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다문화 가정 청소년의 한국문화수용성과 학교생활적응에 관한 연구
Multicultural Family Adolescents: Their Acceptance of Korean Culture and Adaption to Korean School Life 원문보기

대한가정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v.49 no.9, 2011년, pp.83 - 97  

오경화 (중앙대학교 가정교육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effect of an adolescent's being in a multicultural family, including the psychological, cultural, and situational characteristics of this experience, in terms of how it impacts acceptance of Korean culture, social competence, and educational adaptation was investigated. 120 multicultural family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4. 다문화 가정 청소년의 한국문화수용성과 사회적 능력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다.
  • 금명자 외(2006)에 의하면 다문화가정 청소년이 겪는 가장 어려움 문제가 학업문제와 관련된 학교생활이라고 하였기에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다문화 가정 청소년의 한국문화 수용성과 사회적 능력이 학교생활적응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그 결과는 <표 12>와 같다.
  • 따라서 본 연구는 다문화 가정에서 성장하고 있는 청소년들의 주체적인 자아개념의 형성과 능동적인 문화 수용에 대한 자세에 영향을 주는 심리적, 문화적, 상황적 변인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또한 이들 변인이 한국문화 수용성과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과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 봄으로써 다문화가정 청소년이 한국문화를 능동적으로 수용하고 학교생활에 잘 적응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는 데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는 다문화 가정에서 성장하고 있는 청소년들의 주체적인 자아개념의 형성과 능동적인 문화 수용에 대한 자세에 영향을 주는 심리적, 문화적, 상황적 변인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또한 이들 변인이 한국문화 수용성과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과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 봄으로써 다문화가정 청소년이 한국문화를 능동적으로 수용하고 학교생활에 잘 적응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는 데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다문화 가정 청소년들의 심리적 문화적 상황적 특성들이 한국문화 수용성과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이로 인한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이들의 한국문화에 대한 능동적인 수용성과 학교생활에 대한 적응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교육적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으며 결론은 다음과 같다.
  • 이를 위해서 다문화 가정 청소년의 한국문화 수용성과 사회적 능력이 학교생활적응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그 결과는 와 같다.

가설 설정

  • 다문화의 접촉가능성이 문화수용성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가정 하에 9문항을 추출하였다. 이들 타문화유입에 대한 문항을 요인분석한 결과 하위차원으로는 문화유입에 대한 태도와 행동으로 2개의 요인이 추출되었으며 총 누적변량은 58.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2010년 행정안전부의 집계에서 한국사회에 체류하고 있는 외국인의 수는? 1990년대 이후 국제결혼의 증가와 외국인 노동자의 빠른 유입으로 한국사회는 다문화 사회로 빠르게 진입하고 있다, 2010년 행정안전부의 집계에 따르면 한국사회에 체류하고 있는 외국인은 113만명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추세는 더욱 더 가속화되어 미래의 한국사회는 다양한 인구집단의 수가 늘어 인구구성이 다양해 질 것이므로 다문화 사회로의 진입을 위한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하다(금명자, 이영선, 김수리, 손재환, 이현숙, 2006; 모선희, 이인희, 이선행, 김성운, 2008). 이제 1990년대 이후 급증한 국제결혼 가정 자녀들이 자아개념이 확립되는 청소년기에 진입하면서 인종적, 민족적, 문화적 다양성은 학교 공간에도 중요하게 반영되고 있다.
다문화 가정 자녀가 학교생활 적응에 특히 어려움을 겪는 이유는? 다양한 사회 구성원이 조화롭게 공존하는 다문화 사회가 형성되기 위해서는 다문화 가정 자녀 세대를 위한 적절한 교육적 차원에서의 지원이 필요하며 이를 수용하는 주변인들의 태도에 대한 연구도 절실히 요구된다. 특히 한국 사회는 혈통주의에 입각한 단일 민족에 대한 긍지가 높아 다양성에 대한 사회의 인식이 부족한 실정이어서 다문화 가정 청소년들이 학교생활 적응에 더욱 더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노충래, 홍진주, 2006). 따라서 정부에서도 다문화 사회로의 원활한 이행을 위하여“여성 결혼이민자 가족의 사회통합지원대책”과“다문화 가정 자녀 교육지원 대책”등을 내 놓고 각 지역에 다문화 가정지원센터를 설립하는등 각종 대책들을 마련하고 있다(모선희 외, 2008).
한국사회가 다문화 사회로 빠르게 진입하게된 이유는? 1990년대 이후 국제결혼의 증가와 외국인 노동자의 빠른 유입으로 한국사회는 다문화 사회로 빠르게 진입하고 있다, 2010년 행정안전부의 집계에 따르면 한국사회에 체류하고 있는 외국인은 113만명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추세는 더욱 더 가속화되어 미래의 한국사회는 다양한 인구집단의 수가 늘어 인구구성이 다양해 질 것이므로 다문화 사회로의 진입을 위한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하다(금명자, 이영선, 김수리, 손재환, 이현숙, 2006; 모선희, 이인희, 이선행, 김성운, 2008). 이제 1990년대 이후 급증한 국제결혼 가정 자녀들이 자아개념이 확립되는 청소년기에 진입하면서 인종적, 민족적, 문화적 다양성은 학교 공간에도 중요하게 반영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1)

  1. 강영희(2006). 초등학생의 자아개념 및 사회적 능력과 학업성취도간의 관계.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고영복(1977). 현대사회심리학. 서울: 법문사. 

  3. 고인숙(2004). 아동의 정서지능과 사회적 능력과의 상관.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금명자, 이영선, 김수리, 손재환, 이현숙(2006). 다문화가정청소년(혼혈청소년)연구"사회적응 실태조사 및 고정관념 조사". 국가청소년위원회. 한국청소년상원. GOVP1200712293. 

  5. 김미진(2010). 아동의 다문화수용성 척도개발에 관한 연구.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6. 김승미(1998). 초등학생과 중학생에서 사회적 지지와 스트레스가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김정원(2006). 국내 몽골 출신 외국인 근로자 자녀의 학교교육 실태 분석. 교육사회학연구, 16(3), 95-129. 

  8. 김희배(2007). 중학생 학교생활 만족도에 관한 연구. 관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노충래, 홍진주(2006). 이주노동자 자녀의 한국사회 적응실태 연구: 서울 경기 지역 몽골출신 이주노종자 자녀를 중심으로. 한국아동복지학, 22, 127-159. 

  10. 모선희, 이인희, 이선행, 김성운(2008). 다문화 가정의 문제점과정책적 지원방안 연구. 충남발전연구원. 기획연구 02. 

  11. 민무숙, 안상수, 김이선, 김금미, 조영기, 류정아(2010). 한국형 다문화수용성 진단도구개발. 서울: 사회통합위원회 

  12. 박경희(2008). 중학생의 학교생활 만족도에 관한 연구. 관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성미옥(2003).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과 학교생활만족도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과 그 효과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승해경(2008). 경상남도 다문화가정 아동의 학교 및 방과 후생활 분석. 창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양계민(2009). 한민족정쳬성과 자민족중심주의가 청소년의다문화수용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 연구, 20(4),387-421. 

  16. 양계민, 정진경, 강혜원(2008). 사회통합을 위한 청소년 다문화교육 활성화 방안 연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연구보고 08-R07. 

  17. 양민철(1995). 자아개념 및 학교생활적응과 학업성적간의 관계분석. 전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오성배(2005). 코시아(Kosian) 아동의 성장과 환경에 관한 사례연구. 한국교육, 32(3), 61-83. 

  19. 오혜경(1999). WBI에서 피드백 유형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정답제공형과 관련정보제공형의 비교.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유윤희(1994). 학교적응 불안, 학업성취간의 관계분석.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윤인진(2008). 한국적 다문화주의의 전개와 특성. 한국사회학, 42(2), 72-103. 

  22. 윤인지, 송영호(2011). 한국인의 국민정체성에 대한 인식과다문화 수용성. 통일문제연구, 55, 143-192. 

  23. 이원령, 이순복(2008). 영재아동의 자아개념과 사회적 능력및 학교샹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특수교육저널: 이론과 실천, 9(1), 169-189. 

  24. 조영달(2006). 다문화가정의 자녀 교육 실태 조사. 교육인적자원부. 연구용역과제최종보고서. 

  25. 조혜영, 이창호, 권순희, 서덕희, 이은하(2007). 다문화 가족자녀의 학교생활 실태와 교사, 학생 수용성 연구. 경제인문사회연구회 협동연구총서 07-17-05. 

  26. 주현정(1998). 고등학생의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7. 천미숙(2003). 청소년의 자아정체감과 학교생활적응 간의관계분석. 영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8. 초기훤(2010). 인터넷과 문화적응에 관한 연구. 동의대학교대학원 문학석사학위논문. 

  29. 최선휘(2010). 청소년의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요인. 호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0. 최진승, 박금옥, 박경옥(1997), 청소년의 사회적 능력과 학업성취에 관한 연구. 부산교육학연구, 10(2), 95-126. 

  31. 황정미, 김이선, 이명진, 최현, 이동주(2007). 한국사회의 다민족.다문화 지향성에 대한 조사연구. 서울: 한국여성정책연구원. 

  32. 홍세희, 박언하, 홍혜영(2006). 다층모형을 적용한 청소년의자아개념 변화추정: 변화에 있어서의 재인차에 대한 부모효과와 또래검증. 한국 청소년 연구, 17(2), 241-263. 

  33. Achenbach, T. M.(1991). Manual for the Youth Self - Report and 1991 profile. Burlington, VT: University of Vermont Department of Psychiatry. 

  34. Ford, M. E.(1982). Social cognition and social competence in adolescence. Developmental Psycology, 18, 323-340. 

  35. Gottman, J., Gonso, J., & Rasmussen, B.(1975). Social interaction, social competence, and friendship in children. Child Development, 46, 709-718. 

  36. Gresham, F. M.(1984). Social skills and self - efficacy for exceptional children ; A refocusing of the main streaming process. Exceptional children, 51, 253-261. 

  37. Hainmueller, J., & Hiscox, M. J.(2007). Educated Preferences: Explaining Attitudes toward Immigration in Europe. International Organization, 61(2), 399-449. 

  38. Petit, G. S., Dofge, K. A., & Brown, M. M.(1988). Early experience, social problem solving patterns and children's social competence, Child Development, 58, 324-340. 

  39. Phinney, J. S.(1998). Ethnic identity in adolescents and adults: Review of research. In P. B. Organista, K. M. Chun, & G. Marin (Eds.). New York: Routledge. 

  40. Sue, D., Mak, W. S., & Sue, D. W.(1998). Ethnic identity. In L. E. Lee & N. Zane (Eds.), Handbook of Asian American psychology. Thousand Oaks: Sage Publications. 

  41. Wentzel(1991). Relation between social competence and academic achievement in early adolescence. Psychological Review, 66, 297-33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