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마쇄홍고추 첨가가 김치의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ashed Red Pepper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Kimchi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0 no.12, 2011년, pp.1769 - 1775  

황인국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식품자원부) ,  김하윤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식품자원부) ,  황영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식품자원부) ,  유선미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식품자원부) ,  정헌상 (충북대학교 식품공학과) ,  이준수 (충북대학교 식품공학과) ,  김혜영 (용인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고춧가루 대비 마쇄홍고추 첨가량을(0, 25, 50, 75 및 100%) 달리하여 제조한 김치의 숙성과정 중 품질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김치의 일반성분은 수분함량의 경우 마쇄홍고추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86.88~88.55%로 증가하였고, 조단백질, 조지방 및 조회분 함량은 각각 2.05~1.90, 0.35~0.29 및 3.00~2.81% 감소하였다. 숙성 중 총균수 및 젖산균수 변화는 숙성 초기에 급격히 증가한 후 서서히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시료 간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김치의 pH와 총산도는 담금 직후 각각 5.67~5.88 및 0.18~0.21%에서 숙성 2일째 4.26~4.72 및 0.50~0.70%로 시료 간 차이를 보이며 급격히 변화하다가 그 후에는 변화폭이 적었다. 환원당 함량 변화는 숙성 2일째에 급격히 감소한 후 완만하게 감소하였으며, 마쇄홍고추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관능평가 결과 마쇄홍고추를 첨가한 김치는 고춧가루로 제조한 김치와 유사한 품질 특성을 보였고, 50%와 75% 마쇄홍고추 첨가 김치에서 비교적 우수한 관능 특성을 보이는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changes i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Kimchi with mashed red pepper (Capsicum annuum L.) added during 12 days of fermentation at $20^{\circ}C$. The moisture content of Kimchi increased according to the addition of mashed red pepper, wherea...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홍고추의 이용성 증진 및 김치 산업발전에 기여하고자 고춧가루 대비 마쇄홍고추 첨가량을(0, 25, 50, 75 및 100%) 달리하여 제조한 김치의 숙성 중 품질 특성을 비교·분석하였다.

가설 설정

  • 1)Chinese cabbage was brined in 10% salt solution. 2)MK is the abbreviation of Kimchi containing mashed red pepper.
  • 2)MK is the abbreviation of Kimchi containing mashed red pepper. Mashed red pepper was added at a ration of 0, 25, 50, 75 or 100% base on red pepper powder dry weight, respectively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영양, 건강에 있어 김치의 장점은 무엇인가? 김치의 종류는 재료와 제조 방법에 따라 매우 다양하여 약 100여종에 이르며, 일반적으로 김치는 고춧가루, 마늘, 생강, 파, 젓갈 등의 부재료가 첨가된다(3,4). 김치는 열량이 낮고 식이섬유와 비타민, 무기질의 함량이 높아 영양학적으로 우수한 식품이며, 생리활성물질인 vitamin, carotenoid, flavonoid, polyphenol 등의 phytochemical과 발효과정 중 젖산균에 의해 생성되는 다양한 유기산 및 미생물의 대사산물이 함유되어 있어 정장작용, 면역증강, 암 예방효과, 항산화작용, 콜레스테롤 저하 등 다양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5-7). 김치는 2001년 국제식품규격위원회에서 Codex규격이 채택되었고, 2006년 미국 건강전문잡지 Health지에서 스페인의 올리브오일, 그리스의 요구르트, 일본의 콩 요리, 인도의 렌즈콩과 더불어 5대 건강식품으로 선정됨으로써 세계적인 건강식품으로 인정받기 시작했다(8).
김치에 이용되는 고추는 홍고추를 수확하여 건조 분쇄한 고춧가루 형태인데 이러한 홍고추의 품질을 좌우하는 고추 과피의 색소는 무슨 성분으로 되어 있는가? 홍고추의 수확은 8월초에서 10월초에 집중되며, 기상조건이 고온 다습하기 때문에 생고추 상태로 장기간 저장이 어려워 대부분이 건조 후 보관하면서 연중 고춧가루로 가공되어져 저장·유통·소비되고 있다. 고추의품질을 좌우하는 요소는 색소와 매운 맛 성분이며, 일차적인 품질 판정은 주로 외관적 요소인 색택에 의해 평가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11,12), 고추 과피의 적색 색소는 capsanthin과 capsorubin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노란색 색소는β-carotene, β-cryptoxanthin과 zeaxanthin이 주요 성분으로 보고되어 있다(13).
김치는 우리나라의 식생활에 있어 어떤 식품인가? 김치는 된장, 간장, 고추장, 젓갈 등과 더불어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전통 발효식품 중 하나로 겨울철에 비타민, 무기질 등을 공급한 부식으로 한국인의 식생활에서 빠질 수 없는 중요한 식품이다(1,2). 김치의 종류는 재료와 제조 방법에 따라 매우 다양하여 약 100여종에 이르며, 일반적으로 김치는 고춧가루, 마늘, 생강, 파, 젓갈 등의 부재료가 첨가된다(3,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Ku KH, Sunwoo JY, Park WS. 2005. Effects of ingredients on the its quality characteristics during kimchi fermenta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 267-276. 

  2. Lee MK, Rhee KK, Jang DJ. 2007. A survey of research papers on Korean kimchi and R&D trends. Korean J Food Culture 22: 104-114. 

  3. Park WP, Kim JH, Jo JS. 1996.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Chinese cabbage kimchi around Masan area. J Korean Soc Food Sci Nutr 25: 535-538. 

  4. Park D, Choi A, Woo H, Rhee SK, Chae HJ. 2010. Effects of sclerophyllous plant leaves addition on fermentative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kimchi.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580-586. 

  5. Ku HS, Noh JS, Kim HJ, Cheigh HS, Song YO. 2007. Antioxidant effects of sea tangle added Korean cabbage kimchi in vitro and in vivo.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 1497-1502. 

  6. Park KY. 1995. The nutritional evaluation, and antimutagenic and anticancer effects of kimchi. J Korean Soc Food Nutr 24: 169-182. 

  7. Kim YJ. 1999. Physiological properties of kimchi. Food Ind & Nutr 4: 59-65. 

  8. Hong SP, Kim EM, Yang JN, Ahn DU. 2007. Effect of irradiation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lyophilized kimchi powder. Korean J Food Sci Technol 39: 614-618. 

  9. Cho YS, Cho MC, Suh HD. 2000. Current status and projects of national hot pepper industry in Korea. J Korean Capsicum Res Coop 6: 1-27. 

  10. Jeong EJ, Bang BH, Kim KP. 2005. The characteristics of Kimchi by the degree of hotness of powdered red pepper. Korean J Food & Nutr 18: 88-93. 

  11. Hwang SY, An YH, Shin GM. 2001. A study on the quality of commercial red pepper powder. Korean J Food Nutr 14: 424-428. 

  12. Kim CH, Ryu SH, Lee MJ, Baek JW, Hwang HC, Moon GS. 2004. Characteristics of red pepper (Capsicum Annuum L.) powder using N2-circulated low temperature drying method. Korean J Food Sci Technol 36: 25-31. 

  13. Kim S, Park JH. 2004. Composition of main carotenoids in Korean red pepper (Capsicum annuum L.) and change of pigment stability during the drying and storage process. J Food Sci 69: 39-44. 

  14. Ku KH, Kim NY, Park JB, Park WS. 2001. Characteristics of color and pungency in the red pepper for kimchi. Korean J Food Sci Technol 33: 231-237. 

  15. Park JG, Kim JH, Park JN, Kim YD, Kim WG, Lee JW, Hwang HJ, Byun MW. 2008. The effect of irradiation temperature on the quality improvement of kimchi, Korean fermented vegetables, for its shelf stability. Radiat Phys Chem 77: 497-502. 

  16. Jung JL, Kim MH, Kim MJ, Jang KS, Kim SD. 1994. Kimchi fermentation and heat treatment under sub-atmosphere.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40: 95-104. 

  17. Kim JS, Kim Y, Park JM, Kim TJ, Kim BS, Kim YM, Kim HR, Han NS. 2010. Inhibition of microbial growth in cabbage- kimchi by heat treatment and nisin.yucca extract.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1678-1683. 

  18. Sung JM, Choi HY. 2009. Effects of Alaska pollack addition on the quality of Kimchi (Korean salted cabbage). Korean J Food Preserv 16: 772-781. 

  19. Kwak HJ, Jang JS, Kim SM. 2009. Quality characteristics of Kimchi with added Houttuynia cordata. Korean J Food & Nutr 22: 332-337. 

  20. Bae MS, Lee SC. 2008. Preparation and characteristics of Kimchi with added Styela clava. Korean J Food Cookery Sci 24: 573-579. 

  21. Oh SH, Hwang IG, Kim HY, Hwang CR, Park SM, Hwang Y, Yoo SM, Kim HR, Kim HY, Lee J, Jeong HS. 2011. Quality characteristics by particle size of red pepper powder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 725-730. 

  22. Shin HH, Lee SR. 1991. Quality attributes of Korean red pepper according to cultivars and growing areas. Korean J Food Sci Technol 23: 296-300. 

  23. Choi SM, Jeon YS, Park KY. 2000. Comparison of quality of red pepper powders produced in Korea. Korean J Food Sci Technol 32: 1251-1257. 

  24. Hwang IG, Hwang Y, Kim HY, Lee J, Jeong HS, Yoo SM. 2011. Quality characteristics of tofu (soybean curd) added with Cheongyang hot pepper (Capsicum annuum L.) juice.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 999-1005. 

  25. Bang BH, Seo JS, Jeong EJ. 2006. Quality characteristics of Kimchi made of mashed red pepper. Korean J Food & Nutr 19: 53-57. 

  26. Nho JS, Seo HJ, Oh JH, Lee MJ, Kim MH, Cheigh HS, Song YO. 2007. Development of auto-aging system built in Kimchi refrigerator for optimal fermentation and storage of Korean cabbage Kimchi. Korean J Food Sci Technol 39: 432-437. 

  27. AOAC. 1990.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5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p 8-35. 

  28. Choi AR, Park DI, Yoo G, Kim S, Jang JB, Chae HJ. 2009. Effect of soaking of sub-ingredients on odor and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Kimchi.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 1564-1570. 

  29. Jang MS, Park JE. 2007. Effects of Wasabi (Wasabia japonica Matsum) on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Baechu Kimchi during fermenta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 1219-1224. 

  30. National Rural Living Science Institute, RDA. 2001. Food Composition Table . 6th revision. Suwon, Korea. p 14-74. 

  31. Kim JH, Moon MH, Chung JW, Chi JH, Ju YC. 2005. Effect of king oyster mushroom (Pleurotus eryngii ) addition on the quality of Kimchi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37: 470-473. 

  32. Park WP, Park KD, Kim JH, Cho YB, Lee MJ. 2000. Effect of washing conditions in salted Chinese cabbage on the quality of Kimchi. J Korean Soc Food Sci Nutr 29: 30-34. 

  33. Kim MS, Lee HJ, Kang KO. 2008. Effects mashed maesil and maesil extract on the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Kimchi.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8: 226-233. 

  34. Jeong EJ, Seo JS, Bang BH. 2008. A study on the Kimchi development using device-mashed vice materials. Korean J Food & Nutr 21: 288-292 

  35. Lee GC, Han JA. 1998. Changes in the contents of total vitamin C and reducing sugar of starchy pastes added kimchi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Soc Food Sci 14: 201-20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