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고문헌에 기록된 사라진 우리술을 발굴하는 전통주 복원 프로젝트의 일환으로서 시판 누룩 5종을 사용한 석탄주(惜呑酒)를 제조하여 이들의 양조적성을 구명하였다. 석탄주 발효 중 품온변화 등 일반성분을 분석하였고 완성된 석탄주(발효기간 10일)의 관능평가를 실시하였다. 전체적으로 술덧의 품온변화는 실내온도 변화에 상응하였다. pH는 전체적으로 발효 0~3일차까지 급격히 떨어졌다가 발효 중간부터 완만히 증가(3일: 3.13~3.57, 6일: 3.35~3.80)하였고, 발효 종료 시, pH 3.60~4.05로 상승하였다. 산도는 전반적으로 높았으며 (0.45~0.59%) Nuruk-B의 수치가 가장 높았다. 이는 누룩에 생육하는 유기산 생성 곰팡이와 젖산균이 술덧의 적절한 온도, 원료 조성, 효모 수에 따라 유기산 생산능에 차이가 있는것으로 보여진다. 환원당과 당도는 Nuruk-C로 제조한 석탄주에서 가장 높았으나(5.36%, 23o) 알코올 함량(8.6%)은 가장 낮았다. 5종의 시판누룩으로 발효시킨 석탄주에서 Nuruk-A가 알코올 함량(19.4%)이 가장 높았고 휘발산은 발효 3일째 가장 높은 수치(132.6~263.7 ppm)를 나타내었으나, 발효가 진행되면서 급격히 감소(5.25~5.94 ppm)하였다. 관능평가는 5점 척도법으로 실시하였으며 Nuruk-D로 제조한 석탄주가 전반적인 기호도가 가장 높았고(4.0), Nuruk-A의 경우 가장 낮았다(2.77).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investigated quality characteristics of Seoktanju (one of the Korean traditional rice wine) which was fermented using five kinds of Korean commercial Nuruk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search what effects on the quality of Seoktanju by using different Nuruks. We analyzed general componen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현재까지 누룩 종류에 따른 전통주의 양조적성 연구는 거의 수행되지 않았지만, Lee 등은[3] 주모 제조시 멥쌀, 찹쌀, 보리쌀, 밀가루를 이용하여 술덧의 품질특성을, Han 등[4] 은 시판 재래누룩과 Mucor racemosus, Rhizopus japonicus, Aspergillus oryzae, Aspergillus kawachii 균주를 각각 표면접종한 누룩들을 사용하여 술덧의 품질특성을 연구한 사례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에서 시판되는 누룩 종류별로 석탄주를 제조하여 이들의 품질특성과 관능평가를 비교하였다. 국내 약·탁주 제조업체에서 사용하는 대표적인 재래누룩 4종과 개량누룩 1종을 선발하여 각 누룩 별 발효온도 변화, 이화학적 품질특성과 관능평가를 통하여 석탄주의 양조적성을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석탄주는 조선무쌍신식요리제법에서 어떻게 소개되는가? 석탄주(惜呑酒)는 일반 이양주로서 조선무쌍신식요리제법(朝鮮無雙新式料理製法)에서는 석탄향으로 소개되어 있으며 특징은 달고 쓴맛이 있어 입을 다물고 삼키지 못할 정도로 아깝다는 스토리텔링[5]을 가지고 있다.『임원십육지』에서는 밑술 제조시 멥쌀이 두 말(36 L)을 사용하는 것으로 기록[6]되어 있고 『주방문』과 『음식방문』에 등장하는 석탄주는 밑술 제조시 두 되(3.
시판 누룩 5종을 사용한 석탄주(惜呑酒)를 제조하여 이들의 양조적성을 구명한 결과는 무엇인가? 석탄주 발효 중 품온변화 등 일반성분을 분석하였고 완성된 석탄주(발효기간 10일)의 관능평가를 실시하였다. 전체적으로 술덧의 품온변화는 실내온도 변화에 상응하였다. pH는 전체적으로 발효 0~3일차까지 급격히 떨어졌다가 발효 중간부터 완만히 증가(3일: 3.13~3.57, 6일: 3.35~3.80)하였고, 발효 종료 시, pH 3.60~4.05로 상승하였다. 산도는 전반적으로 높았으며 (0.45~0.59%) Nuruk-B의 수치가 가장 높았다. 이는 누룩에 생육하는 유기산 생성 곰팡이와 젖산균이 술덧의 적절한 온도, 원료 조성, 효모 수에 따라 유기산 생산능에 차이가 있는것으로 보여진다. 환원당과 당도는 Nuruk-C로 제조한 석탄주에서 가장 높았으나(5.36%, 23o) 알코올 함량(8.6%)은 가장 낮았다. 5종의 시판누룩으로 발효시킨 석탄주에서 Nuruk-A가 알코올 함량(19.4%)이 가장 높았고 휘발산은 발효 3일째 가장 높은 수치(132.6~263.7 ppm)를 나타내었으나, 발효가 진행되면서 급격히 감소(5.25~5.94 ppm)하였다. 관능평가는 5점 척도법으로 실시하였으며 Nuruk-D로 제조한 석탄주가 전반적인 기호도가 가장 높았고(4.0), Nuruk-A의 경우 가장 낮았다(2.77).
석탄주는 어느 시대의 술인가? 부여의 영고(迎鼓), 고구려의 동맹(東盟), 동예의 무천(舞天) 등 여러 제천의식을 거행하면서 전통곡주(傳統穀酒) 문화가 정착되어『삼국지』부여전에 “晝夜飮食歌舞(밤낮으로 먹고 마시며 노래하고 춤춘다)”는 기록으로 보아 이 시기에 이미 술이 보편화된 것을 알 수 있다[1]. 또한 고려 후기에 대륙으로부터 증류주 문화가 유입되었고 조선시대에는 멥쌀 대신 찹쌀을 이용하여 주질을 고급화시킴으로써 전통주의 전성기로 이어졌으며, 주변국과 교류하여 우리술이 국제화로 발전하였다[2]. 그러나 일제 강점기 주세령 시행(1907년)과 주류단속(1916년)으로 자가주조는 전면적으로 금지되면서 우리의 고급주들은 그 맥이 단절되었고 오늘날까지 외래주류에 밀리면서 국적 없는 술 문화 시대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Han, E. H., T. S. Lee, B. S. Noh, and D. S. Lee. 1997. Quality characteristics in mash of Takju prepared by using different nuruk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29: 555-562. 

  2. Jeong, J. W., K. J. Park, M. H. Kim, and D. S. Kim. 2006. Changes in quality of?spray-dried and freeze-dried Takju powder during storage. Korean J. Food Sci. Technol. 38: 513-520. 

  3. Jin, T. Y., E. S. Kim, S. J. Wang, and M. H. Wang. 2007. Changes in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rice wine, Yakju prepared with different amount of red yeast rice. Korean J Food Sci Technol. 39: 309-314. 

  4. Jung, J. W., C. D. Park, H. H., Park, G. D. Lee, I. S. Lee, and J. H. Hong. 2006. Manufacturing and characteristics of Korean traditional liquor, Hahyangju prepared by Saccharomyces cerevisiae HA3 isolate from traditional nuruk. Korean J. Food Sci. Technol. 38: 659-667. 

  5. Lee, C. Y., T. Y. Kim, and C. K. Sung. 1996. Studies on the souring of Hansan Sogokju (Korean traditional rice wine). Korean J. Food Sci. Technol. 28: 117-121. 

  6. Lee, J. S., T. S. Lee, B. S. Noh, and S. H. Park. 1996. Quality characteristics of mash of Takju prepared by different raw materials. Korean J. Food Sci. Technol. 28: 330-336. 

  7. Lee, W. Y., C. H. Rhee, and C. H. J. Woo. 2004. Changes of quality characteristics in brewing of cordceps (Sambaekju) supplemented with dried persimmon and cordceps sinenisi. Korean J. Food Preserv. 11: 240-245. 

  8. Park, C. S. and T. S. Lee. 2002. Quality characteristics of Takju prepared by wheat flour nuruks. Korean J. food Sci. Technol. 34: 296-302. 

  9. Park, J. H., S. M. Bae, C. Yook, and J. S. Kim. 2004.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Takju prepared with old rice. Korean J. Food Sci. Technol. 36: 609-615. 

  10. Park, S. H. and J. H. Lee. 2005. The correlation of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Kimchi with sourness and overall acceptability. Korean J Food Cookery Sci. 21: 103- 109. 

  11. Ro, H. I., E. H. Chnag, S. T. Joeng, and K. Y. Jahng. 2008. Characteristics of fermentation and wine quality. Korean J. Food Preserv. 15: 317-324. 

  12. Song, J. C., H. J. Park, and W. C. Shin. 1997. Change of Takju qualities by addition of cyclodextrin during the brewing and aging. Korean J. Food Sci. Technol. 29: 895- 900. 

  13. So, M. H. 1993. Conditions for the production of amylase and protease in making wheat flour nuruk by Aspergillus oryzae L2. Korean J. Food & Nutrition. 6: 89-95. 

  14. So, M. H. 1993. Conditions for the production of amylase and protease in making wheat flour nuruk by Rhizopus japonicus T2. Korean J. Food & Nutrition. 6: 96-102. 

  15. So, M. H. 1999. Characteristics of modified nuruk made by inoculation of traditional nuruk microorganisms. Korean J. Food & Nutr. 12: 219-225. 

  16. So, M. H. and J. W. Lee. 1996. Takju brewing by combined use of Rhizopus japonicus-nuruk and Aspergillus oryzaenuruk. J. Korean Soc Food Nutr. 25: 157-162. 

  17. 국세청기술연구소: 주류분석 규정. (2009). p.14, p.17, p.41-42. 

  18. 박록담 (2005), 다시쓰는 주방문, 코리아쇼케이스, p.291. 

  19. 서유구 (1798), 이효지, 조신호, 정낙원, 차경희 (2007) 편역, 임원십육지정조지(鼎俎志) 교문사, p.334. 

  20. 이용기 (2001), 다시보고 배우는 조선무쌍신식요리제법, 남우현, 한복려, 궁중음식연구원, p.82. 

  21. 이효지 (2003), 한국의 전통 민속주, 한양대학교 출판부, p. 13, 23. 

  22. 장지현 (1989), 우리나라 술의 역사, Korean J. Dietary Culture. Vol. 4. No. 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