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시판 흑양파추출액의 휘발성 향기성분
Comparison of Volatile Flavor Compounds in Commercial Black Onion Extracts 원문보기

생명과학회지 = Journal of life science, v.21 no.12 = no.140, 2011년, pp.1740 - 1745  

전선영 (창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정은정 (창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백정화 (창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차용준 (창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현재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흑양파추출액 3종류(창녕, 무안, 증평 지역산 제품)를 구입하여 관능적 요소 중 가장 중요한 휘발성 향기성분을 분석하여 제품의 품질에 대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시판 흑양파추출액의 휘발성 향기성분을 분석한 결과, 총 51종으로 카르보닐화합물류 15종, 함황화합물류 8종, 방향족화합물류 6종, 퓨란류 6종, 질소화합물류 3종, 알콜류 2종, 산류 2종 및 기타 10종이 검출되었다. 카르보닐화합물 중 2-methylbutanal, 3-methylbutanal, nonanal 및 benzaldehyde가 모든 시료에서 검출되었다. 함황화합물류에서는 dimethyl disulfide와 dimethyl trisulfide가 가장 높은 함량으로 검출되었으며 흑양파추출액의 주요 향기성분에 관여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항산화성을 가지는 thiophene 유도체와 항암효과를 지닌 methylpropyl disulfide, methyl-(Z)-propenyl disulfide 및 methyl-(E)-propenyl disulfide 등은 2 제품(A, B)에서만 검출되었다. 비효소적갈변유도물질인 furfural이 모든 시료에서 높은 함량으로 나타났으며 pyrazine류 및 acetic acid 도 많은 함량으로 검출되어 이들 향기성분들이 시판 흑양파추출액의 휘발성 성분에 특징적인 냄새성분으로 기여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Volatile flavor compounds of 3 commercial products of black onion extract (produced in Changnyeong, Muan and Jeungpyeong) purchased in the online/offline markets were analyzed. A total of 51 compounds were detected in samples by solid phase microextraction (SPME)/GC/MSD, consisting mainly of carbony...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현재 소비자 선호도가 높은 흑양파에 대한 연구는 흑양파의 제조 및 물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23], 생양파와 흑양파의 퀘세틴 배당체 분석[5]에 대한 연구만 보고되고 있으며, 직접적으로 소비자에게 판매되는 흑양파 가공제품의 품질평가에 대한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라, 발효과정을 거치지 않는 가짜 흑양파에 대한 소비자 피해가 우려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현재 시판되고 있는 흑양파 가공제품인 흑양파추출물를 구입하여 관능적 요소 중 가장 중요한 휘발성 향기성분을 분석하여 제품의 품질지표의 기초자료로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흑양파추출액 3종류(창녕, 무안, 증평 지역산 제품)의 휘발성 향기 성분 분석 결과 각각 몇 종의 화합물이 검출 됬는가? 현재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흑양파추출액 3종류(창녕, 무안, 증평 지역산 제품)를 구입하여 관능적 요소 중 가장 중요한 휘발성 향기성분을 분석하여 제품의 품질에 대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시판 흑양파추출액의 휘발성 향기성분을 분석한 결과, 총 51종으로 카르보닐화합물류 15종, 함황화합물류 8종, 방향족화합물류 6종, 퓨란류 6종, 질소화합물류 3종, 알콜류 2종, 산류 2종 및 기타 10종이 검출되었다. 카르보닐화합물 중 2-methylbutanal, 3-methylbutanal, nonanal 및 benzaldehyde가 모든 시료에서 검출되었다.
Allium 종의 향기성분의 약리적 효능은? 특히 양파의 함황화합물은 alliinase에 의해 양파의 alliin과 함황 아미노산인 S-alk(en)yl-L-cysteine sulfoxide가 가수분해되면서 피루브산, 암모니아 및 휘발성 함황화합물이 생성된다고 알려져 있다[15]. 이렇게 생성된 Allium 종의 향기 성분은 항산화, 항암, 항혈전 및 항생작용 등의 약리적인 효능을 가지며 그 중 allyl기를 가진 함황화합물인 경우, 암 예방에 있어 효과적인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8,19,23].
흑양파 생성 방법과 기존 양파와 차이점은? 이러한 갈변반응을 이용해서 만들어진 흑양파 또한 고온에서 일정기간 숙성시켜 갈변반응으로 진한 흑갈색으로 변한 것으로 양파의 자극적인 풍미와 매운 맛이 감소되는 반면, 단맛과 신맛이 조화를 이룬 양파의 가공품[20]으로 흑양파 추출액, 잼, 젤리 등의 다양한 가공 제품으로 활성화되고 있다. 현재 소비자 선호도가 높은 흑양파에 대한 연구는 흑양파의 제조 및 물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23], 생양파와 흑양파의 퀘세틴 배당체 분석[5]에 대한 연구만 보고되고 있으며, 직접적으로 소비자에게 판매되는 흑양파 가공제품의 품질평가에 대한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라, 발효과정을 거치지 않는 가짜 흑양파에 대한 소비자 피해가 우려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AOAC. 1995.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6th eds. pp, 69-74,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2. Auqusti, K. T. 1996. Therapeutic values onions (Allium cepa L.) and garilc (Allium sativum L.). Indian J. Exp. Biol. 34, 634-640. 

  3. Cha, Y. J., H. Kim, S. Y. Park, S. J. Kim, and Y. J. Yoo. 2000. Identification of irradiation-induced volatile flavor compounds in beef. J. Korean Soc. Food Sci. Nutr. 29, 1050-1056. 

  4. Choi, D. J., S. J. Lee, M. J. Kang, H. S. Cho, N. J. Sung, and J. H. Shin. 2008.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black garlic (Allium sativum L.).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465-471 

  5. Chung, D. M., S. H. Kwon, Y. C. Chung, and H. K. Chun. 2011. Quercetin glucoside profiling of fresh onion (Allium cepa) and aged black onion using HPLC-ESI/MS/MS. J. Life Sci. 21, 464-467. 

  6. Eiserich, J. P. and T. Shibamoto. 1994. Sulfur-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antioxidative activity formed in maillard reaction model systems. pp. 247-257, In Mussinan. C. J. and M. E. Keelan (eds.), Sulfur compounds in foods. ACS symposium series 564, American Chemical Society, Washington, DC. 

  7. Espinosa-Mansilla, A., F. Salinas, and J. J. Berzas-Nevado. 1992. Differential determination of furfural and hydroxymethylfurfural by derivative spectrophotometry. J. AOAC. Int. 75, 678-684. 

  8. Jang, H. W., M. H. Ka, and K. G. Lee. 2008. Antioxidant activity and characterization of volatile extracts of Capsicum annuum L. and Allium spp. Flavour Fragr. J 23, 178-184. 

  9. Jeong, C. H., J. H. Kim, and K. H. Shim. 2006. Chemical components of yellow and red on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 708-712. 

  10. Jeong, Y. J., E. J. Jeong, S. Y. Jeon, and Y. J. Cha. 2010. Changes of volatile compounds in concentrated onion extracts ( $ONIWELL^{TM}$ ) during storage. J. Life Sci. 20, 113-118. 

  11. Kim, S. N. 2008. Study on ginsenoside pattems on the steam processing of korean ginseng and hypoglycomic action on streptozotocin induced diabetic rats 9 time-steamings ginsengs. Ph. D. Thesis, Joongbu University, Chung nam, Korea. 

  12. Lee, H. Y., E. J. Jeong, S. Y. Jeon, M. S. Cho, W. J. Cho, H. D. Kim, and Y. J. Cha. 2008. Comparison of volatile flavor compounds of domestic onions harvested in various region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1609-1614. 

  13. Lee, H. Y., E. J. Jeong, S. Y. Jeon, and Y. J. Cha. 2008. Comparison of volatile compounds of domestic onions (Allium cepa) during storage. J. Life Sci. 18, 1712-1717. 

  14. Lee, Y. J. 1997. Changes of processing in food flavor. Food Science and Industry 30, 10-25. 

  15. Mochizuki, E., T. Yamamoto, S. Suzuki, and H. Nakazawa. 1996. Electrophoretic identification of garlic and garlic products. J. AOAC Int. 79, 1466-1470. 

  16. Mussinan, C. Y and M. E. Keelan. 1994. Sulfur compounds in foods; an overview. pp. 1-6, In Mussinan C. J and M. E. Keelan (eds.), Sulfur compounds in foods. ACS symposium series 564, American Chemical Society, Washington, DC. 

  17. Park, E. R., C. N. Ko, S. H. Kim, and K. S. Kim. 2001. Analylsis of volatile organic components from fresh and decayed onion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0, 1011-1020. 

  18. Park, Y. K. 1995. Source and processing technology of vegetable juice and the trend of study. Bullein of Food Techonology 8, 59-68. 

  19. Rose, P. M. Whiteman, P. K. Moore, and Y. Z. Zhu. 2005. Bioactive S-alk(en)yl cysteine sulfoxide metabolites in the genus Allium: the chemistry of potential therapeutic agents. Nat. Prod. Rep. 22, 351-368. 

  20. Shin, J. H., D. J. Choi, S. J. Lee, J. Y. Cha, J. G. Kim, and N. J. Sung. 2008. Changes of physicochemical component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garlic during its processing. J. Life Sci. 18, 1123-1131. 

  21. Shin, J. H., H. J. Lee, M. J. Kang, S. J. Lee, and N. J. Sung. 2010. Antioxidant activity of solvent fraction from black garlic.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933-940. 

  22. Song, H. P., S. L. Shim, I. S. Jung, D. H. Kim, and K. S. Kim. 2009. Analysis of volatile organosulfur compounds in Korean Allium species. Korean J. Food Preserv 16, 929-937. 

  23. Sprnins, V. L., G. Barany, and L. W. Wattenberg. 1988. Effects of organosulfur compounds from garlic and onions on benzo[α]pyrene-induced neoplasia and gluthathione S-transferase activity tn the mouse. Carcinogenesis 9, 131-134. 

  24. Yang, Y. R. and Y. K. Park. 2011. Black onions manufactured cia the browning reaction and antioxidant effects of their water extracts. Korean J. Food Preserv 18, 310-318. 

  25. You, B. R., H. R. Kim, M. J. Kim, and M. R. Kim. 2011. Comparison of the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the commercial black garlic and lab-prepared fermented and aged black garlic.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 366-37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