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 노인의 식생활 지침 실천도와 알츠하이머형 치매의 관련성
Association between compliance with dietary guidelines and Alzheimer's disease in Korean elderly 원문보기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48 no.3, 2015년, pp.221 - 227  

김지은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보건영양학교실) ,  신상아 (서울대학교 보건환경연구소) ,  이동우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상계백병원 정신건강의학교실) ,  박준현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상계백병원 정신건강의학교실) ,  홍은주 (한양사이버대학교 경제금융학) ,  정효지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보건영양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우리나라의 노인 대상으로 식생활지침 실천도 점수에 따른 치매 유병률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치매 노인군이 정상노인군에 비해 나이가 유의하게 많았고, 성, 체격, 그리고, 식사속도, 식사를 거르는 횟수, 편식 등 식생활 특성에는 정상 노인군과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식생활지침 세부 실천지침 중에서 다양한 식품군 섭취, 규칙적이고 안전한 식사, 음주, 가벼운 운동부분에서 치매노인군의 실천도가 정상노인군에 비해 낮았고, 그 외의 문항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식생활지침 실천도 점수가 높을수록 치매 유병률이 낮은 경향을 보였다. 요약하면 어르신을 위한 식생활지침의 실천도가 높을수록 알츠하이머형 치매의 위험이 감소하므로, "어르신을 위한 식생활지침 (보건복지부, 2011)" 실천도를 높이는 것이 알츠하이머형 치매 예방에 도움이 될 수 있으며, 향후 알츠하이머형 치매 예방을 위한 식생활 지침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Confronting the growing burden of dementia requires understanding the causes and predictors of dementia in order to develop preventive strategies. In Korea a large proportion (71%) of dementia is Alzheimer's disease, and the risk factors have not yet been elucidated. Dietary factors may b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치매 노인과 정상 노인의 “어르신을 위한 식생활지침 (보건복지부, 2011)” 실천 정도와 그에 따른 치매 위험도를 비교하여, 치매 예방을 위한 식생활지침의 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마련하는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의 노인 대상 식생활 지침 실천도와 알츠하이머형 치매의 관련성 연구에서 의의와 한계점은 무엇인가요? 본 연구는 그동안 치매와 식생활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는 지중해 식사패턴에 집중된 경향이 있었는데, 한국노인을 위한 식생활지침 실천도를 통해 전체적인 식사의 질을 파악하고 알츠하이머형 치매와의 관련성에 대해 처음으로 연구함으로써, 노인의 건강을 위해 제정한 “어르신을 위한 식생활지침 (보건복지부, 2011)”이 실제로 알츠하이머형 치매와 상관관계가 있다는 것을 증명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그러나 본 연구는 환자-대조군 연구이므로 대상자의 기억에 의존한다는 점과 치매발병 이후 식생활이 변경되었을 수 있다는 제한점이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기존의 치매환자의 경우에는 치매로 인해 식생활이 변경되었을 가능성이 크므로, 새로 치매로 진단받은 초기단계의 치매환자를 대상자로 선정하여, 질병발생 이후 식생활 변화가 관련성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려고 노력하였다.
우리나라 노인들이 빈혈, 골다공증 유병률이 높은 이유는 무엇인가요? 우리나라 노인들은 철분과 칼슘 섭취의 부족으로 빈혈, 골다공증 유병률이 높고, 암, 심혈관질환, 뇌혈관질환, 당뇨병 등 식생활과 관련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진 만성질환의 유병률이 높은 편이다. 이에 보건복지부에서는 만성질환을 예방하는데 도움을 주기 위해, 과학적 근거를 토대로“어르신을 위한 식생활지침”을 제정하여 발표하고 있다.
알츠하이머형 치매의 위험요인으로 알려진 것은 무엇인가요? 알츠하이머형 치매의 알려진 위험 요인으로는 나이, 성, 유전, 교육수준, 혼인 상태, 머리외상, 발작, 당뇨병, 심근경색, 식사 요인 등이 보고되고 있다.2 알츠하이머형 치매와 식생활의 관련성을 연구한 논문들에 따르면, 지중해식 식사 패턴을 잘 지킬수록 치매의 위험이 줄어든다는 보고가있었고,3 신체 활동을 함께 할 경우 치매의 위험이 더욱 감소되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Lopez AD, Mathers CD, Ezzati M, Jamison DT, Murray CJ. Global and regional burden of disease and risk factors, 2001: systematic analysis of population health data. Lancet 2006; 367(9524): 1747-1757. 

  2. Steenland K, MacNeil J, Vega I, Levey A. Recent trends in Alzheimer disease mortality in the United States, 1999 to 2004. Alzheimer Dis Assoc Disord 2009; 23(2): 165-170. 

  3. Gu Y, Nieves JW, Stern Y, Luchsinger JA, Scarmeas N. Food combination and Alzheimer disease risk: a protective diet. Arch Neurol 2010; 67(6): 699-706. 

  4. Scarmeas N, Stern Y, Tang MX, Mayeux R, Luchsinger JA. Mediterranean diet and risk for Alzheimer's disease. Ann Neurol 2006; 59(6): 912-921. 

  5. Scarmeas N, Stern Y, Mayeux R, Manly JJ, Schupf N, Luchsinger JA. Mediterranean diet and mild cognitive impairment. Arch Neurol 2009; 66(2): 216-225. 

  6. McKhann G, Drachman D, Folstein M, Katzman R, Price D, Stadlan EM. Clinical diagnosis of Alzheimer's disease: report of the NINCDS-ADRDA Work Group under the auspices of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Task Force on Alzheimer's Disease. Neurology 1984; 34(7): 939-944. 

  7. Knopman DS, DeKosky ST, Cummings JL, Chui H, Corey-Bloom J, Relkin N, Small GW, Miller B, Stevens JC. Practice parameter: diagnosis of dementia (an evidence-based review). Report of the Quality Standards Subcommittee of the American Academy of Neurology. Neurology 2001; 56(9): 1143-1153. 

  8. Barnard ND, Bush AI, Ceccarelli A, Cooper J, de Jager CA, Erickson KI, Fraser G, Kesler S, Levin SM, Lucey B, Morris MC, Squitti R. Dietary and lifestyle guidelines for the prevention of Alzheimer's disease. Neurobiol Aging 2014; 35 Suppl 2: S74-S78. 

  9. Dai Q, Borenstein AR, Wu Y, Jackson JC, Larson EB. Fruit and vegetable juices and Alzheimer's disease: the Kame Project. Am J Med 2006; 119(9): 751-759. 

  10. Hughes TF, Andel R, Small BJ, Borenstein AR, Mortimer JA, Wolk A, Johansson B, Fratiglioni L, Pedersen NL, Gatz M. Midlife fruit and vegetable consumption and risk of dementia in later life in Swedish twins. Am J Geriatr Psychiatry 2010; 18(5): 413-420. 

  11. Eskelinen MH, Ngandu T, Tuomilehto J, Soininen H, Kivipelto M. Midlife healthy-diet index and late-life dementia and Alzheimer's disease. Dement Geriatr Cogn Dis Extra 2011; 1(1): 103-112. 

  12. Cho KO, Jeong SY. The effects of regular dietary habits on obesity indices and nutrition intakes in adult males. J Korean Diet Assoc 2007; 13(2): 114-122. 

  13. Gustafson D, Rothenberg E, Blennow K, Steen B, Skoog I. An 18-year follow-up of overweight and risk of Alzheimer disease. Arch Intern Med 2003; 163(13): 1524-1528. 

  14. Luchsinger JA, Tang MX, Shea S, Mayeux R. Caloric intake and the risk of Alzheimer disease. Arch Neurol 2002; 59(8): 1258-1263. 

  15. Luchsinger JA, Tang MX, Shea S, Mayeux R. Antioxidant vitamin intake and risk of Alzheimer disease. Arch Neurol 2003; 60(2): 203-208. 

  16. Luchsinger JA, Tang MX, Siddiqui M, Shea S, Mayeux R. Alcohol intake and risk of dementia. J Am Geriatr Soc 2004; 52(4): 540-546. 

  17. Larson EB, Wang L, Bowen JD, McCormick WC, Teri L, Crane P, Kukull W. Exercise is associated with reduced risk for incident dementia among persons 65 years of age and older. Ann Intern Med 2006; 144(2): 73-81. 

  18. Rogers HB, Schroeder T, Secher NH, Mitchell JH. Cerebral blood flow during static exercise in humans. J Appl Physiol (1985) 1990; 68(6): 2358-2361. 

  19. Colcombe S, Kramer AF. Fitness effects on the cognitive function of older adults: a meta-analytic study. Psychol Sci 2003; 14(2): 125-130. 

  20. Barnes DE, Yaffe K, Satariano WA, Tager IB. A longitudinal study of cardiorespiratory fitness and cognitive function in healthy older adults. J Am Geriatr Soc 2003; 51(4): 459-46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