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파인애플 과육과 심지를 첨가하여 막걸리를 제조하고 품질특성을 분석하였다. 발효기간 동안 pH, $^{\circ}Bx$의 측정값과 발효 후 알코올의 함량은 샘플들 간에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파인애플을 첨가한 막걸리의 총산도 값은 대조구에 비해 높았으며 특히 citric acid, tartaric acid, malic acid, pyroglutamic acid, lactic acid, propionic acid의 함량이 높았다. 반면 총 유리아미노산의 함량은 대조구에서 더 높았으며, methionine을 제외한 aspartic acid, serine, threonine, alanine, tryptophan, lysine 등의 유리아미노산 함량은 파인애플을 첨가하지 않은 막걸리에서 더 높게 측정되었다. 관능평가에서는 파인애플 막걸리가 대조구보다 색도를 제외하고 향, 맛, 전체적인 기호도에서 높은 값을 보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ineapple flesh and core were added during fermentation to develop a new style of fruit makgeolli.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were measured during fermentation, and sensory evaluation was performed after fermentation to estimate the quality of pineapple makgeolli.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파인애플을 첨가하여 제조한 막걸리는 파인애플의 신선한 맛과 향의 첨가, 막걸리에서 부족한 비타민, 유기산의 첨가, 단백질 분해효소의 작용으로 인한 유리아미노산의 변화 등이 있을 것으로 예상되지만 이와 관련된 연구는 없다. 본 연구에서는 파인애플을 첨가한 막걸리를 제조하고 파인애플 막걸리의 발효특성을 검토하였으며 성분분석, 관능평가를 통해 파인애플 첨가 막걸리의 품질특성을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막걸리란 무엇인가? 막걸리는 쌀과 누룩(입국)을 이용하여 만드는 술로, 누룩 (입국) 미생물 중 곰팡이의 amylase에 의한 쌀 전분의 당화 공정과 효모에 의한 발효성 당의 에탄올로의 전환 과정(발효 공정)이 동시에 진행되는 병행복발효주이다(1). 막걸리는 다른 주류와는 달리 생 효모나 비타민 B군을 비롯한 필수아미노산인 lysine, leucine, glutamic acid, proline 및 glutathione을 함유하고 있어 영양이 풍부하고 산미에 관여하는 유기산으로 인해 신진대사를 원활히 해주는 효과가 있다(2,3)
파인애플을 첨가한 막걸리의 발효 후 최종 pH값은? 0 사이의 값을 보였다. 파인애플을 첨가한 실험구와 대조구 간에 pH 차이는 거의 없었으며 최종 pH는 3.7∼3.8 사이의 값을 보였다. 한편 총산도 값은 발효 기간 동안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성을 나타내었다(Fig.
파인애플을 첨가한 막걸리의 유기산 함량 조사 결과, 높은 함량을 나타내는 것은? 총 유기산의 함량은 파인애플 과육을 첨가한 막걸리가 7,328 mg/L, 파인애플 심지를 첨가한 막걸리가 6,574 mg/L로 대조구 6,363 mg/L보다 높았다. 파인애플을 첨가한 막걸리에서 citric acid, tartaric acid, malic acid, pyroglutamic acid의 함량이 높았으며, 특히 파인애플 과육을 첨가한 실험구가 파인애플 심지를 첨가한 실험구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파인애플 과육이 파인애플 심지보다 더 많은 유기산을 포함하기 때문에 일정한 신맛의 상승을 원한다면 파인애플 심지는 과육보다 더 많은 양을 첨가하여야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Kim BH, Eun JB. 2012.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makgeolli with pomegranate (Punica granatum L.) juice concentrate added. Korean J Food Sci Technol 44: 417-421. 

  2. Kim HS, Yang YT, Jung YH, Koh JS, Kang YJ. 1992. Clarification of foxtail millet wine. Korean J Food Sci Technol 24: 101-106. 

  3. Yang JY, Lee KH. 1996. Shelf-life and microbiological study of Sansung takju. Korean J Food Sci Technol 28: 779-785. 

  4. Choi KW, Lee JK, Jo HJ, Lee KJ, Yoon JA, An JH, Chung KH. 2013.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Makgelli made with loquat fruits (Eriobotrya japonica Lindley). J Korean Soc Food Sci Nutr 42: 975-982. 

  5. Jeon MH, Lee WJ. 2011. Characteristics of blueberry added Makgeolli.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 444-449. 

  6. Kim S, Kim E, Yoon S, Jo N, Jung SK, Kwon S, Chang YH, Jeong Y. 2011. Physicochemical and microbial properties of Korean traditional rice wine, Makgeolli, supplemented with cucumber during fermenta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 223-228. 

  7. Yang HS, Eun JB. 2011. Fermentation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Korean traditional fermented liquor (makgeolli) added with citron (Citrus junos SIEB ex TANAKA) juice. Korean J Food Sci Technol 43: 438-445. 

  8. Kim SH, Park JM, Yoon HS, Song DN, Song IG, Eom HJ. 2013. Physiolog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makgeolli with added paprika (Capsicum annuum L.). Korean J Food Sci Technol 45: 578-582. 

  9. Hossain MA, Rahman SMM. 2011. Total phenolics, flavonoid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tropical fruit pineapple. Food Res Int 44: 672-676. 

  10. Jung YJ, Hyun KG, Choi JS, Lee SY, Nou IS, Park JH, Kang KK. 2006. Characterization of transgenic lettuce (Lactuca sativa L.) using a BL1 gene encoding bromelain isolated from pineapple. Korean J Plant Biotechnol 33: 27-32. 

  11. Margalit Y. 2003. Winery technology & operation. The Wine Appreciation Guild, San Francisco, CA, USA. p 1-12. 

  12. Son HS, Park BD, Ko BK, Lee CH. 2011. Quality characteristics of takju produced by adding different amounts of water. Korean J Food Sci Technol 43: 453-457. 

  13. Son HS, Hong YS, Park WM, Yu MA, Lee CH. 2009. A novel approach for estimating sugar and alcohol concentrations in wines using refractometer and hydrometer. J Food Sci 74: C106-C111. 

  14. Kim E, Chang YH, Ko JY, Jeong Y. 2013. Quality characteristics of Makgeolli added with kiwifruit (Actinidia deliciosa). J Korean Soc Food Sci Nutr 42: 1821-1828. 

  15. Carnara M, Diez C, Torija E. 1995. Chemical characterization of pineapple juices and nectars. Principal components analysis. Food Chem 54: 93-100. 

  16. Son HS, Hwang GS, Kim KM, Kim EY, van den Berg F, Park WM, Lee CH, Hong YS. 2009. $^1H$ NMR-based metabolomic approach for understanding the fermentation behaviors of wine yeast strains. Anal Chem 81: 1137-1145. 

  17. Avenoza A, Busto JH, Canal N, Peregrina JM. 2006. Time course of the evolution of malic and lactic acids in the alcoholic and malolactic fermentation of grape must by quantitative 1H NMR (qHNMR) spectroscopy. J Agric Food Chem 54: 4715-4720. 

  18. Park CS, Lee TS. 2002. Quality characteristics of takju prepared by wheat flour nuruks. Korean J Food Sci Technol 34: 296-302. 

  19. Woo SM, Shin JS, Seong JH, Yeo SH, Choi JH, Kim TY, Jeong YJ. 2010.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own rice Takju by different Nuruk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301-307. 

  20. Choi SH, Kim OK, Lee MW. 1992. A study on the gas chromatographic analysis of alcohols and organic acids during Takju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24: 272-278. 

  21. Jang PS, Noh BS, Yoo SH, Kim MJ, Kim YW. 2010. Food enzyme technology. Soohaksa publisher, Seoul, Korea. p 350-352. 

  22. Yoo SA, Seo SH, Hyun SY, Son HS. 2013. Characteristics of crude protease from fruits and traditional Korean fermentation starter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2: 1461-1466. 

  23. Choe JS, Ahn HH, Nam HJ. 2002. Comparison of nutritional composition in Korean ric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1: 885-89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