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제비꽃속(Viola) 식물에서 tryptophan과 tryptamine 공급이 멜라토닌 생성에 미치는 영향
Supply of Tryptophan and Tryptamine Influenced the Formation of Melatonin in Viola Plants 원문보기

생명과학회지 = Journal of life science, v.21 no.2 = no.130, 2011년, pp.328 - 333  

김여재 (단국대학교 분자생물학과 & 단국대학교 나노센서바이오텍연구소) ,  윤영하 (단국대학교 분자생물학과 & 단국대학교 나노센서바이오텍연구소) ,  박웅준 (단국대학교 분자생물학과 & 단국대학교 나노센서바이오텍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동물호르몬으로 알려진 멜라토닌(melatonin)은 동물뿐 아니라 고등 식물을 포함한 다양한 생명체에 존재한다. 식물에서는 쌍떡잎 식물외떡잎 식물에 멜라토닌이 널리 존재하며 일부 약용 식물에는 다량으로 함유되어 있지만 아직 그 생합성 과정과 생리학적 기능은 확립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reverse phase HPLC 분석을 통하여 이제까지 분석이 이루어지지 않았던 여러 제비꽃속(Viola) 식물들에 멜라토닌이 고르게 분포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그 다음 제비꽃속 식물들의 잎 절편을 배양하며 멜라토닌의 최초 전구체로 제안된 tryptophan (Trp)과 이의 탈카르복시화(decarboxylation) 중간산물인 tryptamine (TAM)을 공급하였다. 그 결과 Trp을 공급하면 멜라토닌 생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지만 TAM을 공급한 경우에는 멜라토닌의 함량이 증가하였다. TAM은 Trp에서 유래하므로 Trp-TAM 경로가 제비꽃속 식물에도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며, Trp 공급이 멜라토닌 함량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결과는 Trp을 TAM으로 전환하는 탈카르복시화 과정이 식물 멜라토닌 생합성 과정의 속도결정 단계일 것이라는 가설을 지지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elatonin has been known as an animal hormone. However, melatonin exists in diverse organisms including higher plants. The biosynthesis and physiological roles for melatonin in plants is still largely unknown, although both dicot and monocot plants have melatonin and some medicinal plants even cont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인돌 화합물 계열인 멜라토닌은 옥신[16], indole glucosinolate 및 camalexin[15] 등의 생합성 경로와도 중간 산물 들을 공유하므로 Trp로부터 합성되는 물질들은 일종의 metabolic network을 형성하며 서로 균형을 이루고 있을 가능성이 큰 것으로 사료된다. 본 논문은 metabolic network의 평형 문제는 다루지 않고 melatonin의 관점에서 다루었으나 멜라토닌 생성의 중간산물들이 auxin 등 다른 물질의 합성에도 사용될 수 있다는 점을 밝혀두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이미 멜라토닌의 존재가 알려진 제비꽃(Viola mandshurica) 외의 다른 Viola 식물들에 멜라토닌이 존재하는지 확인하고, 전구체인 Trp과 TAM을 공급하여 그 멜라토닌이 식물에서 작용할 것으로 제안된 tryptophan decarboxylase 경로를 통하여 생성되는지 시험하고자 하였다.
  • 시료로 사용한 식물은 잎의 형태 등을 근거로 제비꽃(Viola mandshurica)의 특징을 보이는 식물체를 채취하여 사용하였으나 근연종간의 자연적인 교배가 빈번하므로[14] 잡종일 가능성을 감안하여 Viola 식물로 통칭하였다. 비록 유전학적 배경은 사용된 시료간에 차이가 있을 수도 있지만 Fig. 2에서 확인한 바와 같이 Viola에서 멜라토닌은 광범위하게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므로 전구물질들을 공급하고 최종산물을 확인하고자 하는 본 실험의 목적에는 사용 가능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그에 따라 TAM을 공급하였을 때 Viola 식물의 잎에서 멜라토닌이 생성되는 것을 확인하였다(Fig.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멜라토닌은 무슨 기능을 담당하는가? 멜라토닌은 동물의 송과선(pineal gland)에서 분비되어 일주기 변화 중 밤 신호(night signal)에 의하여 생성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6], 이에 근거하여 불면증 치료에 사용 되고 있다[7]. 멜라토닌은 그 외에도 항산화 작용[20], 항암[22], 통증의 제어[1], 대사의 조절[13] 등 다양한 작용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척추동물에서 작용이 가장 널리 알려져 있기는 하지만, 멜라토닌은 송과선이 없는 무척추동물[26], 쌍편모류[18], 조류[8], 식물[5,25] 등 매우 다양한 생물군에서도 발견되므로 멜라토닌은 진화 초기부터 획득된 조절물질인 것으로 사료된다.
멜라토닌이 진화 초기부터 획득된 조절물질이라고 알 수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멜라토닌은 그 외에도 항산화 작용[20], 항암[22], 통증의 제어[1], 대사의 조절[13] 등 다양한 작용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척추동물에서 작용이 가장 널리 알려져 있기는 하지만, 멜라토닌은 송과선이 없는 무척추동물[26], 쌍편모류[18], 조류[8], 식물[5,25] 등 매우 다양한 생물군에서도 발견되므로 멜라토닌은 진화 초기부터 획득된 조절물질인 것으로 사료된다. 식물에서 멜라토닌의 기능은 일주기 조절, 항산화 작용 등[16,19]일 것으로 예상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식물에서 멜라토닌은 어떻게 합성되는가? 동물에서 멜라토닌은 L-tryptophan(Trp)에서 시작하여 5-hydroxytryptophan, serotonin, N-acetyl-5-hydroxytryptamine을 거쳐 합성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4]. 그러나 식물에서는 tryptophan decarboxylase(TDC)에 의하여 Trp이 TAM으로 전환되고 이것이 다시 hydroxylation 되면서 serotonin으로 전환되는 경로가 함께 작용하거나 오히려 더 우세할 것으로 제안되었다[11,21]. 그러나 아직 식물에서 멜라토닌 생합성 경로가 완전히 증명되지는 못하였으며 제안된 생합성 경로를 지지하는 몇 건의 보고만이 있었을 뿐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Ambriz-Tututi, M., H. I. Rocha-Gonzalez, S. L. Cruz, and V. Granados-Soto. 2009. Melatonin: A hormone that modulates pain. Life Sci. 84, 489-498. 

  2. Boutin, J. A., V. Audinot, G. Ferry, and P. Delagrange. 2005. Molecular tools to study melatonin pathways and actions. Trend. Phamacol. Sci. 26, 412-419. 

  3. Baldi, B. G., B. R. Maher, J. P. Slovin, and J. D. Cohen. 1991. Stable Isotope Labeling, in vivo, of D- and L-Tryptophan pools in Lemna gibba and the low incorporation of label into indole-3-acetic acid. Plant Physiol. 95, 1203-1208. 

  4. Chattoraj, A., T. Liu, L. S. Zhang, Z. Huang, and J. Borjigin. 2009. Melatonin formation in mammals: in vivo perspectives. Rev. Endocr. Metab. Disord. 10, 237-243. 

  5. Chen, G., Y. Huo, D. X. Tan, Z. Liang, W. Zhang, and Y. Zhang. 2003. Melatonin in Chinese medicinal herbs. Life Sci. 73, 19-26. 

  6. Claustrat, B., J. Brun, and G. Chazot. 2005. The basic physiology and pathophysiology of melatonin. Sleep Med. Rev. 9, 11-24. 

  7. Ferguson, S. A., S. M. Rajaratnam, and D. Dawson. 2010. Melatonin agonists and insomnia. Expert. Rev. Neurother. 10, 305-318. 

  8. Fuhrberg, B., I. Balzer, R. Hardeland, A. Werner, and K. Luning. 1996. The vertebrate pineal hormone melatonin is produced by the brown alga Pterygophora californica and mimics dark effects on growth rate in the light. Planta 200, 125-131. 

  9. Glawischnig, E., A. Tomas, W. Eisenreich, P. Spiteller, A. Bacher, and A. Gierl. 2000. Auxin biosynthesis in maize kernels. Plant Physiol. 123, 1109-1120. 

  10. Ireland, D. C., M. L. Colgrave, and D. J. Craik. 2006. A novel suite of cyclotides from Viola odorata: sequence variation and the implications for structure, function and stability. Biochem. J. 400, 1-12. 

  11. Kang, K., S. Kang, K. Lee, M. Park, and K. Back. 2008. Enzymatic features of serotonin biosynthetic enzymes and serotonin biosynthesis in plants. Plant Signal. Behave. 3, 389-390. 

  12. Kolar, J. and I. Machackova. 2005. Melatonin in higher plants. Occurrence and possible functions. J. Pineal Res. 39, 333-341. 

  13. Korkmaz, A., T. Topal, D. X. Tan, and R. J. Reiter. Role of melatonin in metabolic regulation. Rev. Endocr. Metab. Disord. 10, 261-270. 

  14. Lee, C. H. 1993. Viola native to Korea. J. Korean Flower Res. Soc. 2, 13-22. 

  15. Malitsky, S., E. Blum, H. Less, I. Venger, M. Elbaz, S. Morin, Y. Eshed, and A. Aharoni. 2008. The transcript and metabolite networks affected by the two clades of Arabidopsis glucosinolate biosynthesis regulators. Plant Physiol. 148, 2021-2049. 

  16. Murch, S. J. and P. K. Saxena. 2002. Melatonin: a potential regulator of plant growth and development? In Vitro Cell. Dev. Biol. Plant 38, 531-536. 

  17. Paredes, S. D., A. Korkmaz, L. C. Manchester, D. X. Tan, and R. J. Reiter. 2009. Phytomelatonin: a review. J. Exp. Bot. 60, 57-69. 

  18. Poeggler, B., I. Balzer, R. Haderland, and A. Lerchl. 1991. Pineal hormone melatonin oscillates also in the dinoflagellate Gonyaulax polyedra. Naturwissenschaften 78, 268-269. 

  19. Posmyk, M. M. and K. M. Janas. 2009. Melatonin in plants. Acta Physiol. Plant 31, 1-11. 

  20. Rodriguez, C., J. C. Mayo, R. M Sainz, I. Antolin, F. Herrera, V. Martin, and R. J. Reiter. 2004. Regulation of antioxidant enzymes: a significant role for melatonin. J. Pineal Res. 36, 1-9. 

  21. Schroeder, P., C. Abele, P. Gohr, U. Stuhlfauth-Roisch, and W. Gross. 1999. Latest on enzymology of serotonin biosynthesis in walnut seeds. Adv. Exp. Med. Biol. 467, 637-644. 

  22. Srinivasan V, D. W. Spence, S. R. Pandi-Perumal, I. Trakht, and D. P. Cardinali. 2008. Therapeutic actions of melatonin in cancer: possible mechanisms. Integr. Cancer Ther. 7, 189-203. 

  23. Tan, D. X., L. C Manchester, P. Di Mascio, G. R. Martinez, F. M. Prado, and R. J. Reiter. 2007. Novel rhythms of N1-acetyl-N2-formyl-5-methoxykynuramine and its precursor melatonin in water hyacinth: importance for phytoremediation. FASEB J. 21, 1724-1729. 

  24. Tomita, T., K. Hamase, H. Hayashi, H. Fukuda, J. Hirano, and K. Zaitsu. 2003. Determination of endogenous melatonin in the individual pineal glands of inbred mice using precolumn oxidation reversed-phase micro-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Anal. Biochem. 316, 154-161. 

  25. van Tassel, D. L., N. Roberts, A. Lewy, and S. D. O'Neill. 2001. Melatonin in plant organs. J. Pineal Res. 31, 8-15. 

  26. Vivien-Roles, B. and P. Pevet. 1993. Melatonin: presence and formation in invertebrates. Experimentia 49, 642-647. 

  27. Witkowska-Banaszczak, E, W. Bylka, I. Matlawska, O. Goslinska, and Z. Muszynski. 2005. Antimicrobial activity of Viola tricolor herb. Fitoterapia 76, 458-461. 

  28. Yoo, K. O. and J. H. Kim. 2006. Analysis of taxonomic relationships of Korean Viola based on trnL-trnF region sequences of chloroplast DNA. Flower Res. J. 14, 232-24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