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블루베리 첨가 막걸리의 발효특성
Characteristics of Blueberry Added Makgeolli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0 no.3, 2011년, pp.444 - 449  

전미향 (강릉원주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이원종 (강릉원주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블루베리를 첨가하여 막걸리를 제조하였으며, 블루베리 함량 차이에 따른 막걸리의 발효특성을 비교하였다. pH는 담금 직후 대조군(0%)이 6.6로 가장 높았고, 블루베리 첨가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다소 낮았다. 모든 시험구에서 발효 2일 후 pH가 현저히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최종 pH는 3.7~3.8이었다. 총 산도는 발효 3일까지 급격히 증가하였으며, 이후 완만히 증가 또는 감소하여 발효 종료 후 1.0~1.1%로 나타났다. Brix 당도는 담금 직후 1.8~2.2 Brix이었으며, 대조구가 가장 낮았고 블루베리 첨가비율이 증가할수록 높게 나타났다. 발효 2일 후 각 시험구의 당도는 13.9~15.3 Brix로 최대값을 나타냈고, 이후 발효 종료 시까지 당도는 완만히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환원당은 발효초기 8.0~8.5%로 모든 시험구에서 급격히 증가하였으나, 발효 2일 경과 시에 8.0~8.5%로 모든 시험구에서 급격히 증가하였으며, 대조구 및 블루베리 20% 첨가구가 기타 시험구에 비해 다소 높았다. 발효 3일 이후 알코올 발효과정의 진행으로 현저히 감소되었으며, 대조구가 블루베리를 첨가한 시험구에 비해 다소 낮게 유지되었다. 알코올 함량은 모든 시험구에서 발효 3일까지 급격히 증가하였다. 대조군과 블루베리 5% 첨가구의 경우 발효 종료 시 최대값을 나타냈으며, 블루베리를 10% 이상 첨가한 시험구의 경우 알코올 함량이 최대값을 나타낸 발효일수는 4~5일로 나타났다. 총 균수 및 효모 균체수는 모든 시험구가 발효 3일째 최대값을 나타내었다. 관능평가결과 색상의 경우 대조군이 6.1로 가장 높았고, 블루베리를 20% 첨가한 시험구가 가장 낮은 4.6로 나타났다. 향은 유의수준 p<0.05에서 유의수준에 차이가 없었고, 모든 시험구에서 보통 이상의 기호도를 보였다. 블루베리를 10% 이하로 첨가 시 종합적 기호도가 우수하고, 블루베리 막걸리의 개발 상품화 가능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lueberry Makgeolli was made with rice by adding different amounts of blueberries, and the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Makgeolli were studied during the fermentation process. The pH was the highest (6.6) at the beginning of the fermentation and decreased when the ratio of blueberries increase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최근 블루베리의 항산화 및 항균효과 등의 다양한 생리활성에 대한 연구가 보고되고 있고 블루베리 열매를 이용한 기능성식품 개발 등의 활용가치가 높아지고 있으나 이에 대한 연구개발이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블루베리 열매를 첨가하여 한국의 전통술인 막걸리를 제조하였으며, 블루베리 함량 차이에 따른 막걸리의 발효 및 품질 특성을 비교하여, 막걸리의 개발 및 다양화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블루베리 열매의 외형은? 한편 블루베리는 진달래과(Ericaceae) 산앵두나무속 (Vaccinium)에 속하는 북아메리카 원산의 활엽 또는 상록성 과수로서 대부분 키가 낮게 자라는 관목형을 지니나 일부 품종은 성목으로 성장 시 수고가 5 m에 달하기도 한다. 열매는 거의 둥글고 1개가 1∼1.5 g이며 짙은 하늘색, 붉은빛을 띤 갈색, 검은색이고 겉에 흰 가루가 묻어 있다. 달고 신맛이 약간 있기 때문에 날것으로 먹기도 하고 잼·주스·통조림 등을 만든다.
막걸리라는 이름이 붙여지게 된 이유는 무엇인가? 막걸리는 한국의 대표적 전통 술로 ‘쌀과 누룩으로 빚어 그대로 막 걸러내어 만들었다’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또한 탁하기 때문에 탁주라 부르기도 하고 식량대용 또는 갈증해소로 농부들이 애용하여 농주라고도 하였다(9).
막걸리는 어떤 성분을 함유하고 있는가? 또한 탁하기 때문에 탁주라 부르기도 하고 식량대용 또는 갈증해소로 농부들이 애용하여 농주라고도 하였다(9). 이러한 막걸리는 일반 주류와는 달리 상당량의 단백질과 식이섬유 및 당질이 들어 있고, 소량의 비타민과 미량의 생리활성물질 및 많은 양의 젖산균 등을 함유하여 영양적, 기능적 가치가 높아 최근 국내 및 일본 등에서 소비가 크게 증가하는 추세이다(4). 이와 같이 막걸리는 우수한 민족 고유의 전통 발효식품임에도 불구하고, 소비자의 고급 주류의 선호와 저장 시 발생되는 주질 상의 문제점 등으로 국내 대표적인 주류로 자리 잡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Lee MK, Lee SW, Yoon TH. 1994. Quality assessment of Yakju brewed with conventional Nuruk. J Korean Soc Food Nutr 23: 78-89. 

  2. Kim YJ, Han YS. 2006. The use of Korean traditional liquors and plan for encouraging it. Korean J Food Culture21: 31-41. 

  3. Lee JH, Lee HD, Kim JY, Kim KM. 1989. Sensory quality attributes of Takju and their changes during pasteurization.Korean J Diet Cult 4: 405-410. 

  4. Lee DH, Kim JH, Lee JS. 2009. Effect of pears on the quality and physiological functionality of Makgeoly. Korean JFood and Nutr 22: 606-611. 

  5. Kim AR, Lee SY, Kim KBWR, Song EJ, Kim JH, Kim MJ,Ji KW, Ahn IS, Ahn DH. 2008. Effect of Glycyrrhiza uralensis on shelf-life and quality of Takju. Korean J FoodSci Technol 40: 194-200. 

  6. Kim SY, Oh MJ, Kim CJ. 1974. Studies on Takju brewing with potatoes. Korean J Agric Chem Soc 17: 81-92. 

  7. Kim MJ, Lee SY, Kim KBWR, Song EJ, Kim JH, Kim MJ,Ji KW, Ahn IS, Ahn DH. 2007. Effect of chitosan on shelflife and quality of Takju. J Chitin Chitosan 12: 198-204. 

  8. Shin SY, Suh SH, Cho WD, Lee HK, Hwa HJ. 2003. Analysis of volatile components in Korean rice wine by the addition of Yulmoo.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 1206-1213. 

  9. Kim KS. 2000. Studies on fungal isolated collected from Korean traditional Nuruk. MS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Cheongwon, Korea. p 60. 

  10. Lee DP. 2006. Policy issues for the globalization of Korean traditional liquer. Food Industry and Nutrition 11: 1-9. 

  11. Lee DS. 2008. Analysis of nutritive elements of a local makgeolli. MS Thesi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of Nutrition Education, Gwangju, Korea. p 2. 

  12. Chung DH. 2004. The history of alcohol tradition in Korea.Shinkwang Publishing Co., Seoul, Korea. p 271-298. 

  13. Naczk M, Shahidi F. 2006. Phenolics in cereals, fruits and vegetables: occurrence, extraction and analysis. J Pharm Biomed Anal 41: 1523-1542. 

  14. Hertog MGL, Feskens EJM, Kromhout D. 1997. Antioxidant flavonols and coronary heart disease risk. Lancet 349: 699. 

  15. Knekt P, Jarvinen R, Reunanen A, Maatela J. 1996. Flavonoid intake and coronary mortality in Finland: a cohort study.Br Med J 312: 478-481. 

  16. Lee SN, Kang KJ. 2008. The effect of blueberry on ROS accumulation and cell death in human normal breast epithelial and breast cancer cells. Korean J Food and Nutr21: 416-424. 

  17. Kum JS, Lee CH, Baek KH, Lee SH, Lee HY. 1995. Influence of cultivar on rice starch and cooking properties. KoreanJ Food Sci Technol 27: 365-369. 

  18. Lee JS, Lee TS, Noh BS, Park SO. 1996. Quality characteristics of mash of Takju prepared by different raw materials.Korean J Food Sci Technol 28: 330-336. 

  19. Park JH, Bae SM, Yook C, Kim JS. 2004. Fermentation characteristic of Takju prepared with old rice. Korean J Food Sci Technol 36: 609-615. 

  20. So MH, Lee YS, Noh WS. 1999. Change in microorganisms and main components during Takju brewing by a modified Nuruk. Korean J Food and Nutr 12: 226-232. 

  21. Han EH, Lee TS, Noh BS, Lee DS. 1997. Quality characteristics in mash of Takju prepared by using different Nuruk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29: 555-56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