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등학생들의 시스템 사고 향상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 지구온난화를 중심으로 -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 Educational Program to Increase High School Students' Systems Thinking Skills - Focus on Global Warming - 원문보기

한국지구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v.32 no.7, 2011년, pp.784 - 797  

이효녕 (경북대학교 과학교육학부 지구과학교육) ,  권용주 (한국교원대학교 생물교육과) ,  오희진 (경북대학교 과학교육학부 지구과학교육) ,  이현동 (달성고등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에서는 고등학생들의 시스템 사고 향상을 위해 지구온난화 주제를 중심으로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학교 현장에 적용하여 학생들의 시스템 사고 향상 정도를 파악하였다. 현직 교사와 전문가들에게 타당성을 검증 받은 지구온난화 교육프로그램을 학생 27명에게 투입하였으며 시스템 사고 수준이 낮은 학생 3명과 수준이 높은 학생 3명, 총 6명의 학생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고 활동 전 후로 단어 간 관계분석, 인과지도 그리기, 그림 그리기를 적용하여 시스템 사고 수준 변화정도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시스템 사고 수준이 낮은 그룹은 활동 후 지구온난화에 대한 시스템 사고 정도가 향상된 모습을 보였으나 오개념이 유지되는 특성을 보였다. 그리고 시스템 사고 수준이 높은 학생들은 자신들이 가지고 있었던 개념들은 활동 후 더 뚜렷해지고 체계적인 시스템 사고를 하고 있었다. 학생들에게 지구시스템과 연결된 지식이나 지구 환경 개념을 학습하는 데 있어서 필요한 시스템 사고를 함양시키고 과학교육과정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기 위해서는 이러한 교육프로그램들이 많이 개발되어야 하며 또한 실제 학교 현장에서 많이 활용할 수 있도록 개발된 자료들이 잘 보급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1) to develop educational program designed to improve high school students' knowledge integration and their system thinking skills about global warming and (2) to identify the change of students' system thinking level. The developed program was implemented to twenty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연구에서는 지구 시스템에서 최근 중요하게 대두되고 있는 지구온난화에 대해 학생들이 어느 수준까지 시스템 사고를 하고 있는지 조사한다. 그리고 시스템 사고를 향상 시킬 수 있는 지구온난화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학교 현장에 투입하여 학생들의 가진 시스템 사고 수준 변화를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다음의 구체적인 연구 내용을 설정하였다.
  • 그리고 분석지 투입 다음날부터 2일에 걸쳐 4차시의 교육프로그램을 투입하였다. 수업 현장에는 S고등학교 교사 1명이 참관하였으며 활동 과정을 모두 녹화하고 사진 촬영을 하여 수업 중 연구자가 놓칠 수 있는 학생들의 반응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 이 연구에서는 먼저 지구온난화에 대한 시스템 사고 분석지를 이용하여 지구온난화에 대해 학생들이 어느 정도 시스템 사고를 하고 있는지 알아본다. 시스템 사고 분석지는 이효녕과 김승환(2009)이 개발한 ‘물순환’에 대한 시스템 사고 분석지를 수정하여 적용하였다.
  • 이 연구에서는 지구 시스템에서 최근 중요하게 대두되고 있는 지구온난화에 대해 학생들이 어느 수준까지 시스템 사고를 하고 있는지 조사한다. 그리고 시스템 사고를 향상 시킬 수 있는 지구온난화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학교 현장에 투입하여 학생들의 가진 시스템 사고 수준 변화를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다음의 구체적인 연구 내용을 설정하였다.
  • 이 연구에서는 학생들의 시스템 사고 향상을 위하여 지구온난화 주제를 중심으로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학생들에게 투입한 뒤 6명 학생의 시스템 사고 향상 정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 면담은 비구조화된 형태로 학생들에게 작성된 질문지의 모든 영역에서 미흡한 부분이나 특정 영역에 대한 생각과 의견을 보다 세밀히 얻기 위해 사용하였다. 특히 사전 검사지 분석 후 이루어진 수업에서 문장이나 인과지도에 오개념을 보인 학생과 개념들이 학생의 사고과정에서 지식의 섬으로 존재하는 학생들에게 좀 더 관심을 가지고 질문을 하여 정확한 학생의 생각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수업 이후 미흡한 내용에 대해서는 연구에 선정된 학생들에 전자메일을 이용한 서면 검사 형태로 실시하였다.
  • 게다가 지구 시스템 안에서 일어나는 지구온난화에 대해 학생들의 종합적인 사고 과정과 함께 단어 간 관계분석이나 인과지도에서 볼 수 없었던 사고 과정도 볼 수 있다. 학생들이 그려놓은 그림을 기초로 면담이나 서면 질문을 통하여 지구온난화에 대한 전반적인 과정들과 순환, 강화적 혹은 균형적 피드백을 살펴봄으로써 학생들의 종합적인 시스템 사고 수준을 파악하여 본다. 특히 그림 그리기의 능력 한계 영향을 줄이기 위해 최대한 많은 항목을 그림에 넣도록 하였다.
  • 이 연구에서는 지구온난 화와 관련된 친숙한 단어들을 생각나는 대로 적어보며 적어놓은 단어들을 자연 현상이나 인간활동에 의해 연결하여 적도록 한다. 학생들이 적어놓은 결과를 토대로 지구 시스템의 하위영역에 관한 개념 수와 연결 과정을 파악하여 다음 인과지도 분석이나 그림 그리기 분석에 반영하며 면접을 통해서 적은 단어들 사이의 연결에 대해서 물어보고 이들 연결에서 피드백 순환이 존재하는 파악하고자 한다. 단어 연상에 대한 분석은 먼저 제시된 지구온난화와 관계된 구성요소를 지구 시스템적 관점에서 범주화하여 분석하였으며, 특히 생물권에 해당하는 개념 중 인간이 지구온난화에 미치는 작용과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인간 활동 범주를 첨가하여, 각 구성 범주에 해당하는 구성요소의 단어를 연상하는 횟수로 정량화시켰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구성하는 개념적인 시스템 사고란 어떤 방법론을 말하는가? 시스템 사고는 이미 정치학, 사회학에서는 적용되어 중요한 정책결정에 큰 역할을 해오고 있고 이제는 교육의 전반적인 곳에서 시스템 사고가 적용되고 있다. 구성하는 개념적인 시스템 사고란 일반 시스템 이론(general system theory)의 한 형태인 시스템 다이내믹스(system dynamics)로부터 복잡한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제외하고 일반인이 이해하기 쉬운 부분을 추출해내어 재조직한 사고의 방법론이다(김동환, 2004). 시스템 사고 과정은 세 가지 단계로 요약하여볼 수 있다.
시스템 사고 과정 세 가지 단계로 요약한다면 어떠한가? 시스템 사고 과정은 세 가지 단계로 요약하여볼 수 있다. 첫째는 시스템의 부분의 이해, 둘째는, 이러한 부분의 연결의 이해, 세 번째는 전체로서의 시스템의 이해이다(O’Connor and McDermmot, 1997). 또한 시스템 사고는 학생들이 배우고 적용하기 쉬우며, 다양한 분야에 적용할 수 있고 공유와 확장이 가능한 고등 사고 능력이라는 장점을 가진다(김동환, 2004). 이러한 사고과정이 지구 시스템 교육에 활발하게 적용되고 있는 이유 중 하나는 지구를 구성하고 있는 시스템 요소 간의 통합 및 상호작용이 중요하게 다루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인과지도란 어떤 도구를 일컫는가? 시스템 사고를 이용하여 어떤 문제에 대해 분석을하기위해 사용되어지는 도구로 인과지도가 있다(김동환, 2004). 피드백 고리의 관계를 이용하여 연구자가 그 순환관계를 파악할 수 있도록 그려낸 지도가 인과 지도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5)

  1. 교육과학기술부, 2011, 과학과 교육과정[별책9]. 교육과학기술부, 269 p. 

  2. 교육인적자원부, 2000, 고등학교 교육과정 해설: 과학. 교육인적자원부, 75 p. 

  3. 기후변화정보센터, 2010, http://www.climate.go.kr/index.html, (Retrieved July 11, 2011) 

  4. 김도훈, 문태훈, 김동환, 1999, 시스템 다이내믹스. 대영문화사, 서울, 130 p. 

  5. 김동환, 2000, 김대중 대통령의 시스템 사고. 집문당, 서울, 35 p. 

  6. 김동환, 2004, 시스템사고. 선학사, 서울, 155 p. 

  7. 김동환, 2005, 시스템사고의 적용에 관한 내면적 성찰. 정부학연구, 11, 63-85. 

  8. 국동식, 2002, 온실효과에 대한 고등학교 공통과학교과서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 23, 455-460. 

  9. 국동식, 2003, 온실효과 개념에 대한 오개념 원인으로서의 10학년 과학 교과서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 23, 592-598. 

  10. 김만희, 김범기, 2002, 현대 과학교육의 동향과 시스템사고 패러다임의 비교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2, 64-75. 

  11. 김윤지, 정진우, 2009, 지구계 교육과 소재로서 순환에 대한 이해.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9, 951-962. 

  12. 김윤지, 정진우, 위수민, 2009, 대학생들이 인식하는 지구계 순환의 구성 개념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9, 963-977. 

  13. 곽영순, 2004, PISA 검사 결과에서 드러난 만15세 한국 학생들의 온실효과에 대한 대안적 개념. 한국과학교육학회, 24, 668-674. 

  14. 문병찬, 정진우, 경재복, 고영구, 윤석태, 김해경, 오강호, 2004, 예비교사들의 탄소 순환에 대한 지구시스템의 관련개념과 시스템 사고의 적용. 한국지구과학회지, 25, 684-696. 

  15. 문병찬, 김해경, 2007, 예비초등교사들의 시스템 사고 능력 및 특성에 대한 연구. 한국 시스템 다이내믹스연구, 8, 235-252. 

  16. 박현웅, 최원용, 1999, 온실효과와 지구온난화. 화학세계, 39, 26-31. 

  17. 신동희, 2000, 국내 지구과학교육 연구의 동향과 나아갈 방향. 한국지구과학회지, 21, 479-487. 

  18. 신동희, 2001, 지구과학과 환경교육. 한국지구과학회지, 22, 147-158. 

  19. 신동희, 이양락, 이규석, 이기영, 이은하, 2005, 지구환경을 고려한 미래지향적 지구과학 교육과정제안. 한국지구과학회지, 25, 239-259. 

  20. 윤일희, 2004, 현대 기후학. 시그마프레스, 서울, 261 p. 

  21. 이창진, 2003, 지구과학의 정체성과 학문 분류. 한국지구과학회지, 24, 650-656. 

  22. 이효녕, 김승환, 2009, 과학영재학생들의 사고유형에 따른 지구 시스템적 인지 특성. 과학교육연구지, 33, 12-30. 

  23. 임은경, 홍상욱, 정진우, 2000, 지구계 교육의 현장적용에 관한 연구. 한국지구과학회지, 21, 93-102. 

  24. 전기정, 2000, 우리나라 IMF원인에 관한 연구: Mind Mapping을 통한 시스템 사고. 한국시스템 다이내믹스 연구, 창간호, 32-60. 

  25. 조규성, 강현아, 2002, 지구계교육 프로그램의 적용에 따른 학습자의 반응(지구 기후 게임을 중심으로). 한국지구과학회지, 23, 299-230. 

  26. 제귀연, 안희수, 1999, 온실효과에 대한 학생들의 개념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 19, 585-594. 

  27. 허경철, 1999, 지식생성교육을 위한 지식의 구조 분석. 한국교육, 26, 101-127. 

  28. 한국지구과학회, 2009, 재미있는 지구과학 이야기. 이치, 서울, 216 p. 

  29. Mayer, V.J., 남정희, 이효녕, 2007, 통합과학의 이해: 지구 시스템적 접근. 자유아카데미, 서울, 261 p. 

  30. MBC미디어, 2008, 북극의 눈물 DVD, MBC. 

  31. Ben-zvi-Assaraf, O. and Orion, N., 2005a, A study of junior high students' perceptions of the water cycle. Journal of Geoscience Education, 53, 366-373. 

  32. Ben-zvi-Assaraf, O. and Orion, N., 2005b, Development of system thinking skills in the context of Earth System Education.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2, 518-560. 

  33. Ben-zvi-Assaraf, O. and Orion, N., 2010, System Thinking Skills at the Elementary School Level.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7, 540-563. 

  34. Ben-zvi-Assaraf, O. and Orion, N., 2010, Four case studies, six years later: Developing system thinking skills in junior high school and sustaining them over tim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7, 1253-1280. 

  35. Chen, D. and Stroup, W., 1993, General system theory: Toward a conceptual framework for science and technology education for al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and Technology, 2, 447-459. 

  36. Dori, Y.J. and Tal, R.T., 2003, Teaching biotechnology through case studies-Can we improve higher order thinking skills of nonscience major? Science Education, 87, 767-793. 

  37. Gudovitch, Y., 1997, The global Carbon cycle as a model for teaching earth systems in high school: Development,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The Weizmann Institute of science, Rehovot Israel [in Hebrew]. 

  38. Hewton, J., 2007, 지구온난화. 한울아카데미, 서울, 148 p. 

  39. Ison, R., 1999, Applying systems thinking to higher education. Systems Research and Behavioral Science, 16, 107-112. 

  40. O'Connor, J. and McDermmot, I., 1997, The Art of Systems Thinking: Essential skills for creativity and problem solving. Thorsons Publishers, London, UK, 288 p. 

  41. Kali, Y., Orion, N., and Eylon, B-S., 2003, Effect of knowledge integration activities on students' perception of the Earth's crust as a cyclic system.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0, 545-556. 

  42. Lang, M., 2002, The Earth as system: A topic for integrated science education.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National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LA, USA, 18-148. 

  43. Lee, J. and Fortner, R.W., 2000, Classification of environmental issues by perceived certainty and tangibility.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Education and Information, 19, 11-20. 

  44. Mayer, V.J., 1997, Science literacy in a global era. Hyogo University of Teacher Education Journal, 17, 75-89. 

  45. Mayer, V.J. (ed.), 2003, Implementing Global science literacy. Earth Systems Education Program, The Ohio State University, OH, USA, 88 p. 

  46. Mayer, V.J. and Fortner, R.W. (eds.), 1995, Science is a study of Earth: A resource guide for science curriculum restructure. The Ohio State University, OH, USA, 64 p. 

  47. Mayer, V.J. and Kumano, Y., 1999, The role of system science in future school science curricula. Studies in Science Education, 34, 71-97. 

  48. McNamara, C., 1998, Applied Systems thinking.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International Society for the Systems Sciences Conference. http://www.newciv.org/ISSS/homepage.htm. 

  49. Clifford, N. and Richards, K., 2005, Earth system science: An oxymoron. Earth Surface Processes and Landforms, 30, 379-383. 

  50. Novick, S. and Nussbaum, J., 1978, Junior high school pupils understanding of the particulate nature of matter: An interview study. Science Education, 62, 273-281. 

  51. Perkins D.N. and Unger, C., 1999, Teaching and learning for understanding. In Reigeluth, C.M. (ed.), Instructional design theories and models. Lawrence Erlbaum Associates, NJ, USA, 91-144. 

  52. Resnick, M., 1996, Beyond the Centralized Minds. The Journal of The Learning Science, 5, 1-22. 

  53. Shultz, T.R., Fisher, G.W., Pratt, C.C., and Rulf, S, 1986, Selection of casual rules. Child Developmental Psychoolgy, 12, 69-82. 

  54. Sweeney, L.B. and Sterman, L.D., 2000, Bathtub dynamics: Initial results of a systems thinkings inventory. System Dynamics Review, 16, 249-286. 

  55. WBGH Educational Foundation, 2009, http://www.teachersdomain.org (March 11, 200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