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키위를 첨가한 막걸리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Makgeolli Added with Kiwifruit (Actinidia deliciosa)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42 no.11, 2013년, pp.1821 - 1828  

김은경 (경희대학교 조리외식경영학과) ,  장윤혁 (경희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고재윤 (경희대학교 조리외식경영학과) ,  정윤화 (단국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키위를 첨가하여 제조한 막걸리의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발효 6일째의 키위 막걸리와 대조군 알코올 함량은 각각 16.6, 17.0%을 나타내어 시료 간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키위 막걸리와 대조군의 pH는 발효 1일째 급감한 후 완만한 증가를 보이고 발효 6일째 각각 4.38 및 4.51로 큰 차이가 없었으며, 총산은 발효 1일째 급격한 증가를 보인 후 완만히 증가하여 발효 6일째 각각 0.34 및 0.27을 나타내었다. 총 균, 유산균, 효모 수는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점차 증가하였으며 키위 막걸리의 발효 6일째 총 균, 유산균, 효모 수는 대조군과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색도(L, a, b)는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대조군과 키위 막걸리 모두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유리당 중 가장 높은 함량을 보인 glucose는 발효가 진행되면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 유기산succinic acid 함량이 대조군과 키위 막걸리 모두 가장 높았고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키위 막걸리에서는 37종의 휘발성 화합물이 검출되었으며, 그중 3-methyl-1-butanol(33.71%), 2-methyl-1-propanol(23.81%) 및 ethyl acetate(19.94%)의 함량이 가장 높았다. 본 연구 결과 막걸리 제조 시 키위의 첨가는 막걸리의 품질특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평가되어, 키위의 영양학적 효용성을 겸비한 기능성 막걸리의 제조가 가능한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physicochemical and microbial properties of Makgeolli supplemented with kiwifruit (Actinidia deliciosa). Four hundred grams of kiwifruit were added to 3.1 L of distilled water, followed by 2.0 kg of rice, 40.0 g of Nuruk, and 14.0 g of yeast. The mixed ri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비타민 C와 같은 기능성 물질이 풍부한 키위를 막걸리에 첨가하여 기능성 막걸리를 제조한다면 우리 전통주의 다양화와 전통주 시장의 확대가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에서는 기호성과 식품영양학적 효용성이 높은 키위를 첨가하여 키위 막걸리를 제조하고 발효과정 동안 키위 막걸리의 이화학적 및 미생물학적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키위를 첨가하여 제조한 막걸리의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발효 6일째의 키위 막걸리와 대조군 알코올 함량은 각각 16.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막걸리의 제조 과정은? 그러나 서민은 양온서에서 빚은 좋은 술을 얻기 어려워 맛이 박하고 빛깔이 진한 것을 마신다”라고 한 것으로 보아 탁주, 즉 막걸리를 마셨다는 것을 짐작할 수 있다(1-3). 막걸리는 전통적으로 멥쌀, 찹쌀, 밀가루 등의 곡류에 누룩을 섞어 전분이 당으로 분해되는 당화과정과 당을 효모가 알코올로 전환하는 알코올 발효과정이 함께 진행되는 병행 복발효주로서 양조한 후 증류하지 않고 발효된 술덧을 걸러서 외관이 백탁한 상태로 음용하므로 탁주(濁酒)로도 불린다. 또한 농경문화를 주체로 해온 우리 민족에게는 오랜 세월 동안 서민생활과 밀접한 관계를 맺어온 매우 중요한 발효식품으로서 농민들이 농사일을 하면서 주로 음용하여 농주(農酒)라고도 불린다(2,3).
막걸리를 농주라고 부르는 이유는? 막걸리는 전통적으로 멥쌀, 찹쌀, 밀가루 등의 곡류에 누룩을 섞어 전분이 당으로 분해되는 당화과정과 당을 효모가 알코올로 전환하는 알코올 발효과정이 함께 진행되는 병행 복발효주로서 양조한 후 증류하지 않고 발효된 술덧을 걸러서 외관이 백탁한 상태로 음용하므로 탁주(濁酒)로도 불린다. 또한 농경문화를 주체로 해온 우리 민족에게는 오랜 세월 동안 서민생활과 밀접한 관계를 맺어온 매우 중요한 발효식품으로서 농민들이 농사일을 하면서 주로 음용하여 농주(農酒)라고도 불린다(2,3). 막걸리는 다른 주류와는 달리 생 효모나 비타민 B군을 비롯한 필수아미노산인 lysine, leucine, glutamic acid, proline 및 glutathione을 함유하여 영양가가 풍부하며, 산미에 관여하는 유기산은 갈증을 해소하고 신진대사를 원활히 하는데 효과가 있다(4,5).
키위에 다량 존재하는 유기산의 종류는? 키위(Actinidia chinensis)는 다래나무 과(Actinidia-ceae) 다래나무 속(Actinidia)의 온대지역에서 자라는 자웅이주의 덩굴성 낙엽과수로(6) 기호성이 뛰어나고 과육 중에 단백질 가수분해 효소인 actinidin이 함유되어 있어 소화를 도우며 비타민 C가 풍부하고 칼륨이 많은 반면 나트륨은 적어 고혈압 예방에 효능이 있는 과일로 알려져 있다(7). 또한 키위에는 quinic acid, malic acid, citric acid 등의 유기산이 다량 존재하고 있어 키위 특유의 풍미를 가진다. 국내에서의 키위의 소비 형태는 대부분 생과 형태로 소비되고 있으며 일부 기형, 소과(小果)의 경우에 한하여 주스 등의 형태로 가공되고 있어 키위의 대량 소비를 위해서는 다양한 가공 기술개발이 요구되고 있다(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Kim AR, Lee SY, Kim KBWR, Song EJ, Kim JH, Kim MJ, Ji KW, Ahn IS, Ahn DH. 2008. Effects of Glycyrrhiza uralensis on shelf-life and quality of takju. Korean J Food Sci Technol 40: 194-200. 

  2. Kim HS, Yang YT, Jung YH, Koh JS, Kang YJ. 1992. Clarification of foxtail millet wine. Korean J Food Sci Technol 24: 101-106. 

  3. Yang JY, Lee KH. 1996. Shelf-life and microbiological study of Sansung Takju. Korean J Food Sci Technol 28:779-785. 

  4. Lee SM, Lee TS. 2000. Effect of roasted rice and defatted soybean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Takju during fermentation. J Nat Sci 12: 71-79. 

  5. Han EH, Lee TS, Noh BS, Lee DS. 1997. Quality characteristics in mash of Takju prepared by using different Nuruk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29: 555-562. 

  6. Andoh A, Fujiyama Y, Kitoh K, Niwakawa M, Hodohara K, Bamba T, Hosoda S. 1993. Macrophage colony-stimulating factor (M-CSF) enhances complement component C3 production by human monocytes/macrophages. Int J Hematol 57: 53-59. 

  7. Conrad RE. 1981. Induction and collection of peritoneal exudates macrophages. Marcel Dekker Incorporation, New York, NY, USA. p 5-11. 

  8. Choi SG, Lee CH, Yu KW. 2006. Immunlogical activities of hot-water extracts from kiwifruits. J Agric & Life Sci 40: 39-45. 

  9. Kim JH, Lee SY, Kim KBWR, Song EJ, Kim AR, Kim MJ, Ji KW, Ahn IS, Ahn DH. 2007. Effects of Glycyrrhiza uralensis, Menthae herba, Schizandra chinensis and chitosan on the shelf-life and quality of Takju.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 1436-1443. 

  10. Lee DH, Park WJ, Lee BC, Lee JC, Lee DH, Lee JS. 2005. Manufacture and physiological functionality of Korean traditional wine by using Gugija (Lycii fructus). Korean J Food Sci Technol 37: 789-794. 

  11. Lee DH, Kim JH, Lee JS. 2009. Effect of pears on the quality and physiological functionality of Makgeoly. Korean J Food & Nutr 22: 606-611. 

  12. Woo KS, Song SB, Lee JS, Ko JY, Kang JR, Oh BG, Nam MH, Ryu IS, Seo MC. 2010.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traditional wine made from proso millet (Panicum miliaceum L.) at different addition rates with two kinds of nuruk. Korean J Crop Sci 55: 119-125. 

  13. Woo KS, Ko JY, Song SB, Lee JS, Oh BG, Kang JR, Nam MH, Ryu IS, Jeong HS, Seo MC. 2010.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traditional wines prepared by addition of sorghum (Sorghum bicolor L. Moench) using different nuruk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548-553. 

  14. Seo SB, Kim JH, Kim NM, Choi SY, Lee JS. 2002. Effect of Acasia (Robinia pseudo-acasia) flower on the physiological functionality of Korean traditional rice wine. Kor J Microbiol Biotechnol 30: 410-414. 

  15. KFDA. 2010. Code food. Korea Food and Drug Association, Seoul, Korea. 10-3-1-10-3-35. 

  16. Sturm K, Koron D, Stampar F. 2003. The composition of fruit of different strawberry varieties depending on maturity stage. Food Chem 83: 417-422. 

  17. Kerem Z, Bravdo BA, Shoseyov O, Tugendhaft Y. 2004. Rapid liquid chromatography-ultraviolet determination of organic acids and phenolic compounds in red wine and must. J Chromatogr A 1052: 211-215. 

  18. Park CS, Lee TS. 2002. Quality characteristics of takju prepared by wheat flour nurks. Korean J Food Sci Technol 34: 296-302. 

  19. Song JC, Park HJ. 2003. Takju brewing using the uncooked germinated brown rice at second stage mash.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 847-854. 

  20. Kim JY, Yi YH. 2008. pH, acidity, color, reducing sugar, total sugar, alcohol and organoleptic characteristics of puffed rice powder added wheat flour Takju during fermentation. Food Eng Prog 12: 71-77. 

  21. Lee TJ, Hwang DY, Lee CY, Son HJ. 2009. Changes in yeast cell number, total acid and organic acid during production and distribution processes of Makgeolli, traditional alcohol of Korea. Korean J Microbiology 45: 391-396. 

  22. Jeong JW, Park KJ, Kim MH, Kim DS. 2006. Quality characteristics of takju fermentation by addition of chestnut peel powder. Korean J Food Preserv 13: 329-336. 

  23. Seo MY, Lee JK, Ahn BH, Cha SK. 2005. The changes of microflora during the fermentation of Takju and Yakju. Korean J Food Sci Technol 37: 61-66. 

  24. Song JC, Park HJ, Shin WC. 1997. Change of Takju qualities by addition of cyclodextrin during the brewing and aging. Korean J Food Sci Technol 29: 895-900. 

  25. Kim CA, Lee WG, Lee IS, Wang MH. 2008. Changes of physicochemical, sensory, and antioxidant activity characteristics in rice wine, yakju added with different ratios of Codonopsis lanceolata. Korean J Food Sci Technol 40: 201-206. 

  26. Song JC, Park HJ, Shin WC. 2006. Suppression of solid matters precipitation of Takju and its quality improvement by carageenan. Korean J Food & Nutr 19: 288-295. 

  27. Park CS, Oh EH, Jeong HS, Yoon HS. 2009.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germinated brown rice wine added with red pepper.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 1090-1096. 

  28. Lee HS, Park CS, Choi JY. 2010.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mashes of takju prepared using different yeasts. Korean J Food Sci Technol 42: 55-62. 

  29. Ryuzo U, Takeshi I, Yuzo I, Toshio O. 1972. Studies on changes in microflora and its metabolism during the process of making Koji in soy sauce brewing. Seasoning Science 19: 31-38. 

  30. Lee TS, Choi JY. 1998. Volatile flavor components in Takju fermented with mashed glutinous rice and barley rice. Korean J Food Sci Technol 30: 638-643. 

  31. Yuda J. 1976. Volatile compounds from beer fermentation. J Soc Brew Japan 71: 819-830. 

  32. Hara S. 1967. A view of Sake component: Alcohol. J Soc Brew Japan 62: 1195-1205. 

  33. Lee TS, Han EH. 2000. Volatile flavor components in mash of takju prepared by using Rhizopus japonicus nuruks. Korean J Food Sci Technol 32: 691-698. 

  34. Shin SY, Suh SH, Cho WD, Lee HK, Hwang HJ. 2003. Analysis of volatile components in Korean rice wine by the addition of Yulmoo.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 1206-1213. 

  35. Kim E, Chang YH, Ko JY, Jeong Y. 2013. Physicochemical and microbial properties of the Korean traditional rice wine, Makgeolli, supplemented with banana during fermentation. Prev Nutr Food Sci 18: 203-209. 

  36. So MH, Lee YS, Han SH, Noh WS. 1999. Analysis of major flavor compounds in Takju mash brewed with a modified Nuruk. Korean J Food & Nutr 12: 421-42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