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벼 키다리병 저항성 검정을 위한 기내 유묘 검정법 개발
Development of In Vitro Seedling Screening Method for Selection of Resistant Rice Against Bakanae Disease 원문보기

Research in plant disease = 식물병연구, v.17 no.3, 2011년, pp.288 - 294  

이용환 (농촌진흥청 기획조정관실) ,  이명지 (국립농업과학원 농업생물부) ,  최효원 (국립농업과학원 농업생물부) ,  김성택 (국립농업과학원 농업생물부) ,  박진우 (국립농업과학원 농업생물부) ,  명인식 (국립농업과학원 농업생물부) ,  박경석 (국립농업과학원 농업생물부) ,  이세원 (국립농업과학원 농업생물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벼 키다리병은 매우 중요한 벼의 병 가운데 하나로 아시아 지역에서 넓게 발생하고 있다. 포장에서의 저항성 검정체계가 개발되어 있지만, 그 검정 결과가 환경조건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정확하고 빠른 키다리병 품종 저항성 검정을 위하여 기내에서 검정하는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병원균을 접종한 '남평벼', '주남벼', '추청벼', '삼천벼', '오대벼', '화신벼' 등 6개 품종의 종자를 MS배지가 10 ml 씩 담겨 있는 직경 30 mm, 길이 450 mm 시험관에 벼 종자 3립씩 파종 후 $25^{\circ}C$$28^{\circ}C$ 항온기에 치상하고 하루 12시간 광조건으로 배양하였다. 키다리병 증상은 벼가 도장한 후에 2-3주 경과시점 부터 잎 끝이 마르기 시작하여 고사하게 된다. $10^5$ 포자/ml 농도와 $28^{\circ}C$ 조건에서 '남평벼'는 파종후 28일째부터 잎 끝이 마르는 증상을 보이기 시작하여 35일째에 완전히 고사를 하는 반면 다른 품종들은 19-23일째에 모두 고사하였다. 기내유묘검정법을 이용하여 72개 품종에 대해 저항성검정을 한 결과 '남평벼'와 '인월벼'를 저항성으로 '화동벼', '석정벼', '삼광벼', '삼평벼', '농호벼', '흑진주벼', '조안벼'를 중도저항성으로 선발하였다. 기내유묘검정법을 이용할 경우 파종 후 35일 이내에 키다리병 품종저항성 검정을 완료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ice bakanae disease, caused by the fungus Fusarium fujikuroi,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rice diseases and distributed widely in Asia. Resistance screening system in rice field had been established. However, the evaluation results of the system vary according to the environmental conditions when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와 같은 보고들을 토대로 국내에서 개발 보급된 품종에 대해 저항성 검정을 실시한 결과 시험 시기등 환경에 따라 서로 다른 결과들이 도출되었고(자료 미 제시), 포장저항성 검정의 경우 많은 시간과 공간이 요구되는 문제점으로 대량의 품종을 검정하는데 그 실효성이 낮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내에서 환경의 영향을 받지 않고 비교적 단시간 내에 키다리병에 대한 저항성을 검정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고자 저항성검정에 적합한 병원균 접종농도, 육묘온도조건 등을 구명하고 기존에 보고된 품종에 대한 포장저항성 결과와 비교 분석하였다.
  • 따라서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벼 키다리병 저항성 검정을 위해서는 동일한 환경에서 실험할 수 있는 조건을 설정하는 것이 필요하기 때문에 우리는 벼 키다리병 품종 저항성 기내유묘검정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 방법은 접종농도를 105 포자/ml로 하여 파종 전 종자를 침지 접종하고 길이 450 mm 이상의 시험관에 파종하여 이를 28oC의 배양기에 치상하고 하루 12시간 광조건으로 35일 동안 관찰한 후 고사일 수에 따라 ‘남평벼’(저항성)와 ‘주 남벼’(감수성)를 대조 품종으로 하여 저항성 평가를 실시 하는 것이다.
  • 포장에서의 저항성 검정체계가 개발되어 있지만, 그 검정 결과가 환경조건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정확하고 빠른 키다리병 품종 저항성 검정을 위하여 기내에서 검정하는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병원균을 접종한 ‘남평벼’, ‘주남벼’, ‘추청벼’, ‘삼천벼’, ‘오대벼’, ‘화 신벼’ 등 6개 품종의 종자를 MS배지가 10 ml 씩 담겨 있는 직경 30 mm, 길이 450 mm 시험관에 벼 종자 3립씩 파종 후 25oC와 28oC 항온기에 치상하고 하루 12시간 광 조건으로 배양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벼 키다리병은 무엇에 의해 발생하는 병인가? 벼 키다리병은 Fusarium fujikuroi에 의해 발생하는 대표적인 종자전염성병으로 일본에서 1898년 Hori에 의해 처음 보고되었다(Kim, 1981). 우리나라에서는 1960년대 일부 농가에 심하게 발생하여 문제가 되었고 최근에 그 발병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데(Han, 2007), 종자 내부의심한 감염(Park 등, 2008)과 약제 저항성균 출현(Lee 등, 2010) 등에 의한 발병 증가 원인들이 보고되었다.
벼 키다리병은 언제, 어디서 처음 보고되었는가? 벼 키다리병은 Fusarium fujikuroi에 의해 발생하는 대표적인 종자전염성병으로 일본에서 1898년 Hori에 의해 처음 보고되었다(Kim, 1981). 우리나라에서는 1960년대 일부 농가에 심하게 발생하여 문제가 되었고 최근에 그 발병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데(Han, 2007), 종자 내부의심한 감염(Park 등, 2008)과 약제 저항성균 출현(Lee 등, 2010) 등에 의한 발병 증가 원인들이 보고되었다.
벼 키다리병을 효과적으로 방제하기 위하여 어떤 방법들이 사용되고 있는가? 우리나라에서는 1960년대 일부 농가에 심하게 발생하여 문제가 되었고 최근에 그 발병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데(Han, 2007), 종자 내부의심한 감염(Park 등, 2008)과 약제 저항성균 출현(Lee 등, 2010) 등에 의한 발병 증가 원인들이 보고되었다. 키다리 병을 효과적으로 방제하기 위하여 기작이 다른 약제를 혼용하는 방법(Park 등, 2009)과 hexaconazole, tebuconazole 같은 새로운 종자소독제들이 개발 보급되고(Korea Crop Protection Association, 2011) 있으나 이들 방법도 약제저항성균의 출현이 우려되고 있는 실정이다(Lee 등, 2010). 따라서, 이런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해서는 저항성 품종의 재배가 필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Amoah, B. K., MacDonald, M. V., Rezanoor, H. N. and Nicholson, P. 1996. The use of random amplified polymorphic DNA technique to identify mating groups in the Fusarium Section Liseola. Plant Pathol. 45: 115-125. 

  2. Amoah, B. K., Rezanoor, H. N., Nicholson, P. and MacDonald, M. V. 1995. Variation in the Fusarium Section Liseola: pathogenicity and genetic studies of isolates of Fusarium moniliformae Sheldon from different hosts in Ghana. Plant Pathol. 44: 563-572. 

  3. Booth, C. 1971. The genus Fusarium. Commonwealth Mycological Institute, Kew, Surrey, 221 pp. 

  4. Desjardins, A. E., Plattner, R. D. and Nelson, P. E. 1997. Production of fumonisin B sub 1 and moniliformin by Gibberella fujikuroi from rice from various geographic areas. Appl. Environ. Microbiol. 63: 1838-1842. 

  5. Gill, M. A., Yasin, S. I., Khan, T. Z., Ahsanullah, Q. and Butt, M. A. 1993. Evaluation of resistance to bakanae and foot rot disease. Int. Rice Res. Notes 18: 14-15. 

  6. Han, S. 2007. Review of disease occurrence of major crops in Korea in 2007. Proc. Annu. Fall Meeting Symposium KSPP. pp. 19-20. 

  7. Haque, M. A., Rahman, M. M. and Miah, S. A. 1979. A rapid method of screening rice varieties for resistance to bakanae disease in Bangladesh. Int. Rice Commission Newsletter (FAO) 28: 34-37. 

  8. Hashioka, Y. 1952. Varietal resistance of rice to the 'Bakanae' disease. (Studies on pathological breeding of rice V.) Jpn. J. Breeding 1: 167-171. 

  9. Ito, S. and Kimura, J. 1931. Studies on Bakanae disease of the rice plant. Hokkaido Agri. Exp. Stn. 27: 1-95. 

  10. Katayama, T. 1951. Studies on tillering of rice and barley (Ine.mugi no bungestsu kenkyu). Yokendo, Tokyo. 

  11. Khokhar, L. K. 2002. Identification of sourcese of resistance against bakanae and foot rot disease in rice. Pakistan J. Agric. Res. 17: 176-177. 

  12. Kim, C. 1981. Ecological studies of bakanae disease of rice, caused by Gibberella fujikuroi. Korean J. Plant Prot. 20: 146-151. 

  13. Korea Crop Protection Association. 2011. Guideline for pesticide usage. pp. 288-292, 421. 

  14. Lee, Y. H., Kim, S. Y., Choi H.-W., Lee, M.-J., Ra, D. S., Kim, I. S., Park, J. W. and Lee, S.-W. 2010. Fungicide resistance of Fusarium fujikuroi isolates isolated in Korea. Korean J. Pest Sci. 14: 427?432. 

  15. Mohd Zainudin, N. A. I., Razak, A. A. and Salleh, B. 2008. Bakanae disease of rice in Malaysia and Indonesia: Etiology of the causal agent based on morphological, physiological and pathogenicity characteristics. J. Plant Prot. Res. 48: 475-485. 

  16. Nirenberg, H. I. 1976. Untersuchungen uber die morphologische and biologische differenzierung in Fusarium-Sektion Liseola. Mitt. Biol. Vundesansi. Land-Forstwirtsch. Berlin-Dahlem 169: 107-117. 

  17. O'Donnell, K., Cigelnik, E. and Nirenberg, H. 1998. Molecular systematics and phylogeography of the Gibberella fujikuroi species complex. Mycologia 90: 465-493. 

  18. Ou, S. H. 1985. Rice disease, 2nd ed. Commonwealth Mycological Institute, Kew, Surrey, pp. 380. 

  19. Park, W.-S., Choi, H.-W., Han, S.-S., Shin, D.-B., Shim, H.-K., Jung, E.-S., Lee, S.-W., Lim, C.-K. and Lee, Y. H. 2009. Control of Bakanae disease of rice by seed soaking into the mixed solution of procholraz and fludioxnil. Res. Plant Dis. 15: 94-100. (In Korean) 

  20. Park, W.-S., Yeh, Y.-H., Lee, S.-W., Han, S.-S., Lee, J.-S., Lim, C.-K. and Lee, Y. H. 2008. Electron microscopic study for the influence of soaking in hot water and prochloraz solution on spore and mycelium of Fusarium fujikuroi infected in rice seed. Res. Plant Dis. 14: 176-181. (In Korean) 

  21. Rajagopalan, K. 1961. Screening of rice varieties for resistance to foot-rot disease. Curr. Science 30: 145-147. 

  22. Reyes, G. M. 1939. Rice disease and methods of control. Phillippine J. Agric. 10: 419-436. 

  23. Snyder, W. C. and Hansen, H. N. 1945. The species concept in Fusarium with reference to Discolor and other sections. Am. J. Bot. 32: 657-666. 

  24. Sung, J. M., Yang, S. S. and Lee, E. J. 1984. Pathogenicity in nursery box and symptom appearance and yield damage in paddy field by each strain of Fusarium moniliforme. Korean J. Mycol. 12: 65?73. 

  25. Thomas, K. M. 1933. The 'foot rot' of paddy and its control. Madras Agric. J. 21: 263-272. 

  26. Yamanaka, S. and Honkura, R. 1978. Symptoms on rice seedlings inoculated with "Bakanae" disease fungus, Fusarium moniliforme Sheldon. Ann. Phytopathol. Soc. Jpn. 44: 57-58. 

  27. Yeh, W.-H., Choi, H.-W., Kim, S.-A., Shim, H.-S. and Kim, Y.-K. 2005. Studies on ecology and control of rice bakanae disease. Agricultural Biology Research, NIAST, Korea. pp. 490-508. (In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