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두류 누룩으로 제조한 탁주, 약주, 증류주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Takju, Yakju, Spirit made by Pulse Crop Nuruks 원문보기

한국조리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culinary research, v.21 no.3, 2015년, pp.232 - 247  

정재홍 (신안산대학교 호텔조리과) ,  최희숙 (신안산대학교 식품생명과학과) ,  이윤희 (한국양조연구소) ,  이건순 (농수산대학교 교양공통학과) ,  김재민 ((주)충무발효) ,  이정훈 (신안산대학교 호텔조리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향온국(통밀, 녹두), 내부비전국(녹두, 밀가루, 기장), 대두국(통밀, 대두) 등의 누룩으로 각각 탁주, 약주, 증류주를 제조하여 이들의 품질 특성을 평가하였다. 품질 평가를 위하여 발효액의 pH, 당도, 총산도, 알코올 함량, 효모 생균수 등을 측정하였고, 각각의 누룩으로 만든 탁주, 약주, 증류주의 향기성분과 유기산 함량을 측정하였으며, 관능 검사를 실시하였다. 발효가 진행되는 동안 향온국의 pH 저하가 가장 많았고, 당도도 낮아졌다. 총 산도는 발효 초기에 향온국이 가장 높았고, 발효종점에서도 향온국이 가장 높았으나, 대두국과는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p<0.05). 알코올 함량은 내부비전국에서 발효 초기에 가장 높았고, 발효 종점에서는 세 누룩 간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효모 생균수는 발효 초기에 대두국에서 가장 많이 검출되었고, 발효 2일부터 균수가 감소하기 시작하였으며, 발효 종점에서는 세 누룩 간 차이가 없었다. 향기성분 분석에서 acetone과 n-amyl alcohol은 약주, 탁주, 증류주에서 검출되지 않았으나, n-butanol이 가장 높은 수치로 검출되었고, 다음이 i-amyl alcohol이었다. Fusel oil은 증류주에서 가장 많이 검출되었으나, 탁주, 약주, 증류주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유기산 중 fumaric acid와 formic acid는 탁주와 약주에서 검출되지 않았고, 7종의 유기산들이 검출되었으며, 유기산 중 lactic acids가 가장 많았다. 관능검사에서 향온국으로 만든 탁주와 약주가 가장 높은 점수를 얻었고, 대두국이 가장 낮은 점수를 얻었으며, 세 누룩으로 만든 증류주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본 연구 결과로 향온국으로 만든 탁주와 약주가 바람직한 전통주로 판명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quality of characteristics of the Takju, Yakju, spirit made by various pulse crop Nuruks which were made by Whyangonkuk(whole wheat, mung beans), Naebubijeonkuk mung beans, wheat flour, millet), Daedukuk(whole wheat, soybean). pH, Brix, total acidity, cell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 통밀, 녹두, 기장, 대두 등을 기질로 한 새로이 개발된 누룩을 주류회사와 연계하여 다양한 풍미를 갖는 탁주, 약주, 증류주의 발전을 이룰 수 있는 계기가 되었으며, 녹두가 가미된 약주와 탁주가 기존 주류의 맛과 향이 다르다는 평가를 받아, 다양한 주류 생산의 가능성을 시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술이란 어떤 음료를 말하는가? 술이란 탄수화물이 미생물의 분해작용을 받아 알코올을 비롯한 여러 가지 성분이 생성된 발효 음료를 말한다(Lee HS et al 2007). 조상들이 즐겨 먹던 탁주는 예로부터 농주라 하였으며, 우리 민족에게는 아주 중요한 발효식품 중의 하나였다.
주세법상 탁주와 약주는 무엇인가? 조상들이 즐겨 먹던 탁주는 예로부터 농주라 하였으며, 우리 민족에게는 아주 중요한 발효식품 중의 하나였다. 주세법상 탁주와 약주는 곡류 기타 전분이 함유된 물료 또는 전분당과 국 및 물을 원료로 하여 발효시킨 주요(술덧)를 여과하지 않고, 혼탁하게 제성한 또는 발효제성과정에 대통령령이 정하는 물료를 첨가한 것으로 되어 있고, 약주는 발효시킨 술덧을 여과제성한 것 또는 그 발효제성과정에 대통령령이 정하는 물료를 첨가한 것으로 되어 있다. 증류주는 고농도의 알코올을 함유하도록 양조주 또는 술 찌꺼기를 증류한 것이다(Lee SB et al 2004)
막걸리의 특징은 무엇인가? 9%이고, 아미노산, 비타민, 유기산 등 영양소가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는 술로 잘 알려져 있다(Kim HS et al 1992). 제조방법 지역성, 살균 및 비살균에 따라 그 특징이 매우 다양하며, 독창성이 있는 한국적인 술로 감미, 산미, 신미, 고미, 삽미의 오미가 고루 조화되고, 지미와 특유의 청량미가 있는 술로 새콤한 맛을 내는 유기산은 갈증을 해소시켜 준다(Lee GH et al 2013 ; Lee HN et al 2013). 곡류를 발효하여 만든 막걸리는 알코올 농도가 낮아 위에 부담을 최소화하고, 단백질, 식이섬유, 당질 등이 풍부하며, 비타민 B 복합체와 다양한 유기산과 리보플라빈 등 유용한 생리활성 성분이 함유되어 영양학적으로 기능성 가치가 높은 술로 알려져 있다(Kim BK et al 201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Chen Y, Hwang JA, Chang YH (2013). Quality characteristics of Makgeolli added with red bean. Korean J Food Cookery Sci 29(6):777-784. 

  2. Han BR (2007). San Ga Yo Rock. Institute of Korean Royal Cuisine, 13, Seoul. 

  3. Han BS, Han BR (1999). Eum Sic Di Mi Bang. Institute of Korean Royal Cuisine, 107, Seoul. 

  4. Han EH, Lee TS, Noh BS, Lee DS (1997). Quality characteristics in mash of Takju prepared by using different Nuruk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29(3):555-562. 

  5. Hong HG (1984). The effect on the composition of Takju of addition of nuruk under varied conditions. MS Thesis, Seoul Women's University, 1-2, Seoul. 

  6. Huh CK, Lee JW, Kim YD (2012). Quality characteristics of rice wine according to the rice wine seed mash with lactic acid concentration. Korean J Food Preserv 19(9):933-938. 

  7. Hyon YH, GU BS, Song JU, Kim DS (2011). Food Materials. HyungSeul, 65-66, Seoul. 

  8. Jin TY, Lee WG, Lee IS, Wang MH (2008). Changes of physicochemical, sensory and antioxidant activity characteristics in rice wine, Yakju added with different ratios of Codonopsis lanceolatta. Korean J Food Sci Technolo 40 (2):201-206. 

  9. Kim BK, Kang MS, Jeon MJ, Lee SH, Kim MH (2013). Effects of Makgeolli and Makgeolli precipitate on hepatotoxicity and serum lipid content in rats. J Life Sci 23(2):282-289. 

  10. Kim HS, Yang YT, Jung YH, Koh JS, Kang YJ (1992) Clarification of foxtail wine. Korean J Food Sci Technol 24(1):101-106. 

  11. Kim JY, Sung KW, Bae HW, Yi YH (2007). pH, acidity, color, reducing sugar, total sugar, alcohol and organoleptic characteristics of puffed rice powder added Takju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39(3):266-271. 

  12. Kim JY, Yi YH (2010). pH, acidity, color, amino acids, reducing sugars, total sugars, and alcohol in puffed millet powder containing millet Takju during fermentation. J Food Sci Technol 42(6): 727-732. 

  13. Kim SJ, Baek JY, Park CK, Kim GW (2004). Gastroprotective effect of Korean rice-wine (Yakju). Korean J Food Sci Technol 36(5): 818-822. 

  14. Ko YJ, Kang SD, Kang ST, Ryu CH (2011). Quality properties and anti-allergic effect of Makgeolli added with garlic. J Life Sci 21(11): 1592-1598. 

  15. Lee CJ, Lee KJ, Lee SW (1992). Analytical study on the manufacture procedure of rice-win in the Yang Ju Bang.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1):109-132. 

  16. Lee GH, Jang JS, Kim DW (2013). Research trends of Makgeolli(Korean rice wine) using herbal medicine. JAOM 13(1):37-42. 

  17. Lee HG, Cho SH, Jung NY, Cha KH (2012). Lim Won 16 Ji. Kyomonsa, 325, Seoul. 

  18. Lee HN, Lee JM, Chang YH (2013). Quality characteristics of Makgeolli supplemented with cranberries.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3(1):85-91. 

  19. Lee HS, Lee TS, No BS (2007). Volatile flavor components in the mashes of Takju prepared using different yeas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9(6):593-599. 

  20. Lee HS, Park CS, Choi JY (2010).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mashes of Takju prepared using different yeasts. Food Sci Technol 42(1): 56-62. 

  21. Lee JH, Kim GW, Shim JY (2014). Characteristics of Makgeolli Sul-dut by pre-treatment of rice and Koji. Food Eng Prog 18(1):50-59. 

  22. Lee JS, Lee TS, Park SO, Noh BS (1996). Flavor components in mash of Takju prepared by different raw materials. Korean J Food Sci Technol 28(2):316-323. 

  23. Lee JW, Shim JY (2010). Quality characteristics of Makgeolli during freezing storage. Food Engin Prog 14(4):328-334. 

  24. Lee KS, An TK, Kim CM, Sin MG (1997). China Medicine Great Dictionary, vol. 2. Published Yeundam, 779-781, Seoul. 

  25. Lee SB, Ko KH, Yang JY, Oh SH, Kim JG (2004). Science of Food Fermentation. Hyoil 205-206, Seoul. 

  26. Lee SJ, Kim JH, Jung YW, Park SY, Shin WC, Park CS, Hong SY, Kim GW (2011). Composition of organic acids and physiological functionality of commercial Makgeolli. Korean J Food Sci Technol 43(2):206-212. 

  27. Lee SM, Lee TS (2000). Effect of roasted rice and defatted soybean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Takju during fermentation. J Nat Sci 12:71-79. 

  28. Lee TS, Choi JY (1998). Volatile flavor components in Takju fermented with glutinous rice and barley rice. Korean J Food Sci Technol 30(3):638-643. 

  29. Lee YK (1924). Chosun Mussang Shinsik Yoree Jebeub, 90-91, Seoul. 

  30. Min KC, Shim UM, Lee JU, Cho SG, Kim YG, Son GM, Son WS, Cho NC (2000). Lab. of Food Microbiology. Kangmungag Publishing Co., 199-202. Seoul. 

  31. Seo MY, Lee JK, Ahn BH, Cha SK (2005). The changes of microflora during the fermentation of Takju and Yakju. Korean J Food Sci Technol 37(1):61-66. 

  32. Son GR, Kim ST. Lee SW (1991). A study on the brewing in The Hong’s Zu Bang Moon.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1(1):17-29. 

  33. Song JC, Parj HJ (2003). Takju brewing using the uncooked germed brown rice at second stage mash.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6): 847-854. 

  34. Woo SM, Shin JS, Seong JH, Yeo SH, Choi JH, Kim TY, Jeong YJ (2010).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own rice Makgeolli by different Nuruk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2): 301-307. 

  35. Yang HS, Hwang SJ, Lee SH, Eun JB (2011).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Makgeolli with dried citron (Citrus junos Sieb ex Tanaka) peel. Korean J Food Sci Technol 43(5):603-610.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