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만성 편마비 뇌졸중 환자의 버그균형척도(Berg Balance Scale)와 Smart Balance Master System의 상관성
Correlation of the Berg Balance Scale and Smart Balance Master System for Chronic Hemiparetic Stroke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2 no.12, 2011년, pp.5741 - 5747  

송창순 (전남과학대학 작업치료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논문은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그들의 균형능력을 평가하여 낙상의 위험을 예견하기 위하여 임상에서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버그균형척도와 균형 및 평형능력을 평가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Smart Balance Master System의 평형지수 사이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함이었다. 22명의 만성 뇌졸중 환자가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조용하고 잘 정돈된 치료실에서 대상자에게 버그균형척도와 Smart Balance Master System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버그균형척도와 Smart Balance Master System의 평형지수는 중등도 이상의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여주었다. 또한 Smart Balance Master System의 6가지 조건에서 모든 '눈 감고 지지면 동요 조건'에서 유의한 상관성이 없었으며, 다른 5가지 조건과는 중등도 이상의 유의한 상관성을 보여주었다. 뇌졸중 환자는 균형능력을 유지하기 위하여 시각에 대한 의존도가 높으며, 버그균형척도가 이런 부분을 적절히 평가하지 못하기 때문에 '눈 감고 지지면 동요 조건'과 유의한 상관성을 보여주지 못한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임상에서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그들의 낙상을 예견하기 위해서는 한 가지 이상의 임상 평가방법을 사용하여 감각기관의 모든 영향을 고려하는 것이 그들의 낙상 위험을 예견하는데 보다 적절하고 효율적인 방법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correlation between the Berg Balance Scale which is most commonly used and the equilibrium scores from Smart Balance Master System which is used for the test of the balance ability for the patients with chronic hemiparetic stroke to predict their falling risk 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생체역학검사는 기능적인 검사방법보다 뇌손상으로 인한 감각과 운동 이상을더 정밀하게 분석할 수 있으나, 감각과 운동 이상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기능적인 제한과 그로 인한 제한적인 일상생활은 검사할 수 없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대표적인 감각검사와 기능적 제한과 일상 생활의 변화를 검증할 수 있는 평가도구에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감각검사가 뇌졸중 환자의 균형을 평가하는데 적합하고 타당한지를 알아보기 위함이다.
  • 본 연구는 입력되는 감각의 변화에 따른 균형 및 평형 능력의 변화를 측정하는 대표적인 감각평가기기의 점수와 기능적 제한과 일상생활의 변화를 검증하기 위하여 임상에서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하는 버그균형척도가 뇌졸중 환자의 균형을 평가하는데 적합하고 타당한지를 알아보기 위함이었다. 또한 이 평가방법들이 뇌졸중 환자의 낙상에 대한 위험요인을 얼마나 예측할 수 있는지 알아 보기 위함이었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버그 균형척도와 Smart Balance Master System의 총점은 중등도 이상의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여주었다, (2)Smart Balance Master System의 조건별 점수를 살펴보면, ‘눈감고 지지면 동요 조건’의 점수가 가장 낮았으며, ‘눈 뜬조건’의 평형지수 점수가 가장 높았다, (3)버그균형척도와 Smart Balance Master System의 6가지 조건 중에서 가장 유의한 상관성을 보여준 조건은 ‘눈 뜬 조건’이었으며, ‘눈 감고, 지지면 동요 조건’은 유의한 상관성을 보이지 않았다.
  • 본 연구는 버그균형척도와 Smart Balance Master System의 평형지수 간에 상관성을 검증하였다. 버그균형 척도는 정적균형과 동적균형을 모두 평가하는 도구이지만, 보행을 실시하는 동안 균형능력을 평가하는 항목이 없으며, Smart Balance Master System은 선 자세에서 검사를 실시하기 때문에 보행은 물론 자세 이동 시 발생 할수 있는 균형능력 상실은 검증할 수 없었다.
  • 본 연구는 입력되는 감각의 변화에 따른 균형 및 평형 능력의 변화를 측정하는 대표적인 감각평가기기의 점수와 기능적 제한과 일상생활의 변화를 검증하기 위하여 임상에서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하는 버그균형척도가 뇌졸중 환자의 균형을 평가하는데 적합하고 타당한지를 알아보기 위함이었다. 또한 이 평가방법들이 뇌졸중 환자의 낙상에 대한 위험요인을 얼마나 예측할 수 있는지 알아 보기 위함이었다.
  • 본 연구에서는 임상에서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버그균형척도와 감각을 변화시켜 균형 및 평형감각을 평가하는 Smart Balance Master System의 평형지수 점수의 상관관계를 검증하였다. 버그균형척도는 14개 항목을 통하여 신체의 정적균형 뿐만 아니라 동적균형능력까지 함께 평가하는 도구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생역학적 검사의 단점은 무엇인가? 생역학적 검사는 외부자극에 대한 자세 반응검사와 균형에 영향을 주는 감각검사(sensory test)를 포함한다. 생체역학검사는 기능적인 검사방법보다 뇌손상으로 인한 감각과 운동 이상을더 정밀하게 분석할 수 있으나, 감각과 운동 이상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기능적인 제한과 그로 인한 제한적인 일상생활은 검사할 수 없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대표적인 감각검사와 기능적 제한과 일상 생활의 변화를 검증할 수 있는 평가도구에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감각검사가 뇌졸중 환자의 균형을 평가하는데 적합하고 타당한지를 알아보기 위함이다.
버그균형척도란 무엇인가? 버그균형척도(Berg Balance Scale)는 정적인 균형 및동적인 균형능력을 객관적으로 측정하는 평가도구로써 Berg 등(1989)에 의하여 개발되었다. 이 평가도구는 다양 한 기능적 움직임을 수행하는 동안 균형을 유지하는 환자의 능력을 측정하는 도구로, 일상생활에서 수행되는 14 가지의 기능적인 과제로 구성되어 있으며, 뇌졸중 환자의 회복정도를 평가하는데 이용되고 있다[10].
뇌졸중 환자의 낙상은 주로 언제 발생하는가? 4회 낙상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5]. 뇌졸중 환자는 주로 보행(walking), 돌기(turning), 이동하기(transfer), 의자에서 일어나기(sit-to-stand), 등의 과제를 수행할 때 낙상하며, 대부분의 낙상은 가정에서 발생하고, 넘어질 때 손상측 사지 전체가 혹은 손상측의 손과 무릎이 바닥에 닿기 때문에 골절과 이차적인 손상의 위험이 증가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H. Park, M. Kang, J Huh, "Recent epidemiological trends of stroke", J Koresurg Soc, 43(1):16-20, 2008. 

  2. S. E. Lamb, et al., "Risk factors for falling in homedwelling older women with stroke: the Women's Health and Aging Study", Stroke, Feb;34(2):494-501, 2003. 

  3. J. J. Eng, M. Y. C Pang, M. C Ashe, "Balance, falls, and bone health: role of exercise in reducing fracture risk after stroke", J Rehabil Res Dev. 45(2):297-313, 2008. 

  4. J. W. Krakauer, "Motor learning: its relevance to stroke recovery and neurorehabilitation", Curr Opin Neurol, 19(1):84-90, 2006. 

  5. A. Forster, and J. Young, "Incidence and consequences of falls due to stroke: a systematic inquiry", BMJ, 311: 83-86, 1995. 

  6. V. Weerdesteyn, M. de Niet, H. J. R. van Duijuhoven, A. C. H. Geurts, "Falls in individuals with stroke", J Rehabil Res Develo, 45(8):1195-1214, 2008. 

  7. D. Hyndman, A Ashburn, L. Yardley, et al., "Interference between balance, gait and cognitive task performance among people with stroke living in the community", Disabil Rehabil, 28(13-14):849-856, 2006. 

  8. A. Shumway-Cook and M. H. Woollacott, "Motor control: Translating research into clinical practice", pp257-272,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011. 

  9. S. F. Tyson, M. Hanley, J. Chillala, et al., "Balance disability after stroke", Phys Ther, 86(1):30-38, 2006. 

  10. L. Blum, and N. Korner-Bitensky, "Usefulness of the Berg Balance Scale in stroke rehabilitation: a systematic review", Phys Ther, 88: 559-566, 2008. 

  11. J. E. Harris, J. J. Eng, D. S. Marigold, et al., "Relationship of Balance and Mobility to fall incidence in people with chronic stroke", Phys Ther, 85(2):150-158, 2005. 

  12. L. J. Liaw, C. L. Hsieh, S. K. Lo, H. M. Chen, "The relative and absolute reliability of two balance performance measures in chronic stroke patients", Disabil Rehabil, 30(9):656-661, 2008. 

  13. K. Berg, S. L. Wood-Dauphinee, J. T. Willimans, "Measuring balance in the elderly: validation of an instrument", Can J Public Health, 83:S9-S11, 1989. 

  14. P. W. Duncan, D. K. Weiner, J. Chandler, and Studenski S, "Functional reach: a new clinical measure of balance", J Gerontol, 45: M192-197, 1990. 

  15. M. E. Tinetti, "Performance-oriented assessment of mobility problems in elderly patients", J Am Geriatr Soc, 34(2):119-126, 1986. 

  16. C. Kwon, H. Park, "The validity of the Mini-mental State Examination-Korean for elderly", Archives of Neuro Psychiatry, 28:125-135, 1989. 

  17. L. Blum, N. Korner-Bitensky, "Usefulness of the Berg balance scale in stroke rehabilitation: a systematic review", Phys Ther, 88:559-566, 2008. 

  18. H. An, M.. Lee "Trunk Control after Stroke and the Relationship With Balance, Activity daily Living ; PASS, TCT, BBS, FM-B, MBI", KAOT, 16(4):31-44, 2008. 

  19. R. Liston, B. J. Brouwer, "Reliability and validity of measures obtained from stroke patients using the balance master", Arch Phys Med Rehabil, 77:425-430, 1996. 

  20. M. J. Faber, R. J. Bosscher, P. C. W. van Wieringen, "Clinometric properties of the performance-oriented mobility assessment", Phys Ther, 86(7)944-954, 2006. 

  21. J. Jonsdottir, D. Cattaneo,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dynamic gait index in persons with chronic stroke" Arch Phys Med Rehabi, 88(11):1410-1415, 2007. 

  22. C. S. Sterke, S. L. Huisman, E. F. van Beeck, et al., "Is the Tinetti performance oriented mobility assessment (POMA) a feasible and valid predictor of short-term fall risk in nursing home residents with dementia?", Int Psychogeriat,. 22(2):254-263, 201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