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양극 경두개 직류 전기 자극이 중추신경원의 흥분성에 미치는 영향
Anodal Effects of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on the Excitability of Central Neuron 원문보기

대한임상전기생리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linical Electrophysiology, v.9 no.2, 2011년, pp.19 - 24  

임영은 (남동장애인종합복지관) ,  정진선 (광주여자대학교 물리치료학과) ,  이정우 (광주여자대학교 물리치료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on the excitability of the central neuron. Methods : This study selected 24 suitable women in their twenties. A positive electrode of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was placed on the primary motor are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뇌 겉질에 경두개 직류 전기 자극을 실시하여 이러한 자극이 직접적인 대뇌 겉질의 변화뿐 아니라 간접적으로 중추신경원의 흥분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 본 연구는 양극 경두개 직류 전기 자극이 중추신경원의 흥분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H반사와 V파의 흥분성을 알아보았다. 본 연구에서 모든 진폭은 통계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신경자극인 경두개 직류 전기자극은 무엇인가? 2006년 Vines 등1의 연구를 비롯하여 뇌를 효과적으로 자극할 수있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다루어 지고 있으며 대뇌 겉 질에 대한 비침습적인 자극 방법으로 경두개 전기자극 (transcranial electrical stimulation, TES)을 사용하고 있다. 비침습적 방법 중 신경자극인 경두개 직류 전기자극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tDCS)이 사용되고 있으며, 이는 운동 학습과 운동 수행력 향상을 위해 뇌의 겉질을 활성화시키는 방법으로 특정 신경 구조의 기능을 조절하고, 뇌의 가소성 및 재조직화를 유발시키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2,3
척수 운동신경원의 흥분성을 알아 보기 위한 검사 방법인 H반사는 무엇인가? 이처럼, 경두개 직류 전기 자극을 이용 하여 대뇌 겉질의 흥분성, 작업기억 능력, 운동 수행력 향상에 관한 연구들이 많이 이루어진 반면,17 경두개 직류 전기 자극이 대뇌 겉질 외 중추신경원 중 척수 운동신경원의 흥분성이나 원심성 신경로(efferent neural drive) 의 전도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련된 연구는 거의 보고되지 않았다. 척수 신경원의 흥분성을 알아 보기 위한 검사 방법인 H반사는 척수의 전각 세포와 운동 신경을 경과하여 발생하는 반사를 검사하는 방법이며 중추를 통한 단일연접반사로 말초의 감각신경과 운동 신경계에 기능적으로 중요한 정보를 제공한다.18 H반사는 상지에서 노쪽 손목 근(C7), 하지에서는 장딴지 근(S1) 에서 반응을 주로 기록 한다.
경두개 직류 전기 자극술은 어떠한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는가? 경두개 직류 전기 자극에 의한 흥분성의 변화는 약 10분에서 30분 까지 연속적으로 자극하였을 때에 신경생리학적인 효과가 자극이 끝난 후 약 90분까지 지속 된다.10,11 이와 같은 비침습적 뇌 자극 기법인 경두개 직류 전기 자극술은 국소적으로 대뇌 겉질의 흥분성을 조절 하여 뇌 기능을 변화 시키고자 하는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다.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Vines BW, Nair DG, Schlaug G. Contralateral and ipsilateral motor effects after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Neuroreport. 2006;24;17(6);671-674. 

  2. Alonso-Alonso M, Fregni F, Pascual-Leone A. Brain stimulation in poststroke rehabilitation. Cerebrovasc Dis. 2007;24(1):157-66. 

  3. Antal A, Bermpohl F, Boggio PS et al. Anodal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of prefrontal cortex enhances working memory. Exp Brain Res. 2005;166(1):23-30. 

  4. Kim YH. The Effects of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on neuroplasticity and functional recovery in spinal cord contusion model of rats. Dongshin University. Dissertation of Doctorate Degree. 2010. 

  5. Nitsche MA, Paulus W. Sustained excitability elevations induced by transcranial dc motor cortex stimulation in humans. Neurology. 2001;57(10):1899-901. 

  6. Gwon YH, Jang SH, Kim JS. Cortical activation in the human brain induced by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The Jounal of Korean Academy of Physical Therapy Science. 2009;21(4):73-9. 

  7. Arai N, Furubayashi T, Hamada M et al. Short and long duration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tdcs) over the human hand motor area. Exp Brain Res. 2008;185(2):279-86. 

  8. Go MH, Wassermann EM, Kim YH et al. Improvement of apraxia and hand function with transcranial direct current brain polarization in patients with corticobasal degeneration.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Rehabilitation Medicine. 2007;31(3):278-82. 

  9. Kim SH, Kim TY, Yang DJ et al. Change of cerebral motor area activity by anodal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hysical Therapy Science. 2009;21(4):65-71. 

  10. Nadia B, Pascual-Leone A. Using non-invasive brain stimulation to augment motor training-induced plasticity. NeuroEngineering and Rehabilitation. 2009;6(8). 

  11. Jeffery DT, Norton JA, Roy FD et al. Effects of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on the excitability of the leg motor cortex. Exp Brain Res. 2007;182(2):281-7. 

  12. Schlaug G, Renga V, Nair D.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in stroke recovery. Arch Neurol. 2008;65(12):1571-6. 

  13. Grafman J, Iyer MB, Lomarev M et al. Safety and cognitive effect of frontal dc brain polarization in healthy individuals. Neurology. 2005;64(5):872-5. 

  14. Boggio PS, Ferrucci R, Rigonatti SP et al. Effects of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on working memory in patients with parkinson's disease. J Neurol Sci. 2006;249(1):31-8. 

  15. Cogiamanian F, Marceglia S, Ardolino G et al. Improved isometric force endurance after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over the human motor cortical areas. Eur J Neurosci. 2007;26(1):242-9. 

  16. Lim YE. Effect of hand function and cerebral motor area activity by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Dongshin University. Dissertation of Master's Degree. 2009. 

  17. Kwon YH, Kwon JW, Park SY et al. Cortical activation by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and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in normal subjects: case studies.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Physical Therapy. 2010;23(1):77-82. 

  18. Yoo SH. Trunk Electromyography and H reflex during gait of hemiplegia after stroke. Daegu University. Dissertation of Master's Degree. 2008. 

  19. Bodine SC, Carson SR, Cavnor C et al. Consistent repeated M- and H-wave recording in the hind limb of rats. Muscle Nerve. 1998;21(11):1405-13. 

  20. Martin A, Pensini M. Effect of voluntary contraction intensity on the H-reflex and V-wave responses. Neurosci Lett. 2004;367(3):369-74. 

  21. Mattews WB. Ratio of maximum H reflex to maximum M response as a measure of spasticity. J Neurol Neurosurg Psychiat. 1966:29;201-204. 

  22. Babault N, Lucas B, Maffiuletti NA et al. Electrical and mechanical H (max)-to-M (max) ratio in powerand endurance-trained athletes. J Appl Physiol. 2001;90(1):3-9. 

  23. Aagaard P, Andersen JL, Dyhre-Poulsen P et al. Neural adaptation to resistance training: Changes in evoked V-wave and H-reflex responses. J Appl Physiol. 2002;92(6):2309-18. 

  24. Lee SJ, Yoon TS, Hu Y. Modulation of H reflex and reciprocal inhibition of soleus muscle via electrical and transcranial magnetic stimulaation of antagonist muscle.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Rehabilitation Medicine. 2003;27(4):524-2. 

  25. Han SJ. Electrophysiologic changes of tibial nerve by low frequency stimulation in polyneuropathic patients. Ewha Womans University. Dissertation of Master's Degree. 1996. 

  26. Moon DJ, Jeong DI, Lee JW. The effects of muscle contraction by electrical stimulation to V-wave and median frequency.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linical Electrophysiology. 2006;4(1):27-38. 

  27. Hoffman MA, Ingersoll CD, Palmieri RM. The Hoffmann reflex: methodologic considerations and applications for use in sports medicine and athletic training research. J Athl Train. 2004;39(3):268-77. 

  28. Hwang TY, Kim TY, Park JS. The change of H reflex by galvanic vestibular stimulation.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linical Electrophysiology. 2004;2(3):65-73. 

  29. Kim KY, Kim SH, Moon DJ et al. Changes of action potential of central neuron by maximal voluntary isometric contraction.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Physical Therapy. 2006;18(3):37-4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