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Koji를 첨가하여 발효한 오징어 내장 조미료의 품질특성
Quality Properties of Fermented Squid Viscera Product with Aspergillus oryzae Koji and Its Seasoning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0 no.1, 2011년, pp.94 - 101  

최승화 (강릉원주대학교 해양식품공학과) ,  김상무 (강릉원주대학교 해양식품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오징어 가공부산물인 내장에 koji를 첨가하여 속성 발효한 천연조미료 소재 개발을 목적으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휘발성 염기질소량과 trimethylamine은 대조군이 가장 급격하게 증가하였고, 식염이 많이 첨가될수록 서서히 증가하였다. pH는 대조군이 가장 급격한 변화를 보였으며, 식염이 많이 첨가될수록 pH의 변화량이 적었다. 반면, 산도는 pH 감소와 반비례하여 증가하였다. 아미노질소는 식염 5% 첨가군이 가장 짧은 기간에 최고값을 나타내었으며, 식염 10, 15% 첨가군은 식염 5% 첨가군과 비슷한 값을 보였으나 발효기간이 길어 적합하지 않았다. 따라서 이상의 결과를 고려할 때, 식염 5% 첨가군이 조미료를 만들기에 가장 적합하다고 판단하였다. 식염 5%의 농도에 14일 간 발효시킨 오징어 내장 발효생성물의 일반성분은 조단백이 가장 많았으며, 유리아미노산 조성은 단맛을 내는 아미노산인 alanine과 감칠맛을 내는 아미노산인 glutamic acid의 함량이 가장 많았다. 항산화와 항대장암 활성은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나, positive control에 비하여 활성이 떨어졌다. 관능검사 결과는 시판 천연조미료와 비교하여 관능적으로 큰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를 고려할 때 오징어 내장 발효생성물은 천연조미료 등 식품첨가제로써 활용이 가능하다고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quid (Todarodes pacificus) is processed as dried or seasoned-dried products and its catch gradually increased from 270,298 M/T in 2005 to 367,940 M/T in 2008 in Korea. Squid processing by-product (viscera) was usually discarded as a waste resulting in environmental problem. In order to utilize squi...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koji의 첨가는 향기 및 맛의 향상에 있어 우수한 발효촉진제라고 판단되어오징어 내장 발효에 사용하였다(14).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오징어 내장의 발효 효율성을 증대 시키고, 오징어 내장의 부가가치를 창출하기 위해서 Aspergillus oryzae koji를 적정량 첨가하여 발효한 오징어 내장 발효생성물을 제조하고 오징어 내장 발효생성물의 특성과 생리기능성을 측정하였으며 이를 활용한 조미료를 제조하여 시판중인 천연조미료와 비교분석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오징어 가공부산물은 오징어 소비량 전체의 몇 퍼센트를 차지하고 있는가? 오징어는 주로 우리나라 동해안에서 생산되며 타우린, DHA, EPA 등 각종 영양소가 풍부하여 예로부터 회, 건조, 조미, 젓갈 등 여러 가지 식품에 이용되어 왔다(1). 오징어 가공부산물인 귀, 내장, 어피 등은 오징어 소비량 전체의 20%이상을 차지하고 있는데(2) 이러한 가공부산물은 사료(3) 및 퇴비(4)로 일부 사용되고 있지만 대부분은 폐기되고 있어 수산물자원 낭비 및 환경오염을 유발시키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최근 오징어의 국내 어획량이 2005년 270,298 M/T에서 2008년 367,940 M/T로 급증함에 따라(5) 오징어 가공부산 물의 폐기로 인한 수산물자원의 낭비와 환경오염을 줄이기 위한 긍정적 응용방법을 찾는 연구가 절실한 실정이다.
오징어 가공부산물인 내장에 koji를 첨가하여 속성 발효한 천연조미료 소재 개발을 위한 연구를 요약하자면, pH 부분은 어떠한 변화를 보였는가? 휘발성 염기질소량과 trimethylamine은대조군이 가장 급격하게 증가하였고, 식염이 많이 첨가될수록 서서히 증가하였다. pH는 대조군이 가장 급격한 변화를보였으며, 식염이 많이 첨가될수록 pH의 변화량이 적었다. 반면, 산도는 pH 감소와 반비례하여 증가하였다.
오징어는 예로부터 어떠한 식품에 이용되어 왔는가? 오징어는 주로 우리나라 동해안에서 생산되며 타우린, DHA, EPA 등 각종 영양소가 풍부하여 예로부터 회, 건조, 조미, 젓갈 등 여러 가지 식품에 이용되어 왔다(1). 오징어 가공부산물인 귀, 내장, 어피 등은 오징어 소비량 전체의 20%이상을 차지하고 있는데(2) 이러한 가공부산물은 사료(3) 및 퇴비(4)로 일부 사용되고 있지만 대부분은 폐기되고 있어 수산물자원 낭비 및 환경오염을 유발시키고 있는 실정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Hwang SH, Youn KS. 2008. Stability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squid liver oil during refining process. Food Eng Prog 12: 284-288. 

  2. Kang SS, Kim JB, Chun BS. 1999. Recovery of high unsaturated fatty acid from squid processing wastes using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extraction method. J Korean 

  3. Lee SM, Lim YS, Lee JK, Park SR. 1999. Effects of supplemental squid meal, attractant, herb of lecithin in the formulated diets on growth performance in juvenile abalone 

  4. Cho ML, Heu MS, Kim JS. 2001. Calcination condition for recovery of calcium from cuttle bone and characteristics of calcined cuttle bone powder. J Korean Fish Soc 34: 600-604. 

  5. Ministry for Food,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6. Nam KA, You SG, Kim SM. 2008. Molecular and physical characteristics of squid (Todarodes pacificus) skin collagens and biological properties of their enzymatic hydrolysates. 

  7. Seo SH, Jeong YJ. 2001. Quality characteristics for Doenjang using squid internal organs. Korean J Food Sci Technol 33: 89-93. 

  8. Kim HS, Kim JS, Heu MS. 2008. Fractionation of endoprotease from viscera of the argentina shortfin squid I llex argentinus. J Korean Fish Soc 41: 176-181. 

  9. Choi GP, Kim SM, Shin IS. 2003. Antimicrobial activity of squid pen $\beta$ -chitosan. J Chitin Chitosan 8: 149-155. 

  10. Kim SK, Byun HG, Jeon YJ, Joo DS, Kim JB. 1999. Development of natural seasoning using desalinated tuna boiled, extract. J Korean Fish Soc 32: 75-82. 

  11. Kim WJ, Bae TJ, Choi DJ, Choi JH, Ahn MH. 1994. A study of exploiting raw material of seasoning by using fish and shells. J Korean Fish Soc 27: 259-264. 

  12. Lee EH, Cho SY, Cha YJ, Park HS, Kwon CS. 1984. Studies on the processing of krill sauce. J Korean Soc Food Nutr 

  13. Kim YM, Koo JG, Lee CY, Kim DS. 1990. Study on the use of sardine meal koji and autolysates from sardine meat 

  14. Kim WJ, Kim SM. 2003. The chemical and microbial characteristics of northern sand lance, Ammodytes personatus, 

  15. Nissen JA. 1979. Determination of the degree of hydrolysis of food protein hydrolysates by trinitrobenzenesulfonic acid. 

  16. Chae SK. 1998. Standard food analysis. Jiju Publishing Co., Seoul, Korea. p 637-640. 

  17. AOAC. 2002.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1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p 17. 

  18.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2000. Food Code. 

  19. Bloi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 1199-1200. 

  20. Kim KY, Choi KS, Kurihara H, Kim SM. 2008. $\beta$ -Glucuronidase inhibitory activity of bromophenols purified from 

  21. Lee WJ, Jung JK. 2002. Quality characteristics and preparation of noodles from brown rice flour and colored rice flour. 

  22. Park JH, SM Kim. 2002. Property changes of the salt-seasoned and fermented the broken roes of alaska pollock stuffed 

  23. Kim SM, Bank OD, Lee KT. 1994. The development of squid (Todarodes pacificus) sik-hae in Kang-nung district: 4. The effects of red pepper and grain contents on the properties of squid sik-hae. Bull Korean Fish Soc 27: 366-372. 

  24. Lee EH, Cha YJ, Lee JS. 1983. Studies on the processing of low salt fermented sea food: 1. Processing conditions of 

  25. Suh MJ. 1973. Changes in protease and formonitrogen of salted fish and shell fish. Korean J Nutr 6: 123-134. 

  26. Oh SC, Cho JS, Nam HY. 2000. Changes of the volatile basic nitrogen and free amino acids according to the fermentation 

  27. Lee WD, Chang DS, Koh BH, Lee MS, Jeong ET. 1997. 

  28. Han JS, Cho HR, Cho HS. 2005. Study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quality index of low-salted myunhran-jeot. Korean 

  29. Kim YA, Kang ST, Kang JG, Kang JY, Yoo UH, Oh KS. 

  30. Oh KH, Lee KE, Kim JM, Lee SC. 2001. Characteristics of whelk internal organ jeotgal with the addition of bromelain. 

  31. Jeong YS, Hong JH, Kim IS, Byun DS. 1995. Effects of phospholipid extract from squid viscera on lipid oxidation 

  32. Bae HC, Cho IS, Nam MS. 2005. Effects of the biological function of yogurt added with Lycium chinence miller 

  33. Kim SI, Sim KH, Ju SY, Han YS. 2009. A study of antioxidative and hypoglycemic activities of omija (Schizandra 

  34. Rhee YK, Kim DH, Han MJ. 1998. Inhibitory effect of Zizyphi fructus on β-glucuronicase and tryptophanase of human intestinal bacteria. Korean J Food Sci Technol 3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