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전국 미곡종합처리장에서 채집한 2009년산 쌀과 가공부산물 시료의 독소생성곰팡이 오염
Toxigenic Fungal Contaminants in the 2009-harvested Rice and Its Milling-by products Samples Collected from Rice Processing Complexes in Korea 원문보기

Research in plant disease = 식물병연구, v.17 no.3, 2011년, pp.280 - 287  

손승완 (국립농업과학원 유해생물과) ,  남영주 (국립농업과학원 유해생물과) ,  이승호 (국립농업과학원 유해생물과) ,  이수민 (국립농업과학원 유해생물과) ,  이수형 (국립농업과학원 유해생물과) ,  김미자 (국립농업과학원 유해생물과) ,  이데레사 (국립농업과학원 유해생물과) ,  윤종철 (국립농업과학원 유해생물과) ,  류재기 (국립농업과학원 유해생물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 우리나라 미곡종합처리장의 가공단계별 7종의 쌀 시료에 대한 곰팡이 오염 정도를 조사하였다. 곰팡이독소를 생산하는 곰팡이인 Aspergillus spp., Fusarium spp., Penicillium spp., Alternaria spp.가 우점하고 있었고, 포장곰팡이인 Fusarium과 Alternaria는 남부지방에 저장곰팡이인 Aspergillus와 Penicillium는 중부지방에 오염이 많았다. 또한 원료벼에서 가공단계가 진전될수록 Fusarium과 Alternaria와 같은 포장곰팡이의 오염 정도는 낮아졌으나 심하게 오염된 전라도 시료에서는 크게 낮아지지 않는 경향을 보였다. Aspergillus와 Penicillium과 같은 저장 곰팡이의 오염 정도는 가공단계가 진전될수록 높은 경향을 보였다. 또한 7종의 쌀 시료에는 총 35종의 곰팡이 속(genus)이 오염되어 있었으며 이 중 Myrothecium spp.는 우리나라 쌀 시료에서 처음으로 검출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우리나라의 주식인 쌀의 수확 후 저장, 가공과정의 곰팡이독소의 오염을 종합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기초 자료가 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investigation was undertaken to survey toxigenic fungal contamination of various rice samples in 93 rice processing complexes (RPC) in Korea. Rice was grown in 2009 and the samples were collected in 2010. Seven types of rice samples such as unhusked, brown, blue-tinged, discolored, polished, h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와 같이 저장, 가공과정에 발생하여 품질 저하 및 수량 감소와 곰팡이독소를 생산하는 곰팡이를 관리하기 위해서는 곰팡이의 종류와 발생빈도 등의 기초적인 정보가 필수적으로 필요하다. 따라서 안전한 쌀 생산을 통한 소비 촉진, 수출을 증진하고 금후 쌀의 안전성 향상연구의 우선순위를 설정하고자 전국 미곡종합처리장 93개소를 대상으로 저장, 가공중인 쌀 시료를 채집하여 독소생성 곰팡이의 오염 정도를 조사하였다.
  • 본 연구에서 우리나라 미곡종합처리장의 가공단계별 7종의 쌀 시료에 대한 곰팡이 오염 정도를 조사하였다. 곰팡이독소를 생산하는 곰팡이인 Aspergillus spp.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 미곡종합처리장의 가공 단계별 7종의 쌀 시료에 대한 곰팡이 오염 정도를 조사한 결과는? 본 연구에서 우리나라 미곡종합처리장의 가공단계별 7종의 쌀 시료에 대한 곰팡이 오염 정도를 조사하였다. 곰팡이독소를 생산하는 곰팡이인 Aspergillus spp., Fusarium spp., Penicillium spp., Alternaria spp.가 우점하고 있었고, 포장곰팡이인 Fusarium과 Alternaria는 남부지방에 저장곰팡이인 Aspergillus와 Penicillium는 중부지방에 오염이 많았다. 또한 원료벼에서 가공단계가 진전될수록 Fusarium과 Alternaria와 같은 포장곰팡이의 오염 정도는 낮아졌으나 심하게 오염된 전라도 시료에서는 크게 낮아지지 않는 경향을 보였다. Aspergillus와 Penicillium과 같은 저장 곰팡이의 오염 정도는 가공단계가 진전될수록 높은 경향을 보였다. 또한 7종의 쌀 시료에는 총 35종의 곰팡이 속(genus)이 오염되어 있었으며 이 중 Myrothecium spp.는 우리나라 쌀 시료에서 처음으로 검출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우리나라의 주식인 쌀의 수확 후 저장, 가공과정의 곰팡이독소의 오염을 종합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기초 자료가 될 것이다.
쌀이 자연발생 곰팡이독소 오염으로부터 자유롭지 못한 이유는 무엇인가? 쌀은 강우량이 많은 우기조건에서 잘 자라기 때문에 자연발생 곰팡이독소 오염으로부터 자유롭지 못하다. 특히 수확기에 가까울수록 잦은 강수와 홍수 등의 기상은 작물체에 습기가 많아지게 하고, 이삭은 곰팡이와 세균의 침입을 받기 쉽다.
쌀의 특징은 무엇인가? 쌀은 우리나라를 비롯한 세계 여러 나라에서 밀과 옥수수와 함께 가장 중요한 식량으로 세계 인구의 절반 이상이 쌀을 주식으로 하고 있으며, 총 경작가능면적의 약 10%인 164백만 ha에서 재배되어 약 724백만 톤으로 2002년도 이후 점차 생산량이 증가하고 있다(FAO, 2011). 한국에서는 쌀 재배면적이 2009년 924천 ha이며, 주식 중 가장 많은 양을 섭취하고 있다(MIFAFF, 20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Abbas, H. K., Cartwright, R. D., Shier, W. T., Abouzied, M. M., Bird, C. B., Rice, L. G., Frankross, P., Sciumbato, G. L., and Meredith, F. I. 1997. Natural occurrence of fumonisins in rice with Fusarium sheath rot disease. Plant Dis. 82: 22-25. 

  2. Abbas, H. K., Cartwright, R. D., Windham, G. L., Xie, W., Shier, W. T. and Mirocha, C. J. 2000. The presence of mycotoxins and fungi in rice and corn in the Southern United States. Bull. Inst. Comprehen. Agric. Sci., Kinki Univ. 8: 21-34. 

  3. Adams, J. M. 1977. A review of the literature concerning losses in stored cereals and pulses. Trop. Sci. 19: 1-27. 

  4. Barnett, H. L. and Hunter, B. B., 1998. Illustrated genera of imperfect Fungi. 4th edition, APS Press, Minnesota, 218pp. 

  5. Butt, A. R., Yaseen, S. I. and Javaid, A. 2011. Seed-born mycoflora of stored rice grains and its chemical control. J. Anim. Plant Sci. 21: 193-196. 

  6. Christensen, C. M. and Kaufmann, H. H. 1969. Grain storage: The role of fungi in quality loss. Minneapolis: Univ. Minn. Press. 153 pp. 

  7. Domsch K. H., Gams, W. and Anderson T. 1980. Compedium of soil fungi. Vol. I, Academic Press, London, 859 pp. 

  8. Ellis, M. B. 1971. Dematiaceous hyphomycetes. Commonwealth Mycological Institute, Kew, Surrey, London. 608 pp. 

  9. FAO. 2011. Rice market monitor. URL http://www.fao.org/ economics/est/publications/rice-publication/rice-marketmonitor-rmm/en/ 

  10. Hussaini, A. M., Timothy, A. G., Olufunmilayo, H. A., Ezekiel, A. S., and Godwin, H. O. 2007. Fungi and some mycotoxins contaminating rice (Oryza sativa) in Niger State, Nigeria. African J. Biotechnol. 6: 99-108. 

  11. King, A. D., Pitt, J. I., Beuchat, L. R. Corry, J. E. L. 1986. Methods for mycological examination of foods. Plenum Press, New York. 

  12. Lee, S.-H., Son, S. W., Nam, Y. J., Shin, J. Y., Lee, S., Kim, M., Yun, J.-C., Ryu, J.-G. and Lee, T. 2010. Natural occurrence of fusarium mycotoxins in field-collected maize and rice in Korea in 2009. Res. Plant Dis. 16: 306-311. (In Korean) 

  13. Lee, T., Lee, S.-H., Lee, S.-H., Shin, J. Y., Yun, J.-C. Lee, Y.-W. Ryu, J.-G. 2011. Occurrence of Fusarium mycotoxins in rice and its milling by-products in Korea. J. Food Prot. 74: 1169-1174. 

  14. Leslie, J. F., Summerell, B. A. and Bullock, S. 2006. The Fusarium Laboratory Manual. Blackwell Publishing, Oxford, UK. 388 pp. 

  15. Magro, A., Carvalho, M. O., Bastos, M.S.M., Carolino, M. Adler, C. S. Timlick, B. and Mexia, A. 2006. Mycoflora of stored rice in Portugal. In: 9th international working conference on stored product protection. PS2-2-6123. pp. 128-134. 

  16. Mheen, T.-I., Cheigh, H.-S., Ragunathan, A. N. and Majumder, K. S., 1982. Studies on the fungi in stored rice. Korean J. Appl. Microbiol. Bioeng. 10: 191-96. 

  17. MIFAFF (Ministry for Food,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2010. Food,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statistical Yearbook (www.mifaff.go.kr). 460 pp. 

  18. Oh, J. Y., Jee, S. N., Nam, Y., Lee, H., Ryoo, M. I. and Kim, K. D. 2007. Populations of fungi and bacteria associated with samples of stored rice in Korea. Mycobiol. 35: 36-38. 

  19. Park, J. W., Choi, S. Y., Hwang, H. J. and Kim, Y. B. 2005. Fungal mycoflora and mycotoxins in Korean polished rice destined for humans. Int. J. Food Microbiol. 103: 305-314. 

  20. Pitt, J. I., Hocking, A. D., Bhudhasami, K., Miscamble, B. F., Wheeler, K. A. and Tanboon, E. K. P. 1994. The normal mycoflora of commodities from Thailand: beans, rice, small grains and other commodities. Int. J. Food Microbiol. 23: 35-43. 

  21. Rahmania, A., Soleimanya, F., Hosseini, H. and Nateghi, L. 2011. Survey on the occurrence of aflatoxins in rice from different provinces of Iran. Food Addit. and Contam. Part B 4: 185-190. 

  22. Ramm, K., Ramm, M., Lieberman, B. and Reuter, G. 1994. Studies of the biosynthesis of tentoxin by Alternaria alternata. Microbiol. 140: 3257-3266. 

  23. Reddy, K. R. N., Reddy, C. S., Abbas, H. K., Abel, C. A. and Muralidharan, K. 2008. Mycotoxigenic fungi, mycotoxins, and management of rice grains. Toxin Reviews 27: 287-317. 

  24. Riazipour M., Imani Fooladi, A. and Razzaghi-Abyaneh, M. 2009. Natural occurrence of T-2 toxin in domestic and imported rice. Iranian J. Publ. Health 38: 111-116. 

  25. Ryu, J.-G., Lee, S., Lee, S.-H., Son, S. W., Nam, Y. J., Kim, M., Lee, T. and Yun, J.-C. 2011. Natural occurrence of Fusarium head blight and its mycotoxins in 2010-harvested barley and wheat grains in Korea. Res. Plant Dis. 17: 272-279. (In Korean) 

  26. Samson, R. A., Hoekstra, S. S., Frisvad, J. C. and Filtenborg, O. 1995. Introduction to food-borne fungi. Centraalbureau voor Schimmelcultures, The Netherlands. 322 pp. 

  27. Shim, H.-S., Hong, S.-G., Hong, S.-J., Kim, Y.-K., Ye, W.-H. and Sung, J.-M. 2005. Detection of fungi associated with rice ear blight from rice seeds in Korea. Res. Plant Dis. 11: 93-97. (In Korean) 

  28. Shim, H. G., Noh, T.-H., Lee, D.-K., Song, J.-J. and Oh I.-S. 2009. Occurrence of rice headblight in Honam area and infection mechanism. Annual Report for 2008, pp. 453-461. National Institute of Crop Science. (In Korean) 

  29. Suprasert, D. 2000. Recent status of mycotoxin research in Thailand. J. Jpn. Assoc. Mycotoxicol. 50: 27-29. 

  30. Tanaka, K., Kobayashi, H, Nagata, T. and Manabe M. 2004. Natural occurrence of trichothecenes on lodged and waterdamaged domestic rice in Japan. J. Food Hyg. Soc. Jpn. 45: 63-66. 

  31. Tanaka K., Sago Y., Zheng Y., Nakagawa H. and Kushiro M. 2007. Mycotoxins in rice. Int. J. Food Microbiol. 119: 59-66. 

  32. Yoshida, M., Kawada, N. and Nakajima, T. 2007. Effect of infection timing on Fusarium head blight and mycotoxin accumulation in open- and closed-flowering barley. Phytopathol. 97: 1054-106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