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건설근로자의 직무 스트레스와 우울과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Occupational Stress and Depression of Construction Workers 원문보기

산업간호학회지 =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v.20 no.3, 2011년, pp.279 - 288  

이미라 (평택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occupational stress and depression of construction workers. Methods: The subjects were 168 construction workers selected from I city and K city in Korea by convenient sampling. The data were collected by self-report question...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사망재해 발생률 1위이며, 전년대비 재해자 수가 가장 많이 증가하고 과로 및 스트레스로 인한 질환 요양자가 많은 건설근로자를 대상으로 직무 스트레스를 조사하고 우울과의 관계를 파악하며,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여 건설근로자의 재해 예방과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직무 스트레스 및 우울 중재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되었다.
  • 본 연구는 건설업에 종사하는 근로자의 직무 스트레스와 우울을 조사하고 관련성을 파악하며,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여 이들의 직무 스트레스와 우울의 관리 및 예방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기 위함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건설근로자의 직무 스트레스와 우울을 조사하고 관련성을 파악하며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 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건설근로자를 대상으로 직무 스트레스를 조사하고 우울과의 관계를 파악하며,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여 건설근로자의 직무 스트레스와 우울을 관리하고 예방하기 위한 중재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직무 스트레스란 무엇인가? 직무 스트레스란 직무요건이 근로자의 능력이나 자원 또는 근로자의 요구와 일치되지 않을 때 생기는 신체적, 정신적 반응으로 정의할 수 있다. 미국의 경우 근로자의 40% 정도가 직무와 관련하여 스트레스를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NIOSH, 1999), 영국의 “The scale of occupational stress” 보고서에 의하면 근로자의 20%가 직장에서 극심한 스트레스를 경험하고 있는데, 특히 건설 근로자 중 16.
건설근로자가 스트레스가 높을 것으로 예상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17% 증가하여 모든 직종 중 재해자 수가 가장 많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Korea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gency, 2010). 건설근로자는 열악한 근무환경과 높은 근무강도, 근무시간의 불안정과 수많은 하구조로 인하여 근로자의 스트레스는 높을 것으로 예상되는데, 우리나라 전체 근로자 중 건설업의 경우 과로 및 스트레스로 인한 질환 요양자가 12%로 제조업 다음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인 직무 스트레스 요인 측정도구는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가? 직무 스트레스는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이 Chang 등 (2005)과 공동 개발한 “한국인 직무 스트레스 요인 측정도구(KOSS, Korean Occupational Stress Scale)”를 사용하였다. KOSS 측정도구는 총 43개 문항으로, 물리적 환경(3문항), 직무요구(8문항), 직무자율(5문항), 관계갈등(4문항), 직무불안정(6문항), 조직체계(7문항), 보상부적절(6문항) 및 직장문화(4문항) 등의 8개 하부 영역으로 구성되어있다. 각 문항은 4점 Likert 척도로 측정하였으며, 직무 스트레스의 평가는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에서 제시한 공식에 의거 하여 측정값의 분포가 치우치는 것을 피하고 정규분포에 근사하는 측정값을 얻기 위하여 100점 만점으로 환산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Chang, S. J., Koh, S. B., Kang, M. G., Cha, B. S., Park, J. K., Hyun, S. J., et al. (2005). Epidemiology of Psychosocial Distress in Korean Employees.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38(1), 25-37. 

  2. Cho, M. J., & Kim, K. H. (1993). The diagnostic validity of the CES-D (Korean version) in the assessment of DSM-III-R major depression.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y Association, 32(3), 381-399. 

  3. Choi, S. C., & Park, H. W. (2005). A study on the effects of employees socio-emotional problems on stress, depression, and self-esteem.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57(4), 177-196. 

  4. Craig, T., & Van Natta, P. (1978). Current medication use and symptoms of depression in a general population.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135(9), 1036-1039. 

  5. Eom, J. H. (2003). A Study on the stress control of construction worker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Technology, Seoul. 

  6. Ha, H. W. (2011). Effect of construction employees, stress for job satisfac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Seoul. 

  7. Han, Y. R., Park, H. J., & Yoon, H. S. (2008). Job stress and health status of circulation enterprise workers. Journal of Korean Academic Community Health Nursing, 19(4), 622-635. 

  8. Hong, S. W., Uhm, D. C., & Jun, M. H. (2010). Job stress and work-related musculoskeletal symptoms of 119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19(2), 223-235. 

  9. Jang, I. S. (2009). A study on the correlation among occupational stress, depression, health-related behavior and type a behavior patterns of male workers at a steel factory.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18(2), 153-164. 

  10. Jung, T. H. (2009). The study of an analysis on job stress of affecting safety and management performance for workers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Chosun University, Gwangju. 

  11. Karasek, R. C., & Frank, R. G. (1997). The impact psychiatric disorders on work loss days. Psychological Medicine, 27(4), 861-873. 

  12. Kim, J. H., Hyun, M. Y., & Kim, S. Y. (2009). Job stress, depression, social support, and copping strategies of clinical nurse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Nursing, 18(2), 219-231. 

  13. Kim, T. W., Kim, K. S., & Ahn, Y. S. (2010).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depressive symptoms among field fire fighter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Environment Medicine, 22(4), 378-387. 

  14. Kim, T. W., Kim, G. S., Lee, H. E., Ko, G. H., & Yoo, S. W. (2009). Relation between occupational stress and industrial accidents of construction workers. Paper presented at the meeting of the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 Environmental Medicine on the Occupational Stress. Seoul, Korea. 

  15. Kim, W., Hwang, T. Y., Han, B. J., Lee, J. S., Choi, B. H., Kim, S. J., et al. (2007). The impact of major depression disorder on productivity in workers: A preliminary studying using WHO-HP (health and work performance questionnaire).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y Association, 46(6), 589-595. 

  16. Korea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gency. (2010). Statistics on occupational injuries and illnesses in 2009. 

  17. Lee, K. S. (2011). Influence of sleep quality, occupational stress and fatigue on depression among manufacturing mal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Daejeon. 

  18. Lee, K. S., Lee, D. B., Kwon, I. S., & Cho, Y. C. (2011). Depressive symptoms and their association with sleep quality, occupational stress and fatigue among small-scaled manufacturing male worker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Environment Medicine, 23(2), 99-111. 

  19. Lee, S. Y. (2011). Effect of job stress on industrial accidents - centrally on the construction and manufacturing workers. Unpublished master's thesis, Dongguk University, Seoul. 

  20. Lee, Y. M. (2008).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job stress and depression symptoms at a subway workers by job groups. Unpublished master's thesis,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Seoul. 

  21. Lim, H. H. (2007). Job stress and depression in male industry workers. Unpublished master's thesis, Ajou University, Suwon. 

  22. Melchior, M., Caspi, A., Milne, B, J., Danese, A., Poluton, R., & Moffitt, T, R. (2007). Work stress precipitates depression and anxiety in young, working women and men. Psychological Medicine, 37(8), 1119-1129. 

  23. National Institute of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NIOSH, 1999). Stress at work. Retrieved September, 15, 2011. from http://www.cdc.gov/niosh/docs/99-101/ 

  24. Park, J. K. (2007). The stress influences on the job attitudes toward the employees of construction industrie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Dong-Eui University, Busan. 

  25. Park, K. C., Lee, K. J., Park, J. B., Min, K. B., & Lee, K. U. (2008). Association between occupational stress and depression, anxiety, and stress symptoms among white-collar male workers in an automotive company.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Environment Medicine, 20(3), 215-224. 

  26. Radloff, L. S. (1977). The CES-D scale: A report of depression scale for research in general population. Applied Psychol Measurement, 1(3), 385-401. 

  27. Rugulies, R., Bultman, U., Aust, B., & Bur, H. (2006). Psychosocial work environment and incidence of severe depressive symptoms: Prospective finding from a 5-year follow-up of Danish work environment cohort study, American Journal of Epidemiology, 163(10), 877-887. 

  28. Smith, A., Brice, C., Collins, A., Matthews, V., & McNamara, R. (2000). The scale of occupational stress: A further analysis of the impact of demographic factors and type of job (Contract Research Report 311/2000). Sudbury: Health and Safety Executive. HSE Books. 

  29. Standsfild, S. A., Fuhrer, R., Shipley, M. J., & Marmot, M, G. (1999). Work characteristics predict psychiatric disorder: Prospective results from the White II study.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56(5), 302-307. 

  30. Stewart, W. E., Ricci, J. A., Chee, E., Hanhn, S. R., & Morganstein, D. (2003). Cost of lost productive work time among US workers with depression.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289, 3135-3144. 

  31. Wang, J., Schmitz, N., Dewad, C., & Stansfeld, S. (2009). Changes in perceived job strain and the risk of major depression: Results from a population-based longitudinal study. American Journal of Epidemiology, 169(9), 1085-1091.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