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청미래 덩굴 잎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균 활성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Smilax china Leaf Extracts 원문보기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preservation, v.18 no.5, 2011년, pp.764 - 772  

고명수 (동남보건대학 식품생명과학과) ,  양종범 (동남보건대학 식품생명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우리나라 중부 이남의 산야에서 자생하는 청미래 덩굴에 대해 다양한 생리활성을 가진 기능성 식품 소재로서의 이용 가능성을 모색하기 위하여 그 잎을 열수 및 에탄올로 추출한 후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 항산화 활성, 아질산염 소거능항균 활성 등을 검토하였다. 청미래 덩굴 잎의 열수 추출물과 에탄올 추출물에는 총 폴리페놀이 각각 $5.433{\pm}0.171mg/g$$13.060{\pm}0.110mg/g$ 함유되어 있었고, 플라보노이드는 각각 $1.599{\pm}0.017mg/g$$3.005{\pm}0.084mg/g$ 함유되어 있었다. DPPH radical 소거능은 1 mg/mL의 농도에서 열수 추출물과 에탄올 추출물이 각각 33.6% 및 92.3%였고, 농도가 증가할수록 에탄올 추출물이 열수 추출물보다 소거능이 급속히 증가하여 강력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아질산염 소거능은 추출물의 농도가 0.1 mg/mL에서 2.0 mg/mL로 증가할수록 열수 추출물은 37.9%에서 61.6%, 에탄올 추출물은 38.4%에서 77.8%로 증가하였고, 같은 농도에서는 에탄올 추출물이 열수 추출물보다 소거능이 더 높았다. 항균 활성은 공시된 6 균주 중에서 Listeria monocytogenes와 Escherichia coli를 제외한 4균주에 대해서 Bacillus cereus, Vibrio parahaemolyticus, Salmonella typhymurium, Staphylococcus aureus의 순으로 강하게 나타났고, 에탄올 추출물이 열수 추출물보다 강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B. cereus에 대해서는 두 추출물 모두 1.5 mg/disc 이상의 농도에서 대조구인 1% sorbic acid 용액과 유사하거나 강한 항균 활성을 보였고, S. aureus에 대해서는 낮은 농도에서도 대조구와 유사한 항균 활성을 보였다. 열수 추출물과 에탄올 추출물 모두 $65-125^{\circ}C$에서 30분간 열처리 후에도 공시된 4 균주에 대해 항균 활성이 그대로 유지되어 열 안정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Hot-water and 70%-ethanol Smilax china leaf extracts were prepared, and their total polyphenol and flavonoid contents, DPPH-radical-scavenging ability, nitrite-scavenging ability, and antimicrobial activity were determined. The total polyphenol contents of the hot-water and ethanol extract wer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중부 이남의 산야에서 자생하는 청미래 덩굴에 대해 다양한 생리활성을 가진 기능성 식품 소재로서의 이용가능성을 모색하기 위하여 그 잎을 열수 및 에탄올로 추출한 후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 항산화 활성, 아질산염 소거능 및 항균 활성 등을 검토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청미래 덩굴이란? 청미래 덩굴(Smilax china Linne)은 우리나라 중남부 지방을 비롯하여 중국 및 일본에 널리 분포하며, 백합과 (Liliaceae)에 속하는 낙엽활엽 덩굴성 관목으로 명감나무 또는 망개나무라고 불린다. 그 줄기는 마디마다 휘어 있고, 군데군데에 갈고리 같은 가시가 나 있으며, 길이가 3 m 정도로 자란다.
청미래 덩굴의 외형은 어떠한가? 청미래 덩굴(Smilax china Linne)은 우리나라 중남부 지방을 비롯하여 중국 및 일본에 널리 분포하며, 백합과 (Liliaceae)에 속하는 낙엽활엽 덩굴성 관목으로 명감나무 또는 망개나무라고 불린다. 그 줄기는 마디마다 휘어 있고, 군데군데에 갈고리 같은 가시가 나 있으며, 길이가 3 m 정도로 자란다. 그 잎은 두껍고 넓은 타원형으로 길이가 4-12 cm, 폭이 2-10 cm이고 윤기가 있다(4). 이와 같이 떡을 싸기에 좋은 형태인 청미래 덩굴 잎으로 싸서 만든 망개떡은 여름철에도 보존성이 높아 경남 의령 일대의 전통음식으로 잘 알려져 있는 바, 이에 근거하여 청미래 덩굴 잎을본 실험의 재료로 선정하였다.
항산화제의 역할은 무엇인가? 산화는 육류나 유지식품 등에서 흔히 발생하는 현상이며, 지질의 과산화는 영양가를 감소시키거나 색과 향미에 나쁜 영향을 미치는데, 이러한 지질의 과산화를 방지해줌으로써 식품의 안전성을 높이는 역할을 하는 것이 항산화제이다. 항산화제로는 오래전부터 많은 합성 물질들이 개발 되어 왔으나, 그 효과와 경제성 및 안전성 때문에 주로 사용 되고 있는 합성 항산화제는 BHA와 BHT의 두 종류에 불과 하다(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2)

  1. Kim EY, Baik IH, Kim JH, Kim SR, Rhyu MR (2004) Screening of the antioxidant activity of some medicinal plan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6, 333-338 

  2. Branen AL (1975) Toxicology and biochemistry of butylated hydroxyanisole and butylated hydroxytoluene. J Am Oil Chem Soc, 52, 59-63 

  3. Cho MH, Bae EK, Ha SD, Park JY (2005) Application of natural antimicrobials to food industry. Food Science and Industry, 38, 36-45 

  4. Kim TJ (1993) Alpine flowers of Korea, Kyohaksa, Seoul, Korea, p 542 

  5. Song HS, Park YH, Jung SH, Kim DP, Jung YH, Lee MK, Moon KY (2006) Antioxidant activity of extracts from Smilax china root.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 1133-1138 

  6. Song JH, Kwon HD, Lee WK, Park IH (1997) Antimicrobial activity of crude extracts from Smilax china root. Korean J Biotechnol Bioeng, 12, 560-564 

  7. Shu XS, Gao ZH, Yang XL (2006) Anti-inflammatory and anti-nociceptive activities of Smilax china L. aqueous extract. J Ethnopharmacol, 103, 327-332 

  8. Jin TY, Park JR, Kim JH (2004) Electron donating abilities, nitrite scavenging effects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Smilax china leaf. J Korean Soc Food Sci Nutr, 33, 621-625 

  9. Choi HY (2004) Antimicrobial effect of ethanol extract of Smilax china leaf. Korean J Sanitation, 19, 22-30 

  10. Cha BC, Lee EH (2007) Antioxidant activity of flavonoids from the leaves of Smilax china Linne. Korean J Pharmacogn, 38, 31-36 

  11. Folin AD, Denis W (1915) A colorimetric method for the determination of phenols (and phenol derivatives) in urine. J Biol Chem, 22, 305-308 

  12. Kim EJ, Lee HJ, Kim HJ, Nam HS, Lee MK, Kim HY, Lee JH, Kang YS, Lee JO, Kim HY (2005) Comparison of colorimetric methods for the determination of flavonoid in propolis extract produc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7, 918-921 

  13. Bloi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stable free radical. Nature, 26, 1199-1200 

  14. Gray JI, Dugan JLR (1975) Inhibition of N-nitrosamine formation in model food system. J Food Sci, 40, 981-985 

  15. Piddock LJG (1990) Techniques used for the determination of antimicrobial resistance and sensitivity in bacteria. J Appl Bacteriol, 68, 307-318 

  16. Lee SO, Lee HJ, Yu MH, Im HG, Lee IS (2005) Total polyphenol content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methanol extracts from vegetables produced in Ullung island. Korean J Food Sci Technol, 37, 233-240 

  17. Kwon GJ, Choi DS, Wang MH (2007) Biological activities of hot water extracts from Euoynymus alatus leaf. Korean J Food Sci Technol, 39, 569-574 

  18. Jang SH, Yu EA, Han KS, Shin SC, Kim HK, Lee SG (2008) Changes in total polyphenol contents and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Agrimonia pilosa according to harvest time and various part.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6, 397-401 

  19. Song J, Chung MN, Kim JT, Chi HY, Son JR (2005)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in various cultivars of sweet potato. Korean J Crop Sci, 50, 141-146 

  20. Kim HJ, Lee JW, Kim YD (2011) Antimicrobial activity and antioxidant effect of Curcuma longa, Curcuma aromatica and Curcuma zedoaria. Korean J Food Preserv, 18, 219-225 

  21. Lee KS, Kim MG, Lee KY (2006) Antioxidant activity of ethanol extract from Lotus (Nelumbo nucifera) leaf.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 182-186 

  22. Lee YM, Shin HD, Lee JJ, Lee MY (2007) Antioxidative effect of Chaenomelis fructus ethanol extract. Korean J Food Preserv, 14, 177-182 

  23. Seo JK, Kang MJ, Shin JH, Lee SJ, Jeong HK, Sung NJ, Chung YC (2010) Antimicrobial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solvent extracts from different parts of Hagocho (Prunella vulgari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1425-1432 

  24. Park SJ, Shin EH, Kim CA (2011) Component analysi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Plantago asiatica L. Korean J Food Preserv, 18, 212-218 

  25. Cho HE, Choi YJ, Cho EK (2010) Antioxidant and nitrite scavenging activity and $\alpha$ -glucosidase inhibitory effect of water extract from Schizandra chinensis Baill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481-486 

  26. Choi NY, Lee JH, Shin HS (2008) Antioxidant activity and nitrite scavenging ability of olive leaf (Olea europaea L.) fractions. Korean J Food Sci Technol, 40, 257-264 

  27. Kim SJ, Youn KS, Park HS (2005) Antioxidative effect of pine, oak, and lily pollen extrac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7, 833-837 

  28. Park CS (2005) Antioxidative and nitrie scavenging abilities of medicinal plant extracts. Korean J Food Preserv, 12, 631-636 

  29. Park CS, Kwon CJ, Choi MA, Park GS, Choi KH (2002) Antioxidative and nitrite scavenging activities of Coddyceps militaris extracts. Korean J Food Preserv, 9, 109-113 

  30. Park CS, Kwon CJ, Choi MA, Park GS, Choi KH (2002) Antioxidative and nitrite scavenging activities of mugwort and needle extracts. Korean J Food Preserv, 9, 248-252 

  31. Mirvish SS, Wallcave L, Eagen M, Shubik P (1972) Ascorbate-nitrite reaction; Possible means of blocking the formation of carcinogenic N-nitroso compounds. Science, 177, 65 

  32. Takashi Y, Yamamoto M, Tamura A (1978) Studies on the formation of nitrosamines; The effects of some polyphenols on nitrosation of diethylamine. J Food Hyg Soc, 19, 224 

  33. Shenoy NR, Choughuley ASU (1989) Effect of certain phenolics on nitrosamine formation. J Agric Food Chem, 37, 721 

  34. Kim YD, Cho DB, Kim KJ, Kim KM, Hur CK, Cho IK (2005) Antimicrobial activity of the solvent extracts from of chestnut. Korean J Food Preserv, 12, 257-262 

  35. Kong YJ, Park BK, Oh DH (2001) Antimicrobial activity of Quercus mongolica leaf ethanol extract and organic acids against food-borne microorganisms. Korean J Food Sci Technol, 33, 178-183 

  36. Lee KS, Lee JC, Han KH, Oh MJ (1999) Antimicrobial activities of extracts of Perilla frutescens Briton var. acuta Kudo on spoilage or foodborne disease microorganisms. Korean J Postharvest Sci Technol, 6, 239-244 

  37. Koh MS (2004) Antimicrobial activity of Saururus chinensis Bail extract. J Korean Soc Food Sci Nutr, 33, 1098-1105 

  38. Lee BW, Shin DH (1991) Screening of natural antimicrobial plant extract on food spoilage microorganisms. Korean J Food Sci Technol, 23, 200-204 

  39. Moon JS, Kim SJ, Park YM, Hwang IS, Kim EH, Park JW, Park IB, Kim SW, Kang SG, Park YK, Jung ST (2004) Antimicrobial effect of methanol extracts from some medicinal herbs and the content of phenolic compounds. Korean J Food Preserv, 11, 207-213 

  40. Lee OH, Lee HB, Son JY (2004) Antimicrobial activities and nitrite scavenging ability of olive leaf fractions.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20, 204-210 

  41. Park KN, Jeong EJ, Lee SH (2007) Antimicrobial activity of tumeric (Curcuma aromatica Salab.) extracts against various pathogens and spoilage bacteria isolated from tofu. Korean J Food Preserv, 14, 207-212 

  42. Park NY, Park KN, Lee SH (2004) Antimicrobial activities and food preservative effects of Agrimoniae herba. J Korean Soc Food Sci Nutr, 33, 244-24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