, C. and Cassens, R. G. (1990) The biochemical basis for disolorration in meat: a review. J. Muscle Foods 3, 217-243. 

  17. Flores, M., Armero, F., Aristoy, M. C., and Toldra, F. (1999) Sensory characteristic of cooked pork loin as affected by nucleotide content and post-mortem meat quality. Meat Sci. 51, 53-59. 

  18. Folch, J., Lees, M., and Stanley, G. H. S. (1957) J. Bio. Chem. 226, 497-500. 

  19. Honikel, K. O. (1998) Reference methods for the assessment of physical characteristics of meat. Meat Sci. 49, 447-457. 

  20. Hwang, I. H., Park, B. Y., Cho, S. H., Kim, J. H., and Lee, J. M. (2004) Meat quality of highly marbled imported beef with reference to Hanwoo. Kor. J. Anim. Sci. Technol. 46, 1-8. 

  21. Kim, D. G., Jung, K. K., Sung, S. K., Choi, S. B., Kim, S. G., Kim, D. Y., and Choi, B. J. (1996) Effects of castration on the carcass characteristics of Hanwoo and Holstein. Kor. J. Anim. Sci. Technol. 38, 239-248. 

  22. KAPE (2010) Animal Products Grading Statistical Yearbook. Korea Institute for Animal Product's Quality Evaluation, Gunpo, Korea, pp. 81-93. 

  23. Korea Meat Trade Association (KMTA). Information and data of agricultural statistics of Korea. Available from http://kmta.or.kr/html/sub6-1.html?scode6. Accessed Jan. 12, 2011. 

  24. Landon, M. E., Hedrick, H. B., and Thompson, G. B. (1978) Live animal performance and carcass charsacteristics of beef bullocks and steer. J. Anim. Sci. 47, 151-155. 

  25. Lantham, M. J., Storry, J. E., and Sharpe, M. E. (1972). Effects of low-roughage diets on the microflora and lipid metabolism in the rumen. Appl. Microbiol. 24, 871. 

  26. Larick, D. K., Hedrick, H. B., Bailey, M. E., William, J. E., Hancock, D. L., Garner, G. B., and Morrow, R. E. (1987) Flavor constituent of beef as influenced by forage- and grainfeeding. J. Food. Sci. 52, 245-251. 

  27. MIFAFF (2007) Processing standard for meat products Act 2007-82, Grading, fabrication and cutting of beef carcass. Ministry for Food, Agriculture, Forest and Fisheries. Seoul, Korea. 

  28. Miller, G. J., Varnell, T. R., and Rice, R. W. (1967) Fatty acid composition of certain ovine tissues as affected by maintenance level rations of roughage and concentrate. J. Anim. Sci. 29, 41-45. 

  29. Morrison, W. R. and Smith, L. M. (1964) Preparation of fatty acid methylesters and dimethylacetals from lipid with boron fluoridemethanol. J. Lipid Resour. 5, 600-608. 

  30. Park, B. S. and Yu, I. J. (1994) Comparison of fatty acid composition for Hanwoo, Holstein and imported beef. Kor. J. Anim. Sci. Technol. 36, 69-75. 

  31. Realini, C. E., Duckett, S. K., Brito, G. W., Dalla-Rizza, M., and De Matos D. (2004) Effect of pasture vs. concentrate feeding with or without antioxidants on carcass characteristics, fatty acid composition and quality of Uruguayan beef. Meat Sci. 66, 567-577. 

  32. Renerre, M. (1986) Influence de facteurs biologiques et technologiques sur la couleur de la viande bovine. Bulletin Techniques C.R.Z.V. thesis, INRA, Paris, France, pp. 41-45. 

  33. Rule, D. C., Smith, S. B., and Romans, J. R. (1995) Fatty acid composition of muscle and adipose tissue of meat animals. In: The biology of fat in meat animals. Smith, S. B. and Smith, D. R. (eds) American Society of Animal Science, Champaign, IL, pp. 144-165. 

  34. SAS (2005) SAS/STAT Software for PC. Release 6.11, SAS Institute Inc., Cary, NC, USA. 

  35. Serra, X., Guerrero, L., Guardia, M. D., Gil, M., Sanude, C., Panea, B., Campo, M. M., Olleta, J. L., Garcia-Cachan, M. D., Piedrafita, J., and Oliver, M. A. (2008) Eating quality of young bulls from three Spanish beef bred-production systems and its relationships with chemical and instrumental meat quality. Meat Sci. 79, 98-104. 

  36. Smith, G. C., Tatum, J. D., and Belk, K. E. (2008) International perspective: characterization of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al and meat standards australia systems for assessing beef quality. Australian J. Exp. Agr. 48, 1485-1480. 

  37. Son, S. M. (2008) Report for the nutritional value of Hanwoo. Hanwoo Board, Korea. 

  38. Warris, P. D. and Brown, S. N. (1987) The relationships between initial pH, reflectance and exudation in pig muscle. Meat Sci. 20, 65-74. 

  39. Westerling, D. B. and Hedrick, H. B. (1979) Fatty acid composition of bovine lipids as influenced by diet, sex and anatomical location and relationship to sensory characteristics. J. Anim. Sci. 48, 1343-1348. 

  40. Wheeler, T. L., Shackelford, S. D., and Koohmaraie, M. (2000) Variaton in proteolysis, sarcomere length, collagen content, and tenderness among major pork muscles. J. Anim. Sci. 78, 958-965. 

  41. Wood, J. D., Richardson, R. I., Nute, G. R., Fisher, A. V., Campo, M. M., Kasapidou, E., Sheard, P. R., and Enser, M. (2004) Effect of fatty acids on meant quality: a review. Meat Sci. 66, 21-32 

  42. Yoon, J. S., Cho, E. W., Yu, K. H., Chung, H. J., Shin, D. S., and Seo, J. S. (2004) New paradigm of nutritional intake: US/Canada Dietary Reference Intakes (DRIs)-Vitamin A, K, Fe, Zn, Cu, I and Mn. Kor. J. Nutr. 37, 852- 854. 

  43. Yoon, J. S. and Lee, J. H. (2007) A suggestion to improve Zinc status of type 2 diabetic women : relationship among Zn, protein and phytate intake. J. Kor. Diet. Assoc. 13, 301-310. 

  44. Zhu, L. G., and Brewer, M. S. (1998) Discoloration of fresh pork as related to muscle and display conditions. J. Food Sci. 63, 763-767. 

  45. 吉田正三郞, 上田敬介, 寺田降慶, 田中彰治, 小尺忍 (1968) 若齡肥育における雄牛と去勢牛の 産肉性の 比較, 中國農試報, 16, 873. 

  46. 三律本 充, 山下 良弘, 三橋忠由, 中西直人 (1987) 黑手和去勢牛における胸長筋の理化學的 特性と格付等級との 關係. 中國試報. B, 29, 3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