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모델빌더 기반 하천망의 DEM 각인 및 추출 툴 개발
A tool development for forced striation and delineation of river network from digital elevation model based on ModelBuilder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52 no.8, 2019년, pp.515 - 529  

최승수 (동명기술공단) ,  김동수 (단국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  유호준 (단국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하천망과 유역 등 하천 네트워크 관련 공간자료는 각종 하천관리, 하천계획 및 설계, 수리수문학적 해석 등의 근간을 이루는 기초자료로 활용되고 있다. 기존 RIMGIS 등에서 제공하는 하천정보도 현행화 및 적절한 관리 부족으로 공간정보시스템간 불일치와 실제 하천지형과 이격이 나타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고해상도 수치지형도(DEM)이 국가하천 주변 등 일부 지역에서만 제공되어, 저해상도 DEM으로부터 추출된 하천네트워크 정보의 신뢰도가 낮고 가용한 기수립 하천네트워크 정보와의 불일치는 DEM 기반 다양한 하천정보 추출 및 탄력적 활용을 저하시키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우선 국내 하천공간정보시스템이 제공하는 하천망 정보의 공간정확도, 정보체계간 일치성 등을 평가하고, 낮은 해상도의 DEM에 기수립된 하천망을 DEM에 강제로 각인시키는 방법으로 DEM을 개선하여 추후 하천망 혹은 유역 추출 시 기수립 하천망 혹은 유역대로 재현이 가능하게 하여 하천분야에 DEM의 활용성을 높일 수 있는 방법론과 소프트웨어(Forced river Network Striation and Delineation tool: FNSD)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개발된 FNSD는 ArcGIS의 ModelBuilder에서 순차적으로 관련 모듈을 연계시켜 자동화되도록 설계되었고, 한강수계의 섬강 유역에 시범 적용되었으며 항공사진 정보를 기반으로 수작업을 통해 도출된 하천망을 기수립 하천망으로 간주하여 30 m 저해상도 DEM에 각인시켜 하천망을 재추출한 후 주어진 기수립 하천망과 비교하여 재현 정확도를 검토하였다. 섬강유역에 적용한 결과 FNSD는 기수립 하천망을 정확하게 재현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검증결과는 각인된 DEM이 다양한 차수의 하천망 및 유역을 신뢰성 있게 재현할 수 있어 저해상도 DEM의 하천활용도를 높이는데 기여할 가능성이 있음을 의미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Geospatial information for river network and watershed boundary have played a fundamental roles in terms of river management, planning and design, hydrological and hydraulic analysis. Irrespective of their importance, the lack of punctual update and improper maintenance in currently available river-...

주제어

표/그림 (12)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소하천 수준까지 정확하게 추출할 수 있는 DEM을 원할 경우 추가적인 디지타이징이 필요할 것이다. 검증의 기본 방향은 기수립 하천망을 각인한 DEM에서 FNSD에서 재도출한 하천망과 기수립 하천망을 비교하여 각인된 대로 하천망이 제대로 도출되는 지 점검하는 데 있다. 부가적으로 소유역을 도출하여 현재 고시된 소유역과 비교하여 차이를 분석하였다.
  • jsp) 등에서 하천망도, 하천차도, 유역도, 집수구역 등에서 제공되고 있다. 그러나, 가용한 하천네트워크 정보는 낮은 공간정확도, 현행화 부족, 시스템 간 상호 불일치 등의 문제가 제기되고 있는데, 본 논문에서는 구체적인 사례를 통해 이러한 문제들을 확인하였다.
  • FNSD는 한강수계의 섬강 유역에 시범 적용되었으며 항공사진 정보를 기반으로 수작업을 통해 도출된 하천망을 기수립 하천망으로 간주하여 30 m 저해상도 DEM에 각인시켜 하천망을 재추출한 후 주어진 기수립 하천망과 비교하여 재현 정확도를 검토하였다. 본 논문은 FNSD를 소개하기 이전에 DEM에 각인될 수 있는 국내 하천정보시스템이 제공하는 하천망 정보의 공간정확도, 정보체계간 일치성 등을 섬강유역의 사례를 통해 평가하였다.
  • 본 연구는 국내 하천지리정보시스템을 개선하기 위한 연구 중 하나로서, 현재 레이어 중심으로 설계되어있는 하천공간정보 체계를 하천중심선을 기반으로 서로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로 설계하기 위한 기초연구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국내 하천지리정보시스템을 개선할 수 있는 여지를 제공해 줌과 동시에 하천공간정보간의 관계성과 확장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기초기술이라 할 수 있다.
  •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FNSD 툴은 특히 하천 지형에 대한 정확도가 높지 않은 DEM의 수리수문학적 활용성을 극대화시키기 위해 실제 하천선형을 반영한 하천망 혹은 정확도는 낮으나 실무에서 불가피하게 사용되고 있는 하천선형을 DEM에 각인시킴으로서 저해상도 DEM의 활용도를 높이고 전국단위 DEM을 재구성하는 대안을 제시하였고, 이를 기반으로 다양한 공간정밀도의 하천망 및 유역을 재추출하는 과정을 자동화시켰다는 데 의미가 있다. 하천망의 DEM으로의 각인화 기법은 미국의 NED와 NHD Plus와 같은 해외사례를 볼 때 충분히 국내적용도 가능하다는 사실도 확인하였다.
  • 본 연구에서 개발한 FNSD 프로그램은 ArcGIS에서 제공하는 DEM Reconditioning 모듈을 활용하여 DEM을 주어진 하천망이 반영되도록 강제 수정시키고 신규로 주어진 임계값에 따라 하천망 및 유역을 재도출하는 전 과정을 ArcGISModelbuilder에서 자동화되도록 구현하여 업무 효율을 증가시키고자 하였다. FNSD 가동을 위하여 기수립된 선형 Feature 형식의 하천망, 하천 구간과 비하천 구간을 결정하는 누적흐름 가중치, DEM Reconditioning의 세부 옵션, 추출된 자료의 저장 경로 등이 주요 입력 요소로 요구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낮은 해상도의 DEM에 항공사진으로부터 디지타이징한 정확도가 높은 하천망 혹은 국가 하천공간정보체계에서 제공하는 기수립된 하천망을 DEM에 강제로 각인시키는 방법으로 DEM을 변경하여 추후 하천망 혹은 유역추출 시 기수립 하천망 혹은 유역대로 재현이 가능하게 하여 하천분야에 DEM의 활용성을 높일 수 있는 방법론과 소프트웨어(Forced river Network Striation and Delineation tool:FNSD)을 개발하는데 있다. 개발된 소프트웨어(FNSD)는 기수립 하천망을 주어진 DEM에 각인하여 개선하는 부분과 하천 누적흐름 가중치를 가변적으로 적용하여 다양한 차수와 크기의 하천망과 유역을 각각 탄력적으로 추출을 하는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 개발된 소프트웨어(FNSD)는 기수립 하천망을 주어진 DEM에 각인하여 개선하는 부분과 하천 누적흐름 가중치를 가변적으로 적용하여 다양한 차수와 크기의 하천망과 유역을 각각 탄력적으로 추출을 하는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전체 과정은 ArcGIS의 ModelBuilder(Allen, 2011; Kum et al., 2011)에서 순차적으로 관련 모듈을 연계시켜 자동화되도록 설계하여 실무 활용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FNSD는 한강수계의 섬강 유역에 시범 적용되었으며 항공사진 정보를 기반으로 수작업을 통해 도출된 하천망을 기수립 하천망으로 간주하여 30 m 저해상도 DEM에 각인시켜 하천망을 재추출한 후 주어진 기수립 하천망과 비교하여 재현 정확도를 검토하였다.
  • 둘째, 이러한 작업은 비록 실제 DEM을 일부 왜곡시키더라도 본 연구와 같이 디지타이징을 통해 정확도가 높은 하천망추출이 가능한 DEM을 제공한다는 측면과 공간정확도가 낮더라도 실무에서 통용되는 하천망이 도출되도록 하는 DEM개선 기법을 제공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수리수문학적으로 특화된 DEM이라고 볼 수 있다. 즉, 물리적인 DEM과 사용하고 있는 하천망의 이격을 해소하여 보정된 소유역 추출, 단면관리 등 DEM을 수리수문학적 목적으로 활용할 수 있고, 자연지형에서 반영되지 않은 인공적인 하도조정, 일부 하도선형변화 등이 DEM의 재측정, 또는 추후 별도의 하천망 사후 조정 없이도 DEM에 반영될 수 있다는 의미이다. 셋째, FNSD는 DEM 각인과 하천망 및 유역의 추출을 GIS 환경에서 자동화하여 작업의 효율을 높였고, 코드와 인터페이스 현태로 제공되는 소프트웨어 형식과 달리 Fig.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저해상도 DEM만을 가용하여 하천네트워크 정보를 재추출해야 할 경우 문제점은 무엇인가? 이러한 문제로 DEM를 통해 하천네트워크 정보를 재추출해야 하는 상황에서 저해상도 DEM만 가용한 경우, 추출된 하천네트워크 정보의 낮은 신뢰도는 DEM 기반 다양한 하천정보 추출및 탄력적 활용을 저하시킬 수 있다. 고해상도 DEM이 없는 대부분의 지방하천의 경우, 기존 하천네트워크 정도에 의존하는 방법외에 대안이 없다는 데 문제가 있다.
수치지형도의 장점은 무엇인가? 하천망을 비롯한 하천네트워크 정보는 일반적으로 DEM 기반 자동 추출 알고리즘 적용을 통해 확보하고, 필요한 경우 수작업을 통해 수정하는 과정을 거쳐 완료된다. 사용자는 하천네트워크 정보를 설정된 누적흐름 가중치에 따라 하천망 밀도를 탄력적으로 변경시키면서 추출할있는 장점이 있다(Maidment, 2002, Tarboton and Ames,2001). DEM의 품질은 추출되는 정보의 정확도를 좌우하므로 고정밀도 및 고정확도 DEM일수록 바람직하고, 지형이 침식 및 퇴적과정과 인위적인 개발 등을 통해 지속적으로 변형되므로 DEM 및 이에 따른 하천네트워크 정보의 주기적인 현행화가 필요하다.
수치지형도란 무엇인가? 수리수문분야에서 수치지형도(Digital Elevation Model:DEM)는 국가 하천정보관리의 근간을 이루는 주요 공간정보로 지형분석과 함께 하천망, 차수도, 횡단면, 집수구역, 유역 등 하천네트워크 관련 공간정보를 추출하여 수리수문 수치모델링, GIS 기반 물환경정보 분석 모듈 개발, 하천수질관리, 하천계획 및 설계 등에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다(Chae et al.,2003; Park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