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충남 지역 일부 중학생의 식습관 및 학교 급식 인식도 조사
Study on Dietary Habits of Middle School Students and Perception of School Food Services in Chungnam Province 원문보기

東아시아食生活學會誌 = Journal of the East Asian Society of Dietary Life, v.21 no.5, 2011년, pp.756 - 770  

김명희 (공주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김현정 (공주대학교 영양교육대학원) ,  최미경 (공주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김은영 (숙명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on 419 middle school students (214 boys, 205 girls) in order to examine the general aspects, dietary habits, and performance of the school food services available to them in the Chungnam area. The mean age of the subjects was 15.1 years. The average heights and weights wer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인식도와 요구도를 조사한 결과는 대부분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하였으며(Bae et al 2005, Choi HJ 2005, Shin et al 2006), 중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 결과는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남녀 중학생을 대상으로 가정환경, 생활 습관과 식습관, 학교급식에 대한 인식도를 조사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청소년의 바람직한 식생활과 학교에서의 영양교육과 급식이 나아가야 하는 바람직한 방향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청소년들의 식생활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적 요인과 학교 급식을 통한 교육 효과 및 식생활 태도에 대해 청소년 스스로의 인식 정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으며, 충남 지역 남녀 중학생 419명을 대상으로 가정 환경, 생활습관과 식습관, 학교급식에 대한 인식도를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청소년기에 충분한 영양이 공급되어야 하는 이유는? 청소년기는 인생에 있어 제 2의 성장기로 신체적·정신적 성장이 활발하고, 정서적·지적·성적으로 성숙해지며, 생리적·심리적 변화가 일어나는 역동적인 시기이다(Kretchmer & Zimmermann 1997, Hong et al 2003). 청소년기에 영양섭취가 불량하여 성장, 발육이 지연되거나 억제되면 성장기가 끝난 후에 영양 공급이 충분히 이루어지더라도 회복이 불가능하므로 이 시기에 충분한 영양이 공급되어야 한다. 또한 이 시기에 형성된 식습관은 변화시키기 어려우므로 청소년기에 바람직한 식습관과 균형 잡힌 식생활을 형성하는 것이 필요하다(Weaver CM 2002, Chang & Roh 2006).
청소년기는 어떠한 시기인가? 청소년기는 인생에 있어 제 2의 성장기로 신체적·정신적 성장이 활발하고, 정서적·지적·성적으로 성숙해지며, 생리적·심리적 변화가 일어나는 역동적인 시기이다(Kretchmer & Zimmermann 1997, Hong et al 2003). 청소년기에 영양섭취가 불량하여 성장, 발육이 지연되거나 억제되면 성장기가 끝난 후에 영양 공급이 충분히 이루어지더라도 회복이 불가능하므로 이 시기에 충분한 영양이 공급되어야 한다.
식습관이 형성되는 청소년기에는 교육을 통하여 올바른 식생활에 대한 가치관 확립과 영양지식의 습득하는 것이 필요하므로 어떠한 연구가 필요한가? 식습관이 형성되는 청소년기에는 교육을 통하여 올바른 식생활에 대한 가치관 확립과 영양지식의 습득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식생활 개선을 위한 교육 효과를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우선 청소년들의 식생활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적 요인과 학교 급식을 통한 교육 효과 및 식생활 태도에 대해 청소년 스스로의 인식 정도를 파악하는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그러나 인식도와 요구도를 조사한 결과는 대부분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하였으며(Bae et al 2005, Choi HJ 2005, Shin et al 2006), 중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 결과는 미비한 실정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Ahn HS, Lee HS (2007) Relationships with parents, self-esteem and application of family life part in home economics curriculum of the middle-school students.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19: 107-118. 

  2. Bae IS, Shin KH, Lee SK (2005): Perception of the elementary school dietitians and students on nutrition education to set up the roles of nutrition teacher: centered on Daegu city and Gyeongbuk province. J Korean Diet Assoc 11: 393- 404. 

  3. Chang HS, Kim MJ (2006) The study on dietary behavior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 in Chungnam area according to school food type, gender and grade. Korean J Community Nutr 11: 608-617. 

  4. Chang HS, Roh SM (2006) Comparison with dietary habits,dietary attitudes and nutrition a knowledge according to sex of teenagers in Jeonnam province.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11: 459-468. 

  5. Choi HJ (2005) The relationship of psychological family environment perceived by chilren to their emotional intelligence and school adjustment. The Journal of Elementary Education 12: 195-212. 

  6. Choi MK, Bae YJ, Kim MH, In SJ (2010) A survey of the needs of nutrition education based on analysis of eating habits and nutrition knowledge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in Kyung-Gi province. Journal of the Korean Dietetic Association 16: 133-145. 

  7. Choi MY, Kim HY (2008) Nutrition knowledge, dietary selfefficacy and eating habits according to students's stage of regular breakfast or exercise. Korean J Community Nutr 13: 650-662. 

  8. Choi YS (2000) A study on high school student's satisfaction of school food service. MS thesis Sejong University, Seoul. p 35. 

  9. Chung EJ, Shim YG (2008) Salt-related dietary behaviors and sodium intakes of university students in Gyeonggi-do.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578-588. 

  10. Chung SJ (1982) A survey on the one-sided dietary habit of primary school children. J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20: 107-112. 

  11. Hong SM, Seo YE, Hwang HJ (2003) Iron status and anemia of middle school girls in Ulsan metropolitan city.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8: 26-32. 

  12. Jang HR, Kim HY (2005) Survey on the satisfaction degree for school lunch program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Youngin. Korean J Food & Nutr 18: 155-160. 

  13. Jang HS, No SM (2006) Comparison with dietary habits, dietary attitudes and nutritional knowledge according to sex of teenagers in Jeonnam province.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11: 459-468. 

  14. Jang MR, Kim JY (2005) Comparison of importance and performance to the school lunch service according of male and female middle school students in the Gangwon province. Journal of the Korean Dietetic Association 11: 95- 104. 

  15. Jeong GH (2007) A comparative study on recognizing of the interested parties in disposing nutrition teachers. Ph D Dissertation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Seoul. p 46-49. 

  16. Jin YH (2001) The study on dietary habits, dietary behaviors and nutrition knowledge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the small city. Korean Diet Assoc 7: 320-330. 

  17. Jin YH (2002) A comparative study on dietary habits and dietary attitudes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with different obesity indexes.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7: 156-166. 

  18. Kang HW, Lee SS (2006) A study on weight control and dietary life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 Nutrition knowledge, dietary behavior and food frequency. Korea J Nutr 39: 817-831. 

  19. Kang JH (2001) Evaluation criteria of healthy body weight in Koreans-focus on obesity-.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6: 397-401. 

  20. Kang MH, Choi MK, Kim MH (2011) Evaluation of energy and nutrient intake as well as dietary behaviors in elementary school and middle school students residing in Chungnam according to breakfast eating status. Korean Diet Assoc 17: 18-31. 

  21. Kim EK (2001) Eating behaviors and nutrition related problems in Korean children.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6: 905-920. 

  22. Kim MH, Bae YJ, Lee HJ, Choi MK (2009) The evauation of nutritional knowledge and dietary habits according to sex and mothers employment status in middle school students.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9: 921-927. 

  23. Kim SA (1990) Effect of nutrition education of school lunch programs on dietary pattern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 Pusan area. J Korean Soc Food Nutr 19: 356-374. 

  24.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Obesity (2000) Diagnosis and therapy of obesity : The Asia-Pacific area guideline. Seoul. pp 21. 

  25. Kretchmer N, Zimmermann M (1997) Developmental, Allyn and Bacon, Boston. pp 458-459. 

  26. Kye SH (2001) Weight status and related dietary factors by age in Koreans-1998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6: 388-396. 

  27. Lee SJ (2009) The family strengths and perceptions of future parent`s roles in middle school students. Korean Association of Human Ecology 18: 301-311. 

  28. Oh YM, Kim MH, Sung CJ (2005) Effects of school lunch program on nutritional knowledge and attitude, and dietary behavior of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The Korean Journal of Nutrition 10: 163-173. 

  29. Oh YM, Kim MH, Sung CJ (2006) The study of satisfaction, meal preference and improvement on school lunch program of middle school boys and girls in Jeonju. J Korean Diet Assoc 12: 358-368. 

  30. Seo JH (2000) The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s' nutrition knowledge, food attitude and food practice in Taejon. Ph D Dissertation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Taejon. p 150-151. 

  31. Shin EK, Shin KH, Kim HH, Park YH, Bae IS, Lee YK (2006) A survey on the needs of educators, learners and parents for implementing nutrition education by nutrition teachers in elementary schools. J Korean Diet Assoc 12: 89-101. 

  32. Shin ES (1998) The study on affective variables of food behavior, food attitude and nutrition knowledge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Seoul area. M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Seoul. p 38. 

  33. Son SM, Park ES (2006) A study of the body weight control and dietary habits according to the obese index in male middle school students.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11: 683-694. 

  34. The Korea Nutrition Society (2010) Dietary reference intakes amendment for Koreans, Korea. p 7. 

  35. Weaver CM (2002) The period of dramatic bone growth. Endocrine 17: 43-48. 

  36. Wesners KA, Pincock C, Richardson D, Helm G, Hails S (2003) Breakfast reduces declines in attention and memory over the morning in school children. Appetite 41: 329-331. 

  37. Yang IS, Lee HY, Kim HY, Kang YH (2003) Setting instructional goals for nutritional education program through an anylsis of problems identified in junior/senior school students. Korean J Community Nutr 8: 495-503. 

  38. Yoon HS, Yang HL, Her ES (2000) Effect of nutrition education program on nutrition knowledge, dietary diversity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5: 513-52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