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measure the proximate composition and mineral content of laver Porphyra yezoensis, we collected 30 raw and 30 dried laver from the major production area of the south coast of Korea (Busan, Goheung, Haenam, Wando). The approximate composition of a 100 g edible portion of raw laver was $89.9{\...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 2009)에 관하여 보고한 바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 국민이 즐겨 섭취하는 김에 대한 일반성분 및 미네랄 함량을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해조류는 육상 야채류에 비해 무엇을 풍부하게 함유하는가? 해조류는 육상의 일반 야채류와 마찬가지로 단백질, 지질, 탄수화물 등 일반 영양성분을 함유하고 있는 것은 물론, 육상 야채류에 비해 다양한 종류의 미네랄을 풍부하게 함유하고 있다. 특히 칼슘, 마그네슘, 요오드, 철 및 아연 등 필수 미량원소의 함유량이 높은 것이 특징이다.
해조류가 최근에는 건강식품으로서도 주목받고 있는 이유는? 특히 칼슘, 마그네슘, 요오드, 철 및 아연 등 필수 미량원소의 함유량이 높은 것이 특징이다. 또한 종류에 따라서는 특이한 생리활성을 나타내는 식이섬유를 비롯한 각종 유효성분도 함유하고 있으며, 성인병과 비만 예방효과가 있다는 것이 여러 연구에서 밝혀져 있어 최근에는 건강식품으로서도 주목받고 있다(Cho et al., 1995; Oishi, 1993)
미량 미네랄에는 어떤 종류가 있는가? 미네랄은 인체의 필요량을 기준으로 하여 하루에 100 mg 이상이 필요한 다량 미네랄(macro mineral, bulk mineral)과 그 이하를 필요로 하는 미량 미네랄(micro mineral, trace mineral)로 나눌 수 있다. 다량 미네랄에는 칼슘, 마그네슘, 나트륨, 칼륨, 인 등이 있으며 미량 미네랄에는 철, 구리, 아연, 망간 등이 있다(Im et al., 2006; KNS, 200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AOAC. 2005.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of AOAC international. 18th ed., In: 4. Animal feed. 1-44. In: 35. Fish and other marine products. 1-35. William H, ed. AOAC International, Maryland, USA. 

  2. Cho DM, Kim DS, Lee DS, Kim HR and Pyeun JH. 1995. Trace components and functional saccharides in seaweed. 1. Changes in proximate composition and trace element according to the harvest season and places. J Kor Fish Soc 28, 49-59. 

  3. Choi WH. 1970. Studies on the variation in chemical constituents of the sea mussel, Mytilus edulis. J Kor Fish Soc 3, 38-44. 

  4. Chun OK and Han SH. 2000. A study on the contents of inorganic compounds in soft drinks. J Food Hyg Safety 15, 344-350. 

  5. Im YG, Choi JS and Kim DS. 2006. Mineral contents of edible seaweeds collected from Gijang and Wando in Korea. J Kor Fish Soc 39, 16-22. 

  6. Jeong BY, Choi BD and Lee JS. 1998a. Proximate composition, cholesterol and a-tocopherol content in 72 species of korean fish. J Kor Fish Soc 31, 160-167. 

  7. Jeong BY, Choi BD and Lee JS. 1998b. Seasonal variation in proximate composition, cholesterol and a-tocopherol content of 12 species of korean fish. J Kor Fish Soc 31, 707-712. 

  8. Jeong BY, Choi BD, Moon SK, Lee JS, Jeong WG and Kim PH. 1999a. Proximate composition and sterol content of 35 species of marine invertebrates. J Kor Fish Soc 32, 192-197. 

  9. Jeong BY, Moon SK, Choi BD and Lee JS. 1999b. Seasonal variation in lipid class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12 species of korean fish. J Kor Fish Soc 32, 30-36. 

  10. Kim CH, Paik HY and Joung HJ. 1999. Evaluation of zinc and copper status in Koreas college women. Korean J Nutr 32, 227-286. 

  11. Kim DB, Jang YM, Kim IB, Lee HY, Jang JH, Kim BY, Lee JG, Kim CM and Chung HR. 2000. The project on nutrition labelling settlement(II).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the reference amount in foods. The annual Report of KFPA 4, 535-547. 

  12. Kim JS, Oh KS and Lee JS. 2001a. Comparison of food component between conger eel(Conger myriaster ) and sea eel(Muraenesox cinereus ) as a sliced raw fish meat. J Kor Fish Soc 34, 678-684. 

  13. Kim KS, Lim JH, Bae TJ and Park CK. 2002. Characteristics of food components in granula ark and ark shell. J Kor Fish Soc 35, 512-518. 

  14. Kim MH, Lee YS, Lee DH, Park HS and Sung CJ. 2001b. The study of relation among serum copper, zinc, leptin and lipids of middle-school girls. J Kor. Soc Food Sci Nutr 30, 540-546. 

  15. KNS(The Korean Nutrition Society). 2005.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p 46. 

  16. KREI(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2011. Food balance sheet. Retrieved from http://www.krei.re.kr/kor/statistics/submenu/sub_menu_07_03.php on July 1. 

  17. Lee JH, Han SB and Lee KH. 1974. The relation between quality and content of zinc and magnesium in dried laver, Porphyra tenetra Kjeliman. J Kor Fish Soc 7, 63-68. 

  18. Lee JH and Sung NJ. 1980. The content of minerals in algae. J Kor Soc Fd Nutr 9, 51-58. 

  19. Lee KH, Park CS, Hong BI and Jung WJ. 1993. Utilization of ascidian, Halocynthia roretzi. 1. Chemical composition of ascidian and its seasonal reginal variation. J Kor Fish Soc 26, 8-12. 

  20. Lee KH, Song SH and Jeong IH. 1987. Quality changes of dried lavers during processing and storage. 1. Quality evaluation of different grades of dried lavers and its changes during storage. J Kor Fish Soc 20, 408-418. 

  21. Lee TS, Lee HJ, Byun HS, Kim JH, Park MJ, Park HY and Jung KJ. 2000. Effect of heat treatment in dried lavers and modified processing. J Kor Fish Soc 33, 529-532. 

  22. Mok JS, Lee DS, Shim KB and Yoon HD. 2009. Mineral content and nutritional evaluation of marine invertebrates from the Korean coast. J Kor Fish Soc 42, 93-103. 

  23. Mok JS, Lee DS and Yoon HD, 2008. Mineral content and nutritional evaluation of fish from the Korean coast. J Kor Fish Soc 41, 315-323. 

  24. Mok JS, Lee DS, Yoon HD, Park HY, Kim YK and Wi CH. 2007. Proximate composition and nutritional evaluation of fisheries products from the Korean coast. J Kor Fish Soc 40, 259-268. 

  25. Mok JS, Park HY and Kim JH, 2005. Trace metal contents of major edible seaweeds and their safety evaluation. J Kor Soc Food Sci Nutr 34, 1464-1470. 

  26. MOHW(Korea 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10. Report on 2009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of Korea. 1-782. 

  27. MOMAF(Ministry of Maritime Affairs & Fisheries). 2002. Standard methods for marine environmental. p 330. 

  28. NFRDI(National Fisheries Research and Development Institute). 2009. Chemical composition of marine products in Korea. 1-245. 

  29. Oishi K. 1993. Science of sea weeds, Asakurasyoten, p 201. 

  30. Pak CK, Yang KR and Lee IK. 1977. Trace metals in several edible marine algae of Korea. J Oceanol Soc Kor 12, 41-47. 

  31. Park JH, Min JG, Kim TJ and Kim JH. 2003. Comparison of food components between red-tanner crab, Chionoecetes japonicus and neodo-daege, a new species of Chionoecetes sp. caught in the east sea of Korea. J Kor Fish Soc 36, 62-6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