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흑양파로부터 항산화 활성 물질인 3,4-Dihydroxybenzoic acid의 분리 및 동정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Antioxidative Compounds 3,4-Dihydroxybenzoic acid from Black Onion 원문보기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preservation, v.19 no.2, 2012년, pp.229 - 234  

양아여 (목포대학교 식품공학과 및 식품산업지역혁신센터) ,  조정용 (목포대학교 식품공학과 및 천일염생명과학연구소) ,  박양균 (목포대학교 식품공학과 및 식품산업지역혁신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양파의 매운 맛과 냄새를 감소시켜 섭취가 용이하도록 제조된 흑양파가 항산화 활성이 있다고 보고되어있어서 흑양파로부터 항산화 활성물질을 구명하고자 하였다. 흑양파 MeOH 추출물을 용매분획하여 얻어진 분획물들 중 EtOAc층이 높은 DPPH와 $ABTS^+$ radical scavenging 활성이 있었다. 그래서 EtOAc층을 silica gel과 Sephadex LH-20 등의 column chromatography를 이용하여 2종의 항산화 활성물질을 분리하였다. 단리한 이들 화합물을 대상으로 ESI-MS 및 NMR 분석을 통하여 3,4-dihydroxybenzoic acid (1)와 quercetin (2)로 각각 동정하였다. 이 화합물들은 $ABTS^+$ 및 DPPH radical scavenging 활성이 있었으며, 화합물 2는 화합물 1에 비해 더 높은 radical scavenging 활성이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ntioxidant substance in black onion was identified. The assays that used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and 2,2'-azino-bis(3-ethylbenzthiazo line-6-sulphonic acid) ($ABTS^+$) radicals showed that the ethyl acetate fraction of black onion methanol extract had a higher level of 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흑양파는 섭취의 용이성과 더불어 가열 가공 중에 생성되는 갈변물질에 의해 다양한 생리활성을 가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아직까지 흑양파의 갈변물질에 대한 구체적인 확인이나 특성에 대한 연구는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흑양파로부터 항산화 활성물질을 분리하고 구조 해석하였으며 분리된 이 화합물들의 항산화 활성을 조사하였다.
  • 양파의 매운 맛과 냄새를 감소시켜 섭취가 용이하도록 제조된 흑양파가 항산화 활성이 있다고 보고되어있어서 흑양파로부터 항산화 활성물질을 구명하고자 하였다. 흑양파 MeOH 추출물을 용매분획하여 얻어진 분획물들 중 EtOAc층이 높은 DPPH와 ABTS+ radical scavenging 활성이 있었다.

가설 설정

  • 1)SC50 value is the concentration of compound required for 50% radical scavenging.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양파에 다량 함유된 성분은? )는 백합과의 파속 식물이며, 내한성 식물체로 다양한 기후조건에서 생육할 수 있어 거의 전세계에서 재배되며, 마늘과 함께 한국의 대표적인 향신채소로 사용되어 왔다(1). 양파에는 diallyl disulfide, allyl propyl disulfide와 같은 함황화합물과 quercetin, rutin, kaempferol 등의 flavonoid계 화합물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서 항산화, 항암, 항고혈압, 항동맥경화 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2,3).
양파 가공품 중 흑양파는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양파의 자극적인 풍미를 줄이기 위해서 양파를 고온에 저장하면서 적절한 습도를 유지할 경우 갈변반응으로 인하여 색이 갈색으로 변하고 단맛이 증가하며 향과 씹힘성이 변화된 흑양파가 만들어 진다(4). 흑양파는 생양파의 강한 냄새와 매운 맛이 감소되고, 양파 성분의 변화에 따른 감미와 산미가 조화를 이루어 섭취가 용이하게 된 대표적인 양파 가공품이다(5).
양파의 효능은? )는 백합과의 파속 식물이며, 내한성 식물체로 다양한 기후조건에서 생육할 수 있어 거의 전세계에서 재배되며, 마늘과 함께 한국의 대표적인 향신채소로 사용되어 왔다(1). 양파에는 diallyl disulfide, allyl propyl disulfide와 같은 함황화합물과 quercetin, rutin, kaempferol 등의 flavonoid계 화합물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서 항산화, 항암, 항고혈압, 항동맥경화 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2,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Kim JK, Seo Y, Noh SK, Cha YJ (2010) A concentrated onion extract lowers serum lipid levels in rats fed a high-fat diet. Korean J Food Preserv, 17, 398-404 

  2. Kim SJ, Kim GH (2006) Quantification of quercetin indifferent parts of onion and its DPPH radical scavenging and antibacterial activity. Food Sci Biotechnol, 15, 39-43 

  3. Xiao H, Parkin KL (2007)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potential cancer chemopreventive agents from methanolic extracts of green onion (Allium cepa). Phytochemistry, 68, 1059-1067 

  4. Yang YR, Park YK (2011) Black onions manufactured via the browning reaction and antioxidant effects of their water extracts. Korean J Food Preserv, 18, 310-318 

  5. Yang YR, Park YK (2011) Comparison of antioxidant activities of black onion extracts. Korean J Food Preserv, 18, 954-960 

  6. Yamaguchi N, Koyama Y (1967) Studies on the browning reaction products yields by reducing sugars and amino acid. Japan J Food Sci Technol, 14, 110-113 

  7. Lee JW, Do JH (2006) Current studies on browning reaction products and acidic polysaccharide in korean red ginseng. J Ginseng Res, 1, 41-48 

  8. Lee SJ, Shin JH, Kang MJ, Jung WJ, Ryu JH, Kim RJ, Sung NJ (2010) Antioxidants activity of aged red garlic. J Life Sci, 20, 775-781 

  9. Lee JW, Park CK, Do JH (2005) Antioxidative activity of the water soluble browning reaction products from korean red ginseng. J Ginseng Res, 1, 44-48 

  10. Shin JH, Kang MJ, Kim RJ, Ryu JH, Kim MJ, Lee SJ, Sung NJ (2011) Biological activity of browning compounds from processed garlics separated by dialysis membrane.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 357-365 

  11. Chung DM, Kwon SH, Chung YC, Chun HK (2011) Quercetin glucoside profiling of fresh onion (Allium cepa) and aged black onion using HPLC-ESI/MS/MS. J Life Sci, 3, 464-467 

  12. Gutfinger T (1981) Polyphenols in olive oils. J Am Oil Chem Soc, 58, 966-968 

  13. Moreno MIN, Isla MI, Sampietro AR, Vattuone MA (2000) Comparison of the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propolis from several region of Argentina. J Ethnopharmacol, 71, 109-114 

  14. Choi Y, Kim MH, Shin JJ, Park JM, Lee J (2003)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the some commercial tea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 723-727 

  15. Dewanto V, Xianzhong W, Liu RH (2002) Processed sweet corn has higher antioxidant activity. J Agric Food Chem, 50, 4959-4964 

  16. Mukhtar H, Ahmad N (2000) Tea polyphenol: prevention of cancer and optimizing health. Am J Clin Nutr, 71, 1698-170 

  17. Lee J, Ahn MS, Hong KH (1998) A study on the content of general compounds, amino acid, vitamins, catechins, alkaloids in green, oolong and black tea. J Food Hyg Safety, 13, 377-382 

  18. Wee JH, Park KH (2001) Isolation of 4-hydroxycinnamic acid, 3-methoxy-4-hydroxycinnamic acid, and 3,4- dihydroxybenzoic acid with antioxidative and antimicrobial activity from peanut (Arachis hypogaea) shell. Food Sci Biotechnol, 10, 551-556 

  19. Nazaru KJ (2006) Flavonoid aglycones and phytosterols from the Erigeron acris L herb. Acta Polaniae Pharmaceutica, 63, 317-319 

  20. Rhodes MJ, Price KR (1996) Analytical problems in the study of flavonoid compounds in onions. Food Chem, 57, 113-117 

  21. Sellappan S, Akoh CC (2002) Flavonoids and antioxidant capacity of Georgia-grown Vidalia onions. J Agric Food Chem, 50, 5338-5342 

  22. Hwang IG, Kim HY, Lee SH, Hwang CR, Oh SH, Woo HS, Kim DJ, Lee JS, Jeong HS (2011)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an antioxidant substance from heated onion (Allium cepa L). J Korean Soc Food Sci Nutr, 40, 470-474 

  23. Mun SP, Ku CS (2006) Characterization of low molecular weight polyphenols from pine (Pinus radiata) bark. Food Sci Biotechnol, 15, 424-430 

  24. Kim SJ, Lee HJ, Park KH, Rhee CO, Lim IJ, Chung JH, Moon JH (2008)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low molecular phenolic antioxidants from ethylacetate layer of Korean black raspberry (Rubus coreanus Miquel) wine. Korean J Food Sci Technol, 40, 129-134 

  25. Lee HH, Cho JY, Moon JH, Park KH (2011)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antioxidative phenolic acids and flavonoid glycosides from Camellia japonica flowers. Hort Environ Biotechnol, 52, 270-277 

  26. Takahama U, Hirota S (2000) Deglucosidation of quercetin glucosides to the aglycone and formation of antifungal agents by peroxidase-dependent oxidation of quercetin on browning of onion scales. Plant Cell Physiol, 41, 1021-102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