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황기와 몽고황기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Nitric Oxide 생성능
Antioxidant Activity and Nitric Oxide Production of Ethanol Extracts from Astragali membranaceus Bunge and A. membranaceus Bunge var mongholicus Hisiao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0 no.12, 2011년, pp.1793 - 1796  

이광재 (강원도농업기술원) ,  박민희 (강원도농업기술원) ,  박유화 (강원도농업기술원) ,  임상현 (강원도농업기술원) ,  김경희 (강원도농업기술원) ,  김영국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  안영섭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  김희연 (강원도농업기술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기원식물별, 재배연수별 황기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활성 및 NO 생성능을 측정한 결과, 총 폴리페놀 함량은 몽고황기 2년근, 4년근 및 6년근이 각각 45.3 mg/g, 71.3 mg/g 및 78.0 mg/g으로 황기에 비해 더 많은 양이 함유되어 있었으며,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또한 총 폴리페놀 함량과 마찬가지로 몽고황기가 더 많은 양의 총 플라보노이드를 함유하고 있었다. 기원식물별 추출물의 항산화활성 측정 결과, 황기에 비해 몽고황기의 DPPH radical 소거활성이 높았으며, 재배 연수별로는 몽고황기 4년근이 가장 활성이 높았고($IC_{50}$=3.54 mg/mL), 기원식물별 $ABTS^+$ radical 소거활성은 2년근을 제외한 4년근 및 6년근에서는 몽고황기의 $ABTS^+$ radical 소거활성이 높았다. 기원식물에 따른 NO 생성능은 재배기간이 동일한 경우 황기에 비해 몽고황기에서 NO 생성능이 더 높았다. 몽고황기는 모든 연근에서 무처리구에 비해 NO 생성량이 많았으며 특히, 6년근 에탄올 추출물의 NO 생성능이 2년근 및 4년근에 비해 높았으나, 황기는 재배연수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effects of ethanol extracts from Astragali membranaceus Bunge (AMB) and A. membranaceus Bunge var mongholicus Hisiao (AMBMH) on antioxidant and nitric oxide (NO) production were evaluated. The total polyphenol contents of AMBMH extracts from two, four, and six-year old roots was 45.3, 71.3, an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황기는 항산화작용, 간 기능 보호작용, 항바이러스작용, 항고혈압작용, 세포성장작용, 이뇨작용, 혈당강하작용, 면역증강작용및 항종양작용 등 여러 기능성이 보고된 바 있으며, 황기뿌리에는 식물성유사호르몬(phytoestrogen)으로서 여성호르몬의 천연 대체물질로서 알려져 있는 isoflavone 배당체인 formentin이 존재하며, 그 밖에 triterpenoide glycolside, betaine, choline, β-sitosterol 등의 성분을 함유하고 있다(2-4). 이와 같이 황기가 가지고 있는 다양한 기능성으로 인해 한약재뿐 아니라 식품으로서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른 재배면적 및 약재수입 또한 증가하고 있어, 중국, 일본 및 대만 등에서 약재로 추가되어 있는 몽고황기(A. membranaceus Bunge var mongholicus Hisiao)의 국내시장 혼입유통이 증가하고 있으나(5) 기원식물에 따른 생리활성 연구는 부족한 실정으로, 본 연구에서는 기원식물에 따른 효능 차이를 비교하고자 항산화활성 및 NO 생성능을 측정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황기의 효능은? 황기(Astragali Radix; Astragalus membranaceus Bunge) 는 콩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식물의 주피를 벗긴 뿌리를 건조한 것으로 한국, 중국, 몽골 등 아시아 지역과 유럽 및 아프리카의 일부 지역에 널리 분포하며 한방에서 지산, 이뇨, 강장, 혈압강하 등의 목적으로 이용되어 왔다(1). 황기는 항산화작용, 간 기능 보호작용, 항바이러스작용, 항고혈압작용, 세포성장작용, 이뇨작용, 혈당강하작용, 면역증강작용및 항종양작용 등 여러 기능성이 보고된 바 있으며, 황기뿌리에는 식물성유사호르몬(phytoestrogen)으로서 여성호르몬의 천연 대체물질로서 알려져 있는 isoflavone 배당체인 formentin이 존재하며, 그 밖에 triterpenoide glycolside, betaine, choline, β-sitosterol 등의 성분을 함유하고 있다(2-4). 이와 같이 황기가 가지고 있는 다양한 기능성으로 인해 한약재뿐 아니라 식품으로서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른 재배면적 및 약재수입 또한 증가하고 있어, 중국, 일본 및 대만 등에서 약재로 추가되어 있는 몽고황기(A.
기원 식물별, 재배연수별 황기 에탄올 추출물에서 NO 생성능은 각각 어떤 결과를 보였는가? 54 mg/mL), 기원식물별 ABTS+ radical 소거활성은 2년근을 제외한 4년근 및 6년근에서는 몽고황기의 ABTS+ radical 소거활성이 높았다. 기원식물에 따른 NO 생성능은 재배기간이 동일한 경우 황기에 비해 몽고황기에서 NO 생성능이더 높았다. 몽고황기는 모든 연근에서 무처리구에 비해 NO 생성량이 많았으며 특히, 6년근 에탄올 추출물의 NO 생성능이 2년근 및 4년근에 비해 높았으나, 황기는 재배연수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황기뿌리에 함유된 성분은 무엇이 있는가? 황기(Astragali Radix; Astragalus membranaceus Bunge) 는 콩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식물의 주피를 벗긴 뿌리를 건조한 것으로 한국, 중국, 몽골 등 아시아 지역과 유럽 및 아프리카의 일부 지역에 널리 분포하며 한방에서 지산, 이뇨, 강장, 혈압강하 등의 목적으로 이용되어 왔다(1). 황기는 항산화작용, 간 기능 보호작용, 항바이러스작용, 항고혈압작용, 세포성장작용, 이뇨작용, 혈당강하작용, 면역증강작용및 항종양작용 등 여러 기능성이 보고된 바 있으며, 황기뿌리에는 식물성유사호르몬(phytoestrogen)으로서 여성호르몬의 천연 대체물질로서 알려져 있는 isoflavone 배당체인 formentin이 존재하며, 그 밖에 triterpenoide glycolside, betaine, choline, β-sitosterol 등의 성분을 함유하고 있다(2-4). 이와 같이 황기가 가지고 있는 다양한 기능성으로 인해 한약재뿐 아니라 식품으로서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른 재배면적 및 약재수입 또한 증가하고 있어, 중국, 일본 및 대만 등에서 약재로 추가되어 있는 몽고황기(A.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Ma XQ, Duan JA, Zbu DY, Dong TTS, Tsim KWK. 2000. Species identification of Radix Astragali (Huangqi) by DNA sequence of its 5S-rRNA spacer domain. Phytochemistry 54: 363-368. 

  2. Riso JL, Waterman PG. 1997. A review of the pharmacology and toxicology of Astragalus. Phytother Res 11: 411-418. 

  3. Kim HJ, Bae YC, Park RW, Choi SW, Cho SH, Choi YS, Lee WJ. 2002. Bone protecting effect of safflower seeds in ovariectomized rats. Calcif Tissue Int 71: 88-94. 

  4. Kim MJ, Kim JY, Choi SW, Hong JT, Yoon KS. 2004. Anti-wrinkle effect of safflower (Carthamus tinctorius L.) seed extract (I). J Soc Cosmet Scientist Korea 30: 15-22. 

  5. Lim JH, Jin DC, Sung JS, Bang KH, Kim OT, Cha SW, Park HW. 2007. Discrimination of Astragalus membranaceus (Fisch) Bunge from A. membranaceus (Fisch) Bunge var. mongholicus (Bunge) with SCAR marker.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5: 51-55. 

  6. Kwon MC, Han JG, Qadir SA, An JH, Lee DH, Lee HY. 2008. Enhancement of immune-potentiation of Cichorium endivia L. by ultrasonification extraction process.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6: 1-7. 

  7. Folin AD, Denis W. 1915 A colorimetric method for the determination of phenols (and phenol derivatives) in urine. J Biol Chem 22: 305-308. 

  8. Boo HO, Lee HH, Lee JW, Hwang SJ, Park SU. 2009. Different of total phenolics and flavonoids,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and nitrite scavenging effects of Monordica charantia L. according to cultivars.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7: 15-20. 

  9. Bloi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 1198-1202. 

  10. Re R, Pellegrini N, Proteggente A, Pannala A, Yang M, Rice-Evans C. 1999. Antioxidant activity applying an improved ABTS radical cation decolorization assay. Free Radic Biol Med 26: 1231-1237. 

  11. Yin Y, Heo SI, Jung MJ, Wang MH. 2009. Antioxidant and antidiabetic effects of various sections of Astragalus membranaceus. Kor J Pharmacogn 40: 1-5. 

  12. Li CY, Rhee HI. 2004. Antioxidant activity of Astragalus membranaceus extract. J Agric Sci 15: 103-110. 

  13. Brune B, Zhou J, von Knethen A. 2003. Nitric oxide, oxidative stress, and apoptosis. Kidney Int 84: S22-S24. 

  14. Shin SW, Lee YS, Park JH, Kwon TK, Suh SI, Kwon YK. 2004. Comparison of immunomodulatory effects of water- extracted Ginseng radix, Pilose asia-bell, Astragali radix, Astractylodes rhizoma alba and Dioscoreae rhizoma. Korean J Oriental Physiology & Pathology 18: 1140-1146. 

  15. Song BK, Lee EJ, Kim HK, Jin SD, Kim SJ, Kim DH. 1998, Effects of Astragali radix on the function of murine immunocytes in vivo and in vitro. Kor J Herbology 13: 115-128.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