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충남지역 일부 시설노인과 재가노인의 식생활 및 영양섭취상태 비교
Comparative Study on Dietary Life and Nutrient Intakes of Elderly Persons at Nursing Home or Their Home in Chungnam 원문보기

東아시아食生活學會誌 = Journal of the East Asian Society of Dietary Life, v.21 no.5, 2011년, pp.649 - 660  

송은숙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영양교육) ,  김은진 (공주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김명희 (공주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최미경 (공주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거주상태가 다른 시설과 재가 노인들의 식생활 및 영양섭취상태를 비교, 분석하여 질적으로 우수한 양질의 급식을 제공하고 합리적인 식생활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충남지역 일부 시설노인 150명과 재가노인 1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시설노인과 재가노인의 낮잠 빈도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외출 빈도는 재가노인이 시설노인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일상생활 신체활동 정도에서 시설노인이 재가노인보다 매우 가벼운 활동을 한다는 비율이 높았으나, 운동 빈도에서는 시설노인이 재가노인에 비해 규칙적인 운동 비율이 높았다. 2. 시설과 재가 노인 대부분이 질병을 가지고 있었으며, 남자 시설노인은 치매(50.0%)와 소화기질환(30.0%), 재가노인은 혈관질환(40.0%)과 당뇨병(26.0%)순으로 질병을 가지고 있었다. 여자의 경우 시설노인은 소화기질환(43.0%)과 혈관질환(27.0%), 재가노인은 혈관질환(46.0%)과 심장질환(27.0%) 순으로 나타났다. 영양제 복용의 경우 남자 시설노인은 안한다는 응답이 52.0%로 높았으며, 재가노인의 60.0%가 가끔 먹는다고 응답하여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흡연, 음주, 구강상태와 같은 건강관련 평가는 시설노인이 재가노인보다 바람직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3. 식사 빈도의 경우, 여자 노인은 아침, 점심, 저녁식사를 매일 한다는 비율이 재가노인보다 시설노인에서 유의하게 높았으며, 남자 노인은 저녁식사를 매일 한다는 비율이 시설노인보다 재가노인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식사의 양에서는 시설노인은 적당량 식사를 한다고 답한 비율이 가장 높았으며, 재가노인은 배부를 때까지 식사한다는 비율이 가장 높았다. 식사시간은 시설노인들의 식사시간이 재가노인보다 상대적으로 짧은 것으로 나타났다. 일일 간식빈도에서 시설노인은 1회가, 재가노인은 2회가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다. 4. 영양소 섭취량의 경우 시설노인의 에너지 섭취량은 남녀 각각 2,229.9 kcal와 2,302.1 kcal로 재가노인의 1,894.0 kcal와 1,885.9 kcal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그밖에 단백질, 비타민 A, 비타민 $B_1$, 비타민 $B_2$, 니아신, 엽산, 비타민 C, 칼슘, 인, 철, 아연 등의 영양소 섭취량이 재가노인보다 시설노인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시설노인의 건강상태가 재가노인보다 불량함에도 불구하고, 식사빈도, 식사 섭취량, 영양 섭취량 등이 재가노인보다 높게 나타났다. 향후 시설노인과 재가노인에 대한 영양평가 및 관리가 지속적이고 전문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되어야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dietary life and nutrient intakes among elderly persons residing at nursing homes and their homes in order to provide fundamental data for improved foodservice and dietary management. We recruited 150 subjects at a nursing home stay and 150 home stay eld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와 같이 전반적인 영양상태가 취약한 노인의 영양관리 방안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며, 특히 양적으로 크게 증가하고 있는 시설노인의 영양관리와 함께 제도적 사각지대, 자발적인 사각지대에 놓여있는 재가노인의 영양관리에 대책 마련이 시급한 실정에서 두 집단의 영양상태를 비교 분석하는 연구가 선행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충남지역 일부 시설노인과 재가노인을 대상으로 식생활과 영양섭취상태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노인들에게 질적으로 우수한 양질의 급식을 제공하고, 합리적인 식생활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는 기초자료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거주상태가 다른 시설과 재가 노인들의 식생활 및 영양섭취상태를 비교, 분석하여 질적으로 우수한 양질의 급식을 제공하고 합리적인 식생활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충남지역 일부 시설노인 150명과 재가노인 1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에서는 충남지역 일부 노인을 대상으로 시설노인과 재가노인의 영양과 건강상태 관련 행동 파악을 위하여 설문지 방식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각 설문지 문항은 선행 연구(Yoon HJ 2004, Hwang SJ 2008)에서 사용한 설문 문항을 본 연구의 목적에 맞도록 수정, 보완한 후 사용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거주상태가 다른 시설과 재가 노인들의 식생활 및 영양섭취상태를 비교, 분석하여 질적으로 우수한 양질의 급식을 제공하고 합리적인 식생활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본 연구에서는 거주상태가 다른 시설과 재가 노인들의 식생활 및 영양섭취상태를 비교, 분석하여 질적으로 우수한 양질의 급식을 제공하고 합리적인 식생활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충남지역 일부 시설노인 150명과 재가노인 1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시설노인과 재가노인의 낮잠 빈도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외출 빈도는 재가노인이 시설노인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일상생활 신체활동 정도에서 시설노인이 재가노인보다 매우 가벼운 활동을 한다는 비율이 높았으나, 운동 빈도에서는 시설노인이 재가노인에 비해 규칙적인 운동 비율이 높았다. 2. 시설과 재가 노인 대부분이 질병을 가지고 있었으며, 남자 시설노인은 치매(50.0%)와 소화기질환(30.0%), 재가노인은 혈관질환(40.0%)과 당뇨병(26.0%)순으로 질병을 가지고 있었다. 여자의 경우 시설노인은 소화기질환(43.0%)과 혈관질환(27.0%), 재가노인은 혈관질환(46.0%)과 심장질환(27.0%) 순으로 나타났다. 영양제 복용의 경우 남자 시설노인은 안한다는 응답이 52.0%로 높았으며, 재가노인의 60.0%가 가끔 먹는다고 응답하여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흡연, 음주, 구강상태와 같은 건강관련 평가는 시설노인이 재가노인보다 바람직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3. 식사 빈도의 경우, 여자 노인은 아침, 점심, 저녁식사를 매일 한다는 비율이 재가노인보다 시설노인에서 유의하게 높았으며, 남자 노인은 저녁식사를 매일 한다는 비율이 시설노인보다 재가노인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식사의 양에서는 시설노인은 적당량 식사를 한다고 답한 비율이 가장 높았으며, 재가노인은 배부를 때까지 식사한다는 비율이 가장 높았다. 식사시간은 시설노인들의 식사시간이 재가노인보다 상대적으로 짧은 것으로 나타났다. 일일 간식빈도에서 시설노인은 1회가, 재가노인은 2회가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다. 4. 영양소 섭취량의 경우 시설노인의 에너지 섭취량은 남녀 각각 2,229.9 kcal와 2,302.1 kcal로 재가노인의 1,894.0 kcal와 1,885.9 kcal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그밖에 단백질, 비타민 A, 비타민 $B_1$, 비타민 $B_2$, 니아신, 엽산, 비타민 C, 칼슘, 인, 철, 아연 등의 영양소 섭취량이 재가노인보다 시설노인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시설노인의 건강상태가 재가노인보다 불량함에도 불구하고, 식사빈도, 식사 섭취량, 영양 섭취량 등이 재가노인보다 높게 나타났다.
2008년 우리나라 기대 수명은? 8%가 되어「초(超)고령사회」에 도달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2008년 우리나라 기대 수명은 남자 76.5세, 여자 83.3세(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08)로 인구구조가 고령화되어 이로 인한 국가의료비 지출 증가, 요양 보호 필요 노인의 증가 등 시급히 해결해야 할 문제들이 발생되고 있다.
노인의 영양상태에 주된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것은? 평균 수명 연장과 함께 노인인구가 증가하고, 이와 맞물려 사람들의 결혼 관념이 변화되면서 미혼율, 부부의 이혼율 등이 증가함으로 인해 독거노인이 증가하고 있다. 노인의 가족 형태와 경제적 능력이 그들의 영양상태에 주된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실제 배우자와 생활하는 노인이 독거 생활하는 노인보다 영양상태 및 건강상태가 더 양호하며, 독거 생활을 하는 노인의 영양상태는 전반적으로 불량한 것으로 나타났다(Yoon et al 200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국민건강보험공단 (2009) http://www.nhic.or.kr 

  2. 보건복지부 (2007) 보건복지통계연보. 보건복지부, 서울. 

  3. 보건복지부, 노인장기요양보험(2008) http://www.longtermcare.or.kr. 

  4. 한국노인복지중앙회 (2009) http://www.elder.or.kr 

  5. Back JU (2009) Correlation between dental condition, diet, and activity of daily life in senior women of rural area. Korean Public Health Research 35: 1-12. 

  6. Choi JH, Kim MH, Cho MS, Kim WY (2002) The nutritional status and dietary pattern by BMI in Korean elderly. Korean J Nutr 35: 480-488. 

  7. Hwang SJ (2008) A study on nutrient intakes of senior patients of elderly welfare facility and geriatrics hospital in Busan and Gyeongnam area. MS Thesis Silla University, Pusan. p 65-69. 

  8. Hyun TS, Kim KN (1997) Nutritional status of the elderly living in Cheongju - II. anthropometric, biochemical and clinical assessment. Korean J Community Nutr 2: 568-577. 

  9. Jung SJ, Yoon ES, Son TY, Jae SY (2011) Effects of recreational dance exercise on cardiovascular risk factors, vascular structure and function in older women. Exercise Science 20: 35-46. 

  10. Kim HY, Hwang SJ (2011) Association of smoking, economic status and oral health in the elderly in Dong-gu, Daejeon. J Korean Acad Oral Health 35: 67-76. 

  11. Kim SH, Kang HK, Kim JH (2000) Socio-economic factors affecting the health and nutritional status of the aged. Korean J Nutr 33: 86-101. 

  12. Kim WY, Won HS, Kim KO (1997) Effect of age-related changes in taste perception on dietary intake in Korean elderly. Korean J Nutr 30: 995-1008. 

  13.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08) http://www.nso.go.kr 

  14. Lee HY, Lee JS, Shin JW, Lee GJ (2010) Nutrition assessment of older subjects in a health care center by MNA(Mini Nutritional Assessment). J Korean Diet Assoc 16: 122-132. 

  15. Lee JW, Kim KA, Lee MK (1998) Nutritional intake status of the elderly taking free congregate lunch meals compared to the middle-income class elderly. Korean J Community Nutr 3: 594-608. 

  16. Lee KW, Lee YM, Kim JH (2000) The health and nutritional status of low-income, alone-living elderly. Korean J Community Nutr 5: 3-12. 

  17. Lee OH (2002) A comparison of nutritional status and muscle strength of elderly women in a social welfare center and those residing at home. Korean J Community Nutr 7: 603- 614. 

  18. Lee YA, Lee HJ, Lee HS, Jang YA, Kim CI (2006) Nutritional status and its improvement strategy of the elderly living alone. Korean J Community Nutr 11: 16-34. 

  19.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Center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0) 2009 National Health Statistics. Korea Center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Seoul. 

  20. Park JK (2002) Nutritional status of elderly living alone low income status and effect of food-supplying program on nutritional status improvement. MS Thesis Catholic University, Seoul. p 163-174. 

  21. Park JK, Son SM (2003) The dietary behaviors, depression rates and nutrient intakes of the elderly females living alone. Korean J Community Nutr 8: 716-725. 

  22. Park MY, Chun BY, Joo SJ, Jeong GB, Huh CH, Kim GR, Park PS (2008) A comparison of food and nutrient intake status aged females in a rural long life community by the stage model of dietary behavior change. Korean J Community Nutr 13: 34-45. 

  23. Park MY, Kim GR, Lee DJ, Kim JM, Park PS (2006) A survey of food and nutrient intakes of the aged people in rural area, Gyeongbuk Yecheon. Korean J Nutr 39: 58-73. 

  24. Song SH (2009) The prevalence of chronic diseases in the elderly of some rural area. Korean Public Health Research 35: 13-21. 

  25.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2010)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Seoul. 

  26. Yang EJ (2009) The analysis of geriatric nutritional risk index (GNRI) for nutritional assessment and health care in elderly women. Korean J Nutr 42: 234-245. 

  27. Yim KS, Lee TY (2004) Sociodemographic factors associated with nutrients intake of elderly in Korea. Korean J Nutr 37: 210-222. 

  28. Yoon HJ (2004) The assessment of dietary behavior and nutritional status of the elderly and effects of meal service and nutrition education on nutritional status of the elderly in risk of malnutrition. MS Thesis Pusan National University, Pusan. p 116-122. 

  29. Yoon HJ, Lee HK, Lee SK (2007) The health status and nutrient intakes of elderly female in Daegu area. Korean J Community Nutr 12: 50-5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