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치콘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Antioxidative Activity of Extracts from Cichorium endivia L.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1 no.11, 2012년, pp.1487 - 1492  

강현우 (영산대학교 한국식품조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치콘 추출물의 항산화 효능을 확인하고자 물과 에탄올로 추출하였다. 치콘에 포함된 총 폴리페놀 함량을 측정한 결과, 에탄올 추출물($37.3{\pm}5.2$ mg/GAE/g extract)과 열수 추출물($36.3{\pm}1.0$ mg/GAE/g extract)이 유사한 총 폴리페놀 함량을 포함하고 있었으며,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물 추출물이 $47.0{\pm}3.8$ mg CE/g extract 그리고 에탄올 추출물이 $53.9{\pm}5.1$ mg CE/g extract를 나타내었다. ABTS를 이용한 라디칼 소거활성, FRAP를 이용한 환원력을 통한 항산화 활성을 측정한 결과에서도 치콘 추출물이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었다. 한편, 세포 독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신경세포를 이용하여 MTT assay를 수행한 결과, 세포의 생존율은 1.0 mg/mL의 농도 이상에서는 생존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신경세포 보호효능 실험에서는 2.5 mM의 $H_2O_2$로 유발시킨 산화적 손상에 대해 농도 의존적인 신경세포 보호 효과가 있었으며, 항산화 효소 활성을 SOD와 CAT로 분석한 결과 SOD는 0.5 mg/mL 농도에서 95% 이상의 활성과 CAT는 손상그룹에 비해 2배 이상의 활성을 각각 확인하였다. 또한 치콘 추출물이 세포사와 관련이 있는 단백질인 Bax와 Bcl-2의 발현을 조절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치콘 추출물이 산화적 손상의 억제를 통해 세포를 보호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ntioxidant activity and neuroprotective effects of extracts from Cichorium endivia L. (CEL) on hydrogen peroxide-induced oxidative damage in neuronal cells were investigated. The total polyphenol and flavonoid contents of the water and ethanolic extracts from CEL were $36.2{\pm}0.99$,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치콘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정상 신경세포를 이용한 치콘 추출물의 신경세포 보호 효능을 살펴 치콘을 이용한 식·의약 기능성 소재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사용하고자 한다.
  • 자연계에 널리 분포되어 있는 페놀성 물질은 생리활성 중 항산화, 항염, 항균 활성 등이 보고되어지고 있으며 또한 페놀성 물질과 항산화 활성 간의 상관관계에 대한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어지는 추세이다. 따라서 치콘의 총 폴리페놀과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분석함으로써 항산화 활성에 대한 기초 자료로 이용하고자 하였다. 치콘의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의 수율은 35.
  • 본 연구는 치콘 추출물의 항산화 효능을 확인하고자 물과 에탄올로 추출하였다. 치콘에 포함된 총 폴리페놀 함량을 측정한 결과, 에탄올 추출물(37.
  • 이렇게 분해된 산소와 물은 생체 대사에 이용 되는 것으로 보고되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SOD 와 CAT를 신경 세포에서 치콘 추출물을 처리하여 확인하였다. SOD의 경우 약 70%의 활성을 나타냈던 과산화수소 손상군에 비하여 치콘 추출물 처리군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열수와 에탄올 추출물의 유사한 결과를 확인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반응성이 큰 자유라디칼로 인한 세포사는 무엇으로 진행될 수 있는가? 생체 중 산소가 필요 이상으로 많은 경우 대사과정 중 일부 산소가 활성이 큰 자유라디칼로써 형성되는데, 반응성이 큰 자유라디칼은 체내에서 세포 손상을 야기하고 결국에는 세포사를 유도한다(6). 이와 같은 세포사는 염증, 종양, 암 등의 질병 및 노화로 진행이 된다(7,8). 따라서 라디칼은 생체 불균형을 유발하고, 질병을 초래하기 때문에 이러한 라디칼을 조절하기 위해 항산화제의 개발이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치콘은 무엇의 뿌리를 캐서 싹을 틔운 싹 채소인가? 치콘은 Belgium endive나 witloof chicory의 뿌리를 캐서 싹을 틔운 싹 채소이지만 여린 잎 상태에서 수확하므로 엽채류로 구분되어진다. 또한, 일반 재배 하우스가 아닌 냉장상이나 창고 등에서 재배가 가능하므로 농약의 이용 없이 재배가 가능하다(4).
치콘의 효능은? 또한, 일반 재배 하우스가 아닌 냉장상이나 창고 등에서 재배가 가능하므로 농약의 이용 없이 재배가 가능하다(4). 효능으로는 류마티스와 관절염, 통풍 예방 효과 등이 알려져 있으나 그 생리활성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Park SY, Kim JW. 1992. Screening and isolation of the antitumor agents from medicinal plants (1). Kor J Pharmacong 23: 264-267. 

  2. Lee JH, Lee SR. 1994. Some physiological activity of phenolic substance in plant foods. Korean J Food Sci Technol 26: 317-323. 

  3. Oh SI, Lee MS. 2010. Functional activities of ethanol extracts from Flammulina velutipes. Korean J Food Nutr 23:15-22. 

  4. Bae JH, Kim WB. 2005. Effects of blanching culture days on the growth and quality of chicon. J Bio-Environment Control 14: 114-118. 

  5. Kwon MC, Han JG, Qadir SA, Ahn JH, Lee DH, Lee HY. 2008. Enhancement of immune-potentiation of Cichorium endivia L. by ultrasonification extraction process.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6: 9-15. 

  6. Halliwell B, Gutteridge JM, Cross CE. 1992. Free radicals, antioxidants and human disease: where are we now? J Lab Clin Med 119: 598-620. 

  7. Aruoma OI. 1994. Nutrition and health aspects of free radicals and antioxidants. Food Chem Toxicol 62: 671-683. 

  8. Lee SJ, Kim EK, Hwang JW, Oh HJ, Chenong SH, Moon SH, Jeon BT, Lee SM, Park PJ. 2010. Purification and characterisation of an antioxidative peptide from enzymatic hydrolysates of duck processing by-products. Food Chem 123: 216-220. 

  9. Ito N, Fukushima S, Tsuda H. 1985. Carcinogenicity and modification of the carcinogenic response by BHA, BHT, and other antioxidants. Crit Res Toxicol 15: 109-150. 

  10. Kim YS, Lee SJ, Hwang JW, Kim EH, Park PJ, Jeon BT. 2011. Antioxidant activity and protective effects of extracts from Helianthus tuberosus L. leaves on t-BHP induced oxidative stress in chang cell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 1525-1531. 

  11. Gutfinger T. 1981. Polyphenols in olive olis. J Am Oil Chem Soc 58: 966-968. 

  12. Park MK, Kim CH. 2009. Extraction of polyphenols from apple peel using cellulase and pectinase and estimation of antioxidant activity.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 535-540. 

  13. Benzie IFF, Strain JJ. 1999. Ferric reducing/antioxidant power assay: direct measure of total antioxidant activity of biological fluids and modified version for simultaneous measurement of total antioxidant power and ascorbic acid concentration. Methods Enzymol 299: 15-27. 

  14. Jeon GU, Han JY, Choi YM, Lee SM, Kim HT, Lee JS. 2008. Antioxidant and antiproliferative activity of pepper (Capsicum annuum L.) leav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1079-1083. 

  15. Lee KJ, Park MH, Seo HT, Park YH, Kwon CJ, Lim SH, Kim KH, Jeon SJ, Won JH. 2009. Screening of biological activities of ethanol extracts from several varieties of endives. Korean J Food Preserv 16: 1008-1012. 

  16. Lee SJ, Kim EK, Oh HJ, Kwon HJ, Hwang JW, Moon SH, Jeon BT, Park PJ, Lim BO. 2011.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protective effect against H2O2-induced stress in neuronal cells of enzymatic extracts from Sarcodon aspratus.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9: 77-82. 

  17. Kwon SC. 2011. Effect of chitooligosaccharides on antioxidative enzyme activity in liver of rat fed high fat diet. J Chitin Chitosan 16: 277-281. 

  18. Lee SJ, Kim EK, Hwang JW, Kim CG, Choi DK, Lim BO, Moon SH, Jeon BT, Park PJ. 2010. Neuroprotective effect of Hericium erinaceum against oxidative stress on PC12 cells. J Korean Soc Appl Biol Chem 53: 283-28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