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기능성 및 생리활성 물질을 함유하고 있는 마늘의 활용방안을 제시하고 마늘 생산 농가의 안정적인 소득과 수급조절 및 건강 기능 증진을 위하여 마늘을 이용한 마늘 첨가 막걸리를 개발하고 품질특성 및 항알레르기 효과를 확인하였다. 사용된 마늘의 수분함량은 62.44%, 총당 15.31%, 회분 1.12%, pH 6.4, 총산은 1.03%로 마늘 첨가 막걸리의 총당, 환원당 함량, 총산 및 아미노산도는 다소 높게 나타났고 알코올 함량에 있어서 대조구에 비해 1%정도로 높게 나타났다. 주요 유기산은 lactic, citric, malic, oxalic 및 succinic acid로 나타났으며 이 중 lactic acid 함량이 203.2%로 대조구에 비해 약 16배 정도로 높게 나타났다. 마늘 첨가 막걸리의 total polyphenol 함량, DPPH 자유라디칼 소거 활성 및 total thiosulfate는 대조구 막걸리에 비해 다소 높게 나타났다. 이는 마늘에 함유되어 있는 유기 황 화합물 등에 의해 함량이 높게 나타난 것으로 사료된다. MTT 분석 결과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아 마늘 첨가 막걸리의 세포 독성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알레르기 유발 및 예방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histamine 유리량을 측정한 결과 마늘 첨가 막걸리와 대조구 막걸리 모두 histamine 유리억제효과를 보였으며 마늘 첨가 막걸리에서 보다 높은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관능검사 결과 색에 대한 기호도는 특유의 색을 유지하여 대조구에 비해 다소 낮게 나타났지만, 맛, 향 및 전체적인 기호도는 대조구 막걸리에 비해 마늘 첨가 막걸리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마늘 첨가 막걸리는 국내 막걸리 시장의 다양성을 증대시키고 우수한 기능성으로 막걸리 시장의 활성화를 이어 갈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한국의 전통주로 자리매김하기 위해서 저장성 연구 및 향기성분 분석, 제성기술 확립 등 연구가 수반되어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llium sativum, commonly known as garlic, is well known for its antibacterial, antioxidant, and hypotensive activities, as well as its antiaging bioactive propertie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anti-allergic effects of garlic in order to develop a method to produce M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기능성 및 생리활성 물질을 함유하고 있는 마늘의 활용방안을 제시하고 마늘 생산 농가의 안정적인 소득과 수급조절 및 건강 기능 증진을 위하여 마늘을 첨가한 막걸리를 제조하고 마늘 첨가 막걸리의 품질 특성과 항알레르기 효과를 조사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막걸리에는 다른 주류와 다르게 무엇이 들어있는가? 막걸리의 역사는 삼국사기시대부터 기록되어 있으며 막거른 술이라는 데서 비롯된 것으로 맑지 않고 탁하다 하여 탁주라 부르기도 하고 식량대용 또는 갈증해소 목적으로 농부들이 애용해 왔으므로 농주라고 부르기도 한다[30]. 막걸리는 곡류와 누룩을 이용하여 양조한 후 증류하지 않고 마시는 술이며, 다른 주류와는 달리 당질, 무기질, 비타민과 lysine, leucine, glutamic acid, proline 및 glutathione 등의 아미노산이 풍부한 독특한 술이며 최종제품의 알코올 함량은 6% 정도이다[7,17,29]. 발효가 완전히 끝나지 않은 상태로 유통․판매 되기 때문에 상품의 변질이 쉬우며 저장기간이 짧고, 발효 시 발생되는 향미와 건강 기능성을 생각하는 소비자들의 높은 기호도 때문에 막걸리의 한식 세계화 추진과 함께 막걸리 시장이 급성장하는 추세이다[14].
막걸리는 다르게 어떻게 불리는가? 세계 각국에는 그 지역마다 다양한 민속주 또는 전통주가 전해져 내려오고 있으며, 우리나라의 경우 약탁주 등이 제조되고 있다. 막걸리의 역사는 삼국사기시대부터 기록되어 있으며 막거른 술이라는 데서 비롯된 것으로 맑지 않고 탁하다 하여 탁주라 부르기도 하고 식량대용 또는 갈증해소 목적으로 농부들이 애용해 왔으므로 농주라고 부르기도 한다[30]. 막걸리는 곡류와 누룩을 이용하여 양조한 후 증류하지 않고 마시는 술이며, 다른 주류와는 달리 당질, 무기질, 비타민과 lysine, leucine, glutamic acid, proline 및 glutathione 등의 아미노산이 풍부한 독특한 술이며 최종제품의 알코올 함량은 6% 정도이다[7,17,29].
마늘은 동양의 대표적인 식품원료이면서 건강식품인데 이것의 무슨 성분이 항균, 암세포 생육 억제 작용 및 항알레르기 작용을 하는가? 본 연구에서 사용한 마늘은 동양의 대표적인 식품원료일뿐만 아니라 건강식품으로 알려져 있으며 많은 연구를 통하여 항균 및 살균작용, 항산화작용, 혈압 강하작용, 소화촉진, 피부질환 및 노화억제작용이 알려져 있다[26,27]. 또한 마늘에 함유된 allicin, germanium, cysteine 등은 항균, 암세포 생육 억제 작용 및 항알레르기 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3,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AOAC. 1990.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5th eds.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2. Ann, Y. G. and S. K. Lee. 1995. A study of sikhye. Korean J. Food Nutr. 8, 165-171. 

  3. Cheng, M. H., and T. C. Jung. 1981. Effect of allithiamine on sacroma-180 tumor. Tai-wan L. Husuch Hui. Tsa. Chief. 80, 385-392. 

  4. Choi, D. J., S. J. Lee, M. J. Kang, H. S. Cho, N. J. Sung, and J. H. Shin. 2008.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black garlic (Allium sativum L.).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465-471. 

  5. Han, E. H., T. S. Lee, B. S. Noh, and D. S. Lee. 1997. Volatile flavor components in mash of Takju prepared by using different nuruks. Korean J. Food Sci. Technol. 29, 563-570. 

  6. Jain, R. C. and C. R. Vyas. 1975. Garlic in alloxan-induced diabetic. J. Clim. Nutr. 28, 681-684. 

  7. Jang, J. H. 1989. The history of Korean alcohol. Korean J. Dietary Culture 4, 271-274. 

  8. Jeong, J. W. and D. J. Park. 2006. Quality characteristics of loaf bread added with Takju powder. Korean J. Food Sci. Technol. 38, 52-58. 

  9. Joung, E. J., N. S. Paek, and Y. M. Kim. 2004. Studies on Korean Takju using the By-product of rice milling. Korean J. Food Nutr. 17, 199-205. 

  10. Jung, D. H. and H. G. Jung. 1985. Food analysis. pp. 197, Jin-ro. Co. Seoul. 

  11. Kilani, S, R. B. Ammar, I. Bouhlel, N. Hayder, A. Mahmoud, K. Ghedira, and L. Chekir-Ghedira. 2005. Investigation of extracts from (Tunisian) cyperus rotundus as antimutagens and radical scavengers. Environ. Toxicol. Phar. 20, 478-484. 

  12. Kim, A. R., S. Y. Lee, K. B. W. R. Kim, E. J. Song, J. H. Kim, M. J. Kim, K. W. Ji, I. S. Ahn, and D. H. Ahn. 2008. Effect of Glycyrrhiza uralensis on shelf-life and quality of Takju. Korean J. Food Sci. Technol. 40, 194-200. 

  13. Kim, J. H., S. H. Lee, N. M. Lee, S. Y. Kim, S. Y. Choi, J. Y. Yoo, and J. S. Lee. 2000. Manufacture and physiological functionality of Korean traditional liquor by using dandelion. Korean J. Appl. Microbiol. Biotechnol. 28, 367-371. 

  14. Kim, M. J., S. Y. Lee, K. B. W. R. Kim, E. J. Song, A. R. Kim, and J. H. Kim. 2007. Effect of chitosan on shelf-life and quality of Takju. J. Chitin Chitosan. 12, 198-204. 

  15. Kim, M. S., W. K. Lim, J. G. Cha, N. H. An, S. J. Yoo, and J. H. Park. 2001. The activation of PI3-K and PKC $\zeta$ in PMA-induced differentiation of HL-60 cells. Cancer Lett. 171, 79-85. 

  16. Kim, S. M. and W. K. Cho. 2006. Effects of Takju lees on the serum glucose levels i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Korean J. Food Culture. 21, 638-643. 

  17. Lee, G. H. 1994. Characteristic and new technology of korean Takju. Korean J. Appl. Microbiol. Bioeng. 7, 36-46. 

  18. Lee, J. S., T. S. Lee, S. O. Park, and B. S. Noh. 1996. Flavor cmoponents in mash of Takju prepared by different raw materials. Korean J. Food Sci. Technol. 28, 316-323. 

  19. Lee, S. K., I. H. Kim, and B. Y. Min. 1990. Effect of lysozyme and glycine on the Mageoly brewing process. J. Korean Agric. Chem. Soc. 33, 252-256. 

  20. Lee, T. S. and J. Y. Choi. 1998. Volatile flavor components in Takju fermented with mashed glutinous rice and barley rice. Korean J. Food Sci. Technol. 30, 638-643. 

  21. Lee, T. S. and E. H. Han. 2000. Volatile flavor components in Takju prepared by using Rhizopus japonicus Nuruks. Korean J. Food Sci. Technol. 32, 691-698. 

  22. Park, I. S., T. J. Kim, N. S. Kim, and B. S. Noh. 1996. Simultaneuous determination of glucose and ethanol of Takju by biosensor using dual cathode electrode. Korean J. Food Sci. Technol. 28, 974-980. 

  23. Park, J. H., S. M. Bae, C. Yook, and J. S. Kim. 2004.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Takju prepared with old rice. Korean J. Food Sci. Technol. 36, 609-615. 

  24. Ryu, H. Y., E. J. Kum, K. H. Bae, Y. K. Kim, I. S. Kwun, and H. Y. Sohn. 2007. Evaluation for the antimicrobial, antioxidant and anti-thrombosis activity of Korean traditional liquors. Korean J. Food Sci. Technol. 35, 238-244. 

  25. Seo, S. B., S. M. Han, J. H. Kim, N. M. Kim, and J. S. Lee. 2001. Manufacture and physiological funtionality of wines and liquors by using pum (Prunus salicina). Korean J. Biotechnol. Bioeng. 16, 153-157. 

  26. Sharma, K. K. and S. P. Sharma. 1979. Effect of onion and garlic on serum cholesterol on normal subject. Mediscope. 22, 134-136. 

  27. Shashikanth, K. N., S. C. Basappa, and V. S. Murthy. 1981. Studies on the antimicrobial and stimulatory factor of garlic. J. Food Sci. Technol. 18, 44-47. 

  28. Shin, S. Y., S. H. Suh, W. D. Cho, H. K. Lee, and H. J. Hwang. 2003. Analysis of volatile components in Korean rice wine by the addition of Yulmoo.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 1206-1213. 

  29. Song, J. C. and H. J. Park. 2003. Takju brewing using the uncooked germed brown rice at second stage mesh.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 847-854. 

  30. Song, J. C., H. J. Park, and W. C. Shin. 1997. Changes of Takju qualities by addition of cyclodextriin during the brewing and aging. Korean J. Food Sci. Technol. 29, 895-900. 

  31. Swaffield, C. H., J. A. Scott, and B. Jarvis. 1997. Observations on the microbial ecology of traditional alcoholic cider storage vats. Food Microbiology 14, 353-36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