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비수리 추출물의 피부 상재균에 대한 항균 작용과 항산화 활성, tyrosinase 저해 효과 등에 관한 조사를 수행하였다. 피부 상재균에 대한 항균활성 측정결과, P. ovale에 대한 ethyl acetate 분획의 MIC는 0.125%로 나타났으며, 이는 methyl paraben보다 큰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추출물의 free radical(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소거활성($FSC_{50}$)은 aglycone 분획(14.63 ${\mu}g$/mL)에서 가장 큰 활성을 나타내었고, 또한 Luminol-의존성 화학발광법을 이용한 $Fe^{3+}$-EDTA/$H_2O_2$ 계에서 생성된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에 대한 비수리 추출물의 총항산화능은 aglycone 분획(0.07 ${\mu}g$/mL)에서 가장 큰 활성을 나타내었다. 비수리 추출물에 대하여 rose-bengal로 증감된 사람 적혈구의 광용혈에 대한 억제 효과를 측정하였고, 농도 의존적(1 ~ 50 ${\mu}g$/mL)으로 세포보호 효과를 나타내었다. Tyrosinase의 활성 저해 효과($IC_{50}$)는 비수리 추출물의 ethyl acetate 분획과 aglycone 분획이 각각 104.83 ${\mu}g$/mL, 27.55 ${\mu}g$/mL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들은 비수리 추출물이 $^1O_2$ 혹은 다른 ROS를 소광시키거나 소거하고, ROS에 대항하여 세포막을 보호함으로써 생체계, 특히 태양 자외선에 노출된 피부에서 항산화제로서 작용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tyrosinase 저해활성과 피부 상재균에 대한 항균작용으로부터 항산화, 항노화항균성 화장품 소재로서의 응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the antibacterial activity and the antioxidative effects, inhibitory effects on tyrosinase of Lespedeza cuneata G. Don extracts were investigated. MIC value of ethyl acetate fraction from L. cuneata G. Don on P. ovale (0.125%) showed that the antibacterial activity of the ethyl aceta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 ·OH 등)가 생성되는 계에서의 이들 ROS에 대한 총항산화능에 관한 연구는 아직 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비수리 추출물(혹은 분획)을 제조하고 이들 추출물(혹은 분획)의 피부 상재균에 대한 항균작용, 1O2으로 유도된 세포손상에 대한 보호활성과 free radical 소거활성, Fe3+-EDTA/H2O2 계에서 생성된 활성산소에 대한 총항산화능, tyrosinase 활성 저해 효과를 측정함으로써 항균, 항노화 및 항산화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비수리 추출물의 피부 상재균에 대한 항균작용과 항산화 활성, tyrosinase 저해 효과 등에 관한 조사를 수행하였다. 피부 상재균에 대한 항균활성 측정결과, P.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활성산소종이 야기하는 손상을 억제하기 위한 항산화 활성 물질은 무엇이 있는가? 특히, 계속된 자외선의 노출로 인해 반응성이 매우 큰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이 생성되고 1O2 및 ·OH를 비롯하여 O2·− , H2O2, ROO·, RO·, ROOH 및 HOCl 등[4, 8]의 활성산소종으로부터 유도된 광산화적 손상을 받게 되면 피부의 효소적 및 비효소적 항산화 방어망이 위태롭게 된다[18]. 이러한 활성산소종이 야기하는 손상을 억제하기 위한 항산화 활성 물질로서 다양한 천연 항산화제들과 BHA(butylated hydroxy anisol)와 BHT(butylate hydroxy toluene) 등의 합성 항산화제들을 많이 사용해 왔다. 하지만 합성 항산화제의 경우에는 과량 섭취 시 독성 작용을 일으키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2, 12].
비수리는 분류상 무엇인가? 비수리(Lespedeza cuneata G.Don)는 콩과(Leguminosae)의 여러해살이 초본성 아관목으로 야관문, 삼엽초 등의 여러 가지 이름으로 불리며[13], 우리나라 전국의 산야에 분포하며 일본, 중국, 대만, 인도 등지에도 분포한다. 황폐지의 지피물 조성과 지력증진 식물로 널리 이용되는 흔한 식물이지만, 예로부터 민간에서는 간과 콩팥의 기능을 보호해 주므로 유정(遺精), 유뇨(遺尿) 등을 치료하고, 폐를 강화시키므로 해수, 천식, 유방염, 종기, 시력 강화 작용에 뛰어난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15].
비수리는 예로부터 민간에서 무슨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었는가? Don)는 콩과(Leguminosae)의 여러해살이 초본성 아관목으로 야관문, 삼엽초 등의 여러 가지 이름으로 불리며[13], 우리나라 전국의 산야에 분포하며 일본, 중국, 대만, 인도 등지에도 분포한다. 황폐지의 지피물 조성과 지력증진 식물로 널리 이용되는 흔한 식물이지만, 예로부터 민간에서는 간과 콩팥의 기능을 보호해 주므로 유정(遺精), 유뇨(遺尿) 등을 치료하고, 폐를 강화시키므로 해수, 천식, 유방염, 종기, 시력 강화 작용에 뛰어난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15]. 지금까지 비수리에 관한 연구로서는 종자의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과 미네랄, 아미노산, 비타민 분석이 보고되었으며, 잎 추출물에는 C-glycosylflavone 화합물인 isoorientin, isovitexin 등과 quercetin, kaempferol, vitexin, avicularin, juglanin 등이 보고되어 있다[7, 1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Baba, T., F. Takeuchi, M. Kuroda, H. Yuzawa, K. Aoki, A. Oguchi, Y. Nagai, N. Iwama, K. Asano, T. Naimi, H. Kuroda, L. Cui, K. Yamamoto, and K. Hiramatsu. 2002. Genome and virulence determinants of high virulence community-acquired MRSA. THE LANCET. 359: 1819- 1827. 

  2. Branen, A. L. 1975. Toxicology and biochemistry of butylated hydroxy anisole and bytylated hydoxytoluane. J.Oil Chem. Soc. 52: 59-62. 

  3. Coenye, T., E. Peeters, and H. J. Nelis. 2007. Biofilm formation by Propionibacterium acnes is associated with increased resistance to antimicrobial agents and increased production of putative virulence factors. Res. Microbiol. 158: 386-392. 

  4. Davies, K. J. A. 1987. Protein damage and degradation by oxygen radical. J. Biol. Chem. 262: 9895-9901. 

  5. Dawson, P., I. Han, M. Cox, C. Black, and L. Simmons. 2006. Resident time and food contact time effects on transfer of Salmonella Typhimurium from tile, wood and carpet: Testing the five second rule. J. Appl. Microbiol. 102(4): 1364-5072. 

  6. Diekema, D. J., M. A. Pfaller, F. J. Schmitz, J. Smayevsky, J. Bell, R. N. Jones, M. Beach, and the SENTRY Participants Group. 2001. Survey of Infections Due to Staphylococcus Species: Frequency of Occurrence and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of Isolates Collected in the United States, Canada, Latin America, Europe, and the Western Pacific Region for the SENTRY Antimicrobial Surveillance Program, 1997-1999. CID. 32(2): S114-132. 

  7. Ding, J. L., I. J. Lim, H. D. Lee, and W. S. Cha. 2006. Analysis of minerals, amino acids and vitamin of Lespedeza cuneata. Korean J. Biotechnol. Bioeng. 21(6): 414-417. 

  8. Fantone, J. C. and P. A. Ward. 1982. Role of oxygen-derived free radicals and metabolites in leukocyte dependent inflammatory reaction. Ann. J. Path. 107: 397. 

  9. Garcia-Lara, J., M. Masalha, and S. J. Foster. 2005. Staphylococcus aureus: the search for novel target. DDT. 10(9): 643-651. 

  10. Ha, Y. M., B. B. Lee, H. J. Bae, K. M. Je, S. R. Kim, J. S. Choi, and I. S. Choi. 2009. Anti-microbial activity of grapefruit seed extract and processed sulfur solution against human skin pathogens. J. Life Science. 19(1): 94-100. 

  11. Inui, S., MD, PhD, H. Aoshima, A. Nishiyama, and S. Itami, MD, PhD. 2010. Improvement of acne vulgaris by topical fullerene application: unique impact on skin care. Nanomedicine: NBM. 

  12. Jung, S. J., J. H. Lee, H. N. Song, N. S. Seong, S. E. Lee, and N. I. Baek. 2004. Screening for antioxidant activity of plant medicinal extracts. J. Korean Soc. Appl. Biol. Chem. 47(1): 135-140. 

  13. Kim, S. J. and D. W. Kim. 2007. Antioxidative activity of hot water and ethanol extracts of Lespedeza cuneata seeds. Korean J. Food Preserv. 14(3): 332-335. 

  14. Kim, Y. H. and S. N. Ryu. 2008. Antioxidant activity of mathanol extract from aerial parts in Lespedeza cuneata G. Don. Korean J. Crop Sci. 53(S): 121-123. 

  15. Kwon, D. J., J. K. Kim, Y. H. Ham, and Y. S. Bae. 2007. Flavone glycosides from the aerial parts of Lespeseza cuneata G. Don. J. Korean Soc. Appl. Biol. Chem. 50(4): 344-347. 

  16. Leyden, J. 2003. A review of the use of combination therapies for the treatment of acne vulgaris. J. Am. Acad. Dermatol. 49(3): S200-210. 

  17. Masaki, H., S. Sakaki, T. Atsumi, and H. Sakurai. 1995. Activeoxygen scavenging activity of plants extracts. Biol. Pharm. Bull. 18: 162-166. 

  18. Park, S. N. 2003. Skin aging and antioxidants. J. Soc. Cosmet. Scientists Korea. 29(1): 75-77. 

  19. Rahimuddin, S. A., S. M. Khoja, M. M. Zuhair, N. K. Howell, and J. E. Brown. 2007. Inhibition of lipid peroxidation in UVA-treated skin fibroblasts by luteolin and its glucosides. Eur. J. Lipid Sci. Technol. 109: 647-655. 

  20. Roverts, S. B. 1969. Pityrosporum orbiculare incidence and distribution in clinically normal skin. Br. J. Dermatol. 81: 264-269. 

  21. Schmidt, A. 1997. Malassezia furfur : A fungus belonging to the physiological skin flora and its relevance in skin disorders. Cutis. 59: 21-24. 

  22. Seo, K. H., K. H. Shin, M. S. Shin, J. I. Kim, and S. H. Seo. 1998. Skin Disk Diffusion Method(SDDM) as an Effective in vitro method for measurement of Anti-dandruff activity. J. Soc. Cosmet. Scientists Korea. 24(1): 100-112. 

  23. Sokmen, M., M. Angelova, E. Krumova, S. Pashova, S. Ivancheva, A. Sokmen, and J. Serkedjieva. 2005. In vitro antimicrobial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herbs against Propionibacterium acnes. Life Sciences. 76: 2981-2993. 

  24. Taulo, S., A. Wetlesen, R. K. Abrahamsen, J. A. Narvhus, and R. Mkakosya. 2009. Quantification and variability of Escherichia coli and Staphylococcus aureus cross-contamination during serving and consumption of cooked thick porridge in Lungwena rural households, Malawi. Food Control. 20: 1158-1166. 

  25. Zhoh, C. K., B. N. Kim, S. H. Hong, and C. G. Han, 2002. The antimicrobial effects of natural aromas for substitution of parabens. J. Soc. Cosmet. Scientists Korea. 28(1): 166- 18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