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일개 보건소 대사증후군 관리프로그램의 효과분석
The Effect of Metabolic Syndrome Management Program in a Public Health Center 원문보기

農村醫學·地域保健 = Journal of agricultural medicine & community health, v.36 no.4, 2011년, pp.264 - 279  

서재룡 (한림대학교 보건과학대학원) ,  배상수 (한림대학교 보건과학대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서울시 1개 보건소를 대상으로 대사증후군 관리프로그램 등록자의 등록 당시와 6개월 후의 생활습관 및 대사증후군 위험인자의 변화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대사증후군 관리사업의 효과를 평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최종 분석대상자는 처음 사업을 시작한 2009년 6월부터 2010년 8월까지 서울시 1개 보건소에 등록하고, 6개월 후 재방문하여 설문과 재검사를 마친 430명 중 자료에 결측치가 없는 381명이었다. 연구 자료는 이들이 보건소에서 등록 관리 받으면서 작성한 설문지와 검사기록을 통해 수집되었다. 최종 분석대상자를 관리유형에 따라 분류하면 적극적 상담군이 110명(28.9%), 동기부여 상담군 A가 133명(35.0%), 동기부여 상담군 B가 138명(36.2%) 이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등록자의 생활습관의 변화는 적극적 상담군에서 신체활동이 유의하게 증가되었다. 식습관은 0.7점 증가하였으며, 음주, 흡연은 감소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동기부여 상담군 A에서는 중등도 신체활동과 흡연, 음주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가 있었으나 식습관은 거의 변화가 없었다. 동기부여 상담군 B에서는 신체활동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식습관은 변화가 없었고, 음주, 흡연은 감소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둘째, 대사증후군 위험인자 변화는 적극적 상담군에서 수축기 혈압, 이완기 혈압, TG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P<0.05), (P<0.01), (P<0.01), HDL-C는 증가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고 허리둘레, 식전혈당은 오히려 증가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동기부여 상담군 A는 허리둘레, 수축기 혈압, 이완기 혈압, 중성지방은 감소하였고, HDL-C 또한 증가하였으나 통계적으로 모두 유의하지 않았으며, 식전혈당은 오히려 증가하였다. 동기부여 상담군 B는 TG만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HDL-C는 증가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수축기 혈압, 이완기 혈압은 낮아졌으나 식전혈당, 허리 둘레는 오히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셋째, 주관적 건강상태는 관리군(적극적 상담군, 동기부여 상담군 A, 동기부여 상담군 B)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긍정적으로 변화하였다. 넷째, 대사증후군 등록자의 6개월 후 재검율은 전체 19.0%이며, 적극적 상담군 29.4%, 동기부여 상담군 A는 19.0%, 동기부여 상담군 B는 14.5%로 나타났다. 등록경로별로 보면 직접 방문하여 대사증후군 관리사업에 등록된 경우가 이동검진이나 건강검진을 통해 등록한 경우보다 높았다. 등록 관리 6개월간 월1회 방문하게 하여 적극적으로 관리서비스를 제공한 적극적 상담군에서 생활습관 및 위험인자들의 변화가 있었으며, 동기부여 상담군에서는 변화가 미미하였다. 즉 제공된 관리서비스의 양과 질에 따라 생활습관과 대사증후군 위험인자 변화에는 차이가 있었다. 하지만 전체적으로는 보건소 대사증후군 관리 사업은 사업목표 달성을 위해 보다 더 효과적인 사업전략 개발이 필요하다 하겠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evaluate the effect of a metabolic syndrome management program on participants enrolled in a public health center program in, Seoul, Korea for 6 months and to analyze the changes in their life habits and risk factors for treating their metabolic syndrome. 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생활습관 개선율을 알아보기 위하여 등록 당시 작성하는 기초설문지와 6개월 후 재검사시 작성하는 설문지를 분석하였다. 기초설문지는 대부분 있었으나 6개월 후 재검사시 작성하도록 되어 있는 체크리스트 설문지의 경우에는 누락된 경우가 많았다.
  • 이 연구는 대사증후군 관리프로그램 등록자의 등록 당시와 6개월 후의 생활습관 변화와 대사증후군 위험인자들의 변화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대사증후군 관리사업의 효과를 평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이 연구는 서울시 1개 보건소를 대상으로 대사증후군 관리프로그램 등록자의 등록 당시와 6개월 후의 생활습관 및 대사증후군 위험인자의 변화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대사증후군 관리사업의 효과를 평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최종 분석대상자는 처음 사업을 시작한 2009년 6월부터 2010년 8월까지 서울시 1개 보건소에 등록하고, 6개월 후 재방문하여 설문과 재검사를 마친 430명 중 자료에 결측치가 없는 381명이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대사증후군이란? 대사증후군은 고혈당, 고혈압, 고지혈증, 복부 비만 등 심혈관 질환의 주된 위험인자를 동시에 가진 일종의 질환군으로 대사증후군을 가지고 있는 성인은 관상동맥질환의 발생률은 2배, 그로 인한 사망률은 3∼4배, 제2형 당뇨병의 발생은 6배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 2]. 대사증후군의 유병률은 인구가 고령화하고, 식생활의 서구화와 신체활동의 감소 등에 따른 비만인구의 증가 등에 의해 늘어나고 있다.
대사증후군의 예방과 관리를 위해서 무엇이 중요한가? 대사증후군의 예방과 관리를 위해서는 신체활동증가, 금연, 절주, 식사조절 등과 같이 생활양식을 개선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6]. 서울특별시는 이러한 상황을 고려하여 “대사증후군 관리 시범사업”을 2009년부터 시작하였다.
적극적 상담군은 최초 상담 실시 후 이후 6개월 동안 월 1회 상담을 통해 무엇을 평가하는가? 적극적 상담군에 대해서는 검진 시 최초 상담을 실시하고 행동계획표를 작성한다. 이후 6개월 동안 월 1회 상담을 통해 건강상태 및 행동계획표 이행여부 등을 평가한다. 관리 기간 동안 건강생활실천을 위한 정보의 전달, 방문일자 알림, 검사 독려 등을 위해 주 1회 문자메시지를 발송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Isomaa B, Almgren P, Tuomi T, Forseen B, Lahti K, Nisseen M. Cardiovascular morbidity and morbidity associated with the metabolic syndrome. Diabetes Care 2001;24:683-689 

  2. Lakka HM, Laaksonen DE. The metabolic syndrome and total and Cardiovasular disease mortality in middle-aded men. JAMA 2002; 288(21):2709-16 

  3. Ford ES, Giles WH, Dietz WH. Prevalence of the metabolic syndrome among us adults; findings from the third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JAMA 2002; 16;28(3):356-359 

  4. Hye SP, Shin HC, Kim BS, Lee KY, Choi WS. Prevalence and associated factors of metabolic syndrome. Korean Journal of Obesity 2003;12(2):108-110 (Korean) 

  5. Ministry of Health & Welfare. The third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05, pp.63-64 

  6. Maki KS. Dietary factors in the prevention of diabetes mellitus and coronary artery disease associated with the metabolic syndrome. Am J Cardio 2004;93:12-17 

  7. 서울특별시대사증후군 관리사업 지원단, 서울특별시 대사증후군 관리 시범사업안내서. 서울특별시, 2009, pp.59-76 

  8. Lee EH. The development and effects of therapeutic lifestyle change(TLC) program forthe elderly[docto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2010(Korean) 

  9. JI SH, Kim HK, Lee EH. Development of lifestyle intervention program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the metabolic syndrome, Yeon se university, 2006, pp.100-110 (Korean) 

  10. Gwanack-gu health center. Evaluation of the result on the integrated health care service for metabolic syndrome and improving plan for its management. 2009, pp.150-154 (Korean) 

  11. Lee AK, Lee SY, Yoon TH, Jeong BG. The effect of follow-up management service on health promotion for obesity population classified in health screening of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Korean Society for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2009;26(3):75-83 (Korean) 

  12. Lee WC. Improving plan for management of post medical checkup,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2005, pp.15-25 (Korean) 

  13. Oh EG, Bang SY, Hyun SS, Chu SH, Jeon JY. Knowledge perception and health behavior about metabolic syndrome for an at risk group in a rural community area. Korean Acad Nurs 2007;37(5):790-800 

  14. Han TK. Effects of fatty acid binding protein 2 genotype and exercise intervention progrms of utilizing both dance sports and walking on obesity and its realated metabolic syndrome markers in middle-aged women[master's thesis]. Sungkyunkwan university, 2007 (Korean) 

  15. Green JS, Stanforth PR, Rankinen T, Leon AS, Rao DC, Skinner JS, Bouchard C, Wilmore JH. The effects of exercise training on abdominal visceral fat body composition and indicators of the metabolic syndrome in postmenopausal women with and without estrogen replacement therapy. Metabolism, 2004;53(9):1192-1196 

  16. Seo JG. The effect of exercise intervention program on the metabolic syndrome risk factors insulin resistance the atherogenic index and the blood vessel inflammation markers of the obese children[master's thesis]. Chungbuk National Universuty, 2010 (Korean) 

  17. Yoo JS, Lee SJ, LEE HC, Kim SH, Park EJ. The effects of short term comprehensive life style modification program on glycemic metabolism lipid metabolism and body composition in type 2 diabetes mellitus. J Korean Acad Nurs 2004;34(7):1277-1287 (Korean) 

  18. GO YY. 14 Weeks by two kinds of obese elderly woman walking in a training program changes in serum lipid pattern. Korean Journal of Rearch in Gerontology 1996;5:131-143 (Korean) 

  19. Lee DC. The effects of exercise and diet education on the components of the metabolic syndrome and physical fitness[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2004 (Korean) 

  20. Choi HS. Analysis of the status of recipients for secondery health exam among comminity[master's thesis]. Inje university, 2002 (Korean) 

  21. Dishman RK. Exercise adherence it's impact on public health. human kinetics, 1988, pp.120-123 

  22. Kang CK. Effects of 12 weeks combined exercise training in elderly farmer on daily living fitness and metabolic syndrome risk factor[doctor's thesis]. Kyung Hee University, 2008 (Korean) 

  23. Leventhal H, Zimmerman R, Gutman M. Compliance a self-regulation perspective in gentry handbook of behavioral medicine. New York Pergamon Press, 1984:369-434. 

  24. Foreyt JP. Need for lifestyle intervention how to begin. The American Journal of cardiology, 2005;94(4A):11-1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