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한국 통영 연안의 계절적 해조상 및 군집구조 변화
Seasonal Variation in the Marine Algal Flora and Community Structure along the Tongyeong Coast, Korea 원문보기

한국수산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v.44 no.6, 2011년, pp.732 - 739  

박미선 (국립수산과학원 동해수산연구소) ,  유현일 (국립수산과학원 동해수산연구소) ,  허진석 (원광대학교 생명과학부) ,  김영대 (국립수산과학원 동해수산연구소) ,  최한길 (원광대학교 생명과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arine algal flora and community structure were examined at four sites at Tongyeong, Korea, from February to December 2009. Eighty-two algal species were identified, including 10 green, 25 brown, and 47 red algae. During the study period, the number of species was highest at the Dukpo (61 species) s...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가스공사 통영 LNG생산기지의 냉배수 배수구로부터 거리별로 정점을 선택하여 해조류의 군집구조를 분석함으로써 지역별 해조류 군집의 차이를 파악하고 향후 지속적인 냉배수의 배출이 해조류 종조성 및 군집구조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한 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해조류의 어떠한 특성 때문에 부착생물인해조류의 종조성 및 군집구조의 변화가 연안 생태계에서 환경상태 변화를 모니터링하는 생물학적 지시자로 사용되는가? 해조류는 해양생태계에서 일차생산자로써 어·패류와 갑각류의 먹이와 은신처 및 산란장으로써 중요한 생태학적 역할을 할 뿐 만 아니라, 부착 동·식물에게 착생기질로 이용되므로 생물 다양성 증대에 기여한다(Lindstrom, 2009). 해조류 군집은 수온, 염분 및 광주기 등 다양한 무생물적 환경의 영향을 받으며 (Lobban and Harrison, 1997), 부영양화, 퇴적물의 증가 등 인간 활동에 의한 환경변화에 빠르게 반응한다(Tribollet and Vroom, 2007). 일반적으로 해조류는 부영양화를 포함한 오염이나 교란 해역에서 종다양성이 감소되고 군집구조가 단순화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Díez et al., 1999).
해조류는 어떤 역할을 하는가? 해조류는 해양생태계에서 일차생산자로써 어·패류와 갑각류의 먹이와 은신처 및 산란장으로써 중요한 생태학적 역할을 할 뿐 만 아니라, 부착 동·식물에게 착생기질로 이용되므로 생물 다양성 증대에 기여한다(Lindstrom, 2009). 해조류 군집은 수온, 염분 및 광주기 등 다양한 무생물적 환경의 영향을 받으며 (Lobban and Harrison, 1997), 부영양화, 퇴적물의 증가 등 인간 활동에 의한 환경변화에 빠르게 반응한다(Tribollet and Vroom, 2007).
통영 인근의 4개 정점에서 연중 출현한 해조류는 무엇인가? 통영 인근의 4개 정점에서 연중 출현한 해조류는 녹조류의 구멍갈파래, 갈조류의 지충이와 홍조류인 애기가시덤불 3종이었으며, 우뭇가사리는 예포를 제외한 3개 정점에서 연중 출현하는 보편적인 종임이 확인되었다. 이들 해조류는 한려해상국립공원의 많은 지역에서 출현하는 남해안의 대표종으로 알려져 있으며(Choi, 2008a), 본 연구 정점과 인접한 마산만과 진해만에서도 연중 출현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Kwak, 2009; Kwak and Huh, 200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0)

  1. Bray JR and Curtis JT. 1957. An ordination of the upland forest communities of Southern Wisconsin. Ecol Monogr 27, 325-349. 

  2. Cheney DP. 1977. R and C/P- A new improved ratio for comparing seaweed floras. Suppl J Phycol 13, 129. 

  3. Choi CG. 2008a. Algal flora in Hallyeo-haesang national park southern coast of Korea. J Kor Fish Soc 41, 371-380. 

  4. Choi HG. 2008b. Effects of thermal effluents from Wolseong nuclear power plant on macroalgal composition and community structure. Algae 22, 151-162. 

  5. Choi DS. 1992. On the state of marine algal resources in the west-southern coast of Korea. Bull Inst Litt Environ 9, 81-103. 

  6. Clarke KR and Gorley RN. 2006. PRIMER V6: User Manual/ Tutorial. PRIMER-E Ltd, Plymouth, U.K., 1-190. 

  7. Diez I, Secilla A, Santolaria A and Gorostiaga JM. 1999. Phytobenthic intertidal community structure along an environmental pollution gradient. J Mar Poll Bull 38, 463-472. 

  8. Feldmann J. 1937. Recherches sur la vegatation marine de la Mediterranee. Rev Alg 10, 1-340. 

  9. Fowler J and Cohen C. 1990. Practical Statistics for Field Biology. John Wiley and Sons, New York, USA., 1-227. 

  10. Hwang EK, Park CS, Koh NP and Sohn CH. 1997. Benthic marine algal communities of Shinjido, southern coast of Korea. J Kor Fish Soc 30, 574-584. 

  11. Kang JW. 1966. On the geographical distribution of marine algae in Korea. Bull Pusan Fish Coll 7, 1-125. 

  12. Kang JW and Lee JH. 1979. The marine algal flora of Geojedo area. The Report of KACN 14, 93-101. 

  13. Kang PJ, Kim YS and Nam KW. 2008. Flora and community structure of benthic marine algae in Ilkwang bay, Korea. Algae 23, 317-326 

  14. Kim EA, Lee HB and Lee IK. 1986. Marine algal vegetation of Samchonpo, south coast of Korea. Korean J Bot 29, 175-783. 

  15. Kim JK and Kim JH. 2001. Diffusion modelling of cold discharge on coastal waters. J Fish Mar Sci Edu 13, 132-145. 

  16. Kim KM. 2011. Structure of phytoplankton community by cold cischarge in the western Jinhae Bay. M.S. Thesis, Bukyong National University, Busan, Korea. 

  17. Kim MS, Kim MR, Chung MH, Kim JH and Chung IK. 2008. Species composition and biomass of intertidal seaweeds in Chuja Island. Algae 23, 301-310. 

  18. KIOS. 2010. Research the fishing damage due to operation of Tongyeong LNG receiving terminal. Korea Inter-University Institute of Ocean Science, Bukyong National University, Busan, Korea. 

  19. Kordas RL, Harley CDG and O'Connor MI. 2011. Community ecology in a warming world: The influence of temperature on interspecific interactions in marine systems. J Exp Mar Biol Ecol 400, 218-226. 

  20. Kwak SN. 2009. Marine benthic algal community at intertidal zone in Jinhae Bay. J Kor Soc Mar Environ Saf 15, 99-104. 

  21. Kwak SN and Huh SH. 2009. Species composition and distributional patterns of marine benthic algae at intertidal zone in Masan bay. J Kor Soc Mar Environ Saf 15, 179-185. 

  22. Lee YP and Kang SY. 2002. A Catalogue of the Seaweeds in Korea. Cheju National University Press, Cheju, Korea., 1-662. 

  23. Lindstrom SC. 2009. The biogeography of seaweeds in southeast Alaska. J Biogeogr 36, 401-409. 

  24. Lobban CS and Harrison PJ. 1997. Seaweed Ecology and Physiology. Cambridge University Press, New York, U.K., 1-366. 

  25. Luning K. 1980. Critical levels of light and temperature regulating the gametogenesis of three Laminaria species (Phaeophyceae). J Phycol 16, 1-15. 

  26. Margalef R. 1958. Information theory in ecology. General Systematics 3, 36-71. 

  27. McNaughton SJ. 1967. Relationship among functional properties of California Grassland. Nature 216, 168-169. 

  28. Mueller-Dombois D and Ellenberg H. 1974. Aims and Methods of Vegetation Ecology. John Wiley and Sons, New York, U.S.A., 1-547. 

  29. Nam KW, Kim YS, Kim YH and Sohn CH. 1996. Benthic marine algae in the east coast of Korea: flora, distribution and community structure. J Korean Fish Soc 29, 727-743. 

  30. Oh BG, Lee JW and Lee HB. 2002. A summer marine benthic algal flora and community of uninhabited islands in Haenamgun, southern coast of Korea. J Kor Fish Soc 35, 57-63. 

  31. Pielou EC. 1975. Ecological Diversity. John Wiley, London, U.K., 1-165. 

  32. Saito Y and Atobe S. 1970. Phytosociological study of intertidal marine algae. 1. Usujiri Benten-Jima, Hokkaido. Bull Fac Fish Hokkaido Univ 21, 37-67. 

  33. Segawa S. 1956. Colored Illustrations of the Seaweeds of Japan. Osaka, Pub. Co., LTD. Japan, 1-195. 

  34. Shepherd PHA and Womersley HBS. 1981. The algal and seagrass ecology of Waterloo Bay, South Australia. Aquat Bot 11, 305-371. 

  35. Song JN, Park SK, Heo JS, Kim BH, Yoo HI and Choi HG. 2011. Summer seaweed flora and community structure of uninhabited islands in Goheung, Korea. Kor J Fish Aquat Sci 44, 524-532. 

  36. Song SH, Choi JS and Sohn CH. 1970. Summer algal flora at Odongdo, Yeosu. Thesis Collect. Yeosu Fish Tech Coll 4, 18-28. 

  37. Sohn CH. 1987. Phytogeographical characterization and quantitative analysis of algal communities in Korea. Ph. D. Thesi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Kwang Ju, Korea. 

  38. Tribollet AD and Vroom PS. 2007. Temporal and spatial comparison of the relative abundance of macroalgae across the Mariana Archipelago between 2003 and 2005. Phycologia 46, 187-197. 

  39. Wells E, Wilkinson M, Wood P and Scanlan C. 2007. The use of macroalgal species richness and composition on intertidal rocky seashores in the assessment of ecological quality under the European water framework directive. Mar Pollut Bull 55, 151-161. 

  40. Yoo HI, Park HH and Choi HG. 2009. Marine algal floras and community structures in the vicinity of the Taean power plant in Korea. Kor J Fish Aquat Sci 42, 387-39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