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중력이상값은 지구물리, 측지 및 국방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는 기초 지구물리 자료로서, 특정 위치에서의 중력이상값을 필요로 하는 경우 일반적으로 데이터베이스화 되어 있는 중력이상값으로부터 내삽하여 활용한다. 그러나 중력은 지형 및 지하광물 등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할 수 있는 물리량으로, 내삽에서 가정한 선형성, 2차 곡선 등의 성질이 만족되지 않으면 그 결과로 계산된 중력이상값은 실제 중력값과 큰 차이를 나타내게 된다. 또한, 내삽을 통하여 계산되는 결과값은 이론적으로 조화함수를 만족하여야 한다는 중력의 물리적 성질을 반영하지 못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필요에 따라 유연하게 중력이상값을 계산할 수 있도록 중력 모델링을 수행하였다. 모델링은 평면푸리에 시리즈와 point-mass 함수를 기저함수로 하는 두 방법을 기반으로 수행되었고, 구축된 모델은 내삽으로부터 산출된 결과와 비교하여 특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모델링의 결과와 내삽 방법을 중력참조항법에 적용하여 활용적인 측면을 검토하였다. 연구결과, 기복이 완만한 지역에서는 평면푸리에 시리즈와 point-mass 및 내삽으로부터 계산된 중력이상값이 유사하게 나타났으나, 중력의 기복이 큰 지역에서는 모델 및 내삽에 의한 결과가 큰 차이를 나타내었다. 특히 주변의 네 점을 이용하여 선형으로 계산하는 Bilinear 내삽함수를 이용한 경우가 가장 완만한 중력값을 보이는 반면 point-mass 함수로부터 산출된 결과가 고주파에서 가장 큰 값을 나타내었다. 또한, 모델링 및 내삽에 필요한 자료의 로딩 및 계산 시간을 비교한 결과, 중력참조항법의 경우 중력값의 계산은 모델링을 수행하는 경우가 데이터베이스에 기반을 둔 내삽보다 효율적임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중력모델링의 결과 및 특성을 분석하였으며, 향후 모델링은 중력참조항법과 같은 활용분야에 있어 가장 효율적인 신호의 특성과 해상도를 지닌 중력 자료를 제공할 수 있는 기술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gravity anomaly is a basic geophysical data applied in various fields such as geophysics, geodesy and national defense. In general, the gravity anomaly is used through a interpolation process based on the constructed database. The gravity variation, however, is appeared in various shapes depend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정확도 측면은 모델링이 적절히 수행되었는지 판단하기 위하여 모델링의 입력자료 각 측점에서의 값을 기준으로 비교하였으며, 응용적 측면에서는 중력참조 항법의 경우를 예로 하여 모델과 내삽에서 산출된 중력신호의 특성이 어떻게 표현되는지를 비교하였다. 본 연구는 보다 정확하고 효율적인 중력모델링에 대한 기초 연구로, 향후 활용분야에 따라 선택적으로 모델을 제시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중력 자료를 이용하여 모델링을 수행한 최초의 경우로 활용분야에 따라 중력값의 변동 범위 및 해상도를 조절하여 적용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였다. 중력참조항법과 같은 경우 항체의 속도와 측정 시간의 간격에 따라 항체에서 측정되는 중력값은 특정주파수 대역을 가지게 되므로 사전에 중력 모델값을 탑재할 때도 상응하는 모델을 탑재하여야 적절한 위치 결정이 가능하다.
  • 지구물리 기반의 항법은 데이터베이스 또는 지구물리 자료의 모델로부터 추정한 값과 항체에서 측정한 물리값을 비교하여 항체의 현재 위치를 결정하는 기법으로 여기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이 바로 자료의 모델링 부분이다. 즉, 자료의 정확도와 해상도 그리고 계산의 효율성이 핵심적인 부분으로 모델링 결과의 적용가능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이에 대한 기초 분석을 수행하였다. 그림 2는 중력참조항법에의 적용 가능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항체가 비행한다고 가정한 프로파일이다.

가설 설정

  • 본 연구에서는 각각의 연구지역을 항체가 서남쪽에서 북동쪽으로 대각 비행한다고 가정하였으며, 프로파일의 측점 간격은 30“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평면푸리에 시리즈를 사용하는 방법에 비하여 방사기 저함수를 이용하는 경우의 장단점은 무엇인가? 평면푸리에 시리즈를 사용하는 방법에 비하여 방사기 저함수를 이용하는 경우는 고주파 성분의 표현, 중력 자료에 따른 모델의 갱신 등이 효율적인 장점이 있으나 질점의 수, 배치와 깊이에 따라 민감하게 나타나는 단점이 있다.
구면조화함수의 대표적인 예로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중력 모델링에 있어 가장 많이 사용되는 기저 함수는구면조화함수(spherical harmonic functions)로 이는 중력포텐셜의 2차 미분치가 라플라스 방정식을 만족하여야 한다는 물리적 특성에서 유도된 모델이다. 대표적으로 전지구의 중력값을 조화함수로 모델링한 EGM08 및 EIGEN 등의 전지구중력장 모델을 예로 들 수 있다 (Foerste 등, 2008; Pavlis, 2008). 전지구 중력장 모델은 위성, 지상, 선상, 항공등 전 세계에서 가용한 중력자료를 모두 포함하여 구축하기 때문에 모델의 해상도인 차수 (degree)가 한정되게 되며, 우리나라와 같이 중력이상값이 거의 포함되지 않은 지역의 경우는 산출되는 중력이상값을 신뢰할 수 없어 활용도가 저하될 수 있다.
중력 모델링에 있어 가장 많이 사용되는 기저 함수인 구면조화함수란 무엇인가? 중력 모델링에 있어 가장 많이 사용되는 기저 함수는구면조화함수(spherical harmonic functions)로 이는 중력포텐셜의 2차 미분치가 라플라스 방정식을 만족하여야 한다는 물리적 특성에서 유도된 모델이다. 대표적으로 전지구의 중력값을 조화함수로 모델링한 EGM08 및 EIGEN 등의 전지구중력장 모델을 예로 들 수 있다 (Foerste 등, 2008; Pavlis, 200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민경덕, 서정희, 권병두 (2002), 응용지구물리학, 우성문화사. 

  2. 이엔지정보기술(주) (2006), 지오이드모델 시스템 개발사업 용역결과보고서, 국토지리정보원. 

  3. 이지선, 이보미, 권재현, 이용욱 (2008), 우리나라 지상중력자료의 일관된 전처리를 통한 프리에어이상값,한국측량학회지, 한국측량학회, 제 26권, 4호, pp.379-386. 

  4. 이지선, 권재현, 금영민, 문지영 (2011), 최신 중력 자료의 획득을 통한 우리나라 지오이드 모델 업데이트,한국측량학회지, 한국측량학회, 제 29권, 1호, pp. 81-89. 

  5. Foerste, C., Schmidt, R., Stubenvoll, R., Flechtner, F., Meyer, U., Konig, R., Neumayer, H., Biancale, R., Lemoine, J.-M., Bruinsma, S., Loyer, S., Barthelmes, F., and Esselborn, S. (2008), The GeoForschungsZentrum Potsdam/Groupe de Recherche de Geodesie Spatiale satellite-only and combined gravity field models: EIGEN-GL04S1 and EIGENGL04C, Journal of Geodesy, Vol. 82, No. 6, pp. 331-346. 

  6. Goldenberg, F., (2006), Geomagnetic Navigation beyond the Magnetic Compass, PLANS 2006, pp. 684-694. 

  7. Heiskanen, W.A, Moritz, H. (1867), Physical Geodesy, W.H. Freemand and Co., San Fransisco. 

  8. Jekeli, C., Yang, H. J., Kwon, J. H., (2009), Using gravity and topography-implied anomalies to assess data requirements for precise geoid computation, Journal of Geodesy, Vol. 83, pp. 1193-1202. 

  9. Pavlis, N. K., (2008), Development, Evaluation, and Use of Global Earth Gravitational Models(EGM), IGeS 2008 Int'l Geoid School : The Determination and Use of the Geoid. 

  10. Phillips, J. B., (1996), Magnetic Navigation, Journal of Theoretical Bilology, Vol. 180, pp. 309-319. 

  11. Rice, H., Kelmenson, S., Mendelsohn, L., (2004), Geophysical Navigation Technologies Aand Applications, Position Location and Navigation Symposium, pp. 618-624. 

  12. Wittwer, T., (2009), Regional gravity field modelling with radial basis functions, NCG Netherlands Geodetic Commission, Publication on Geodesy 72. 

  13. XU, D., Wang, Y., Wang, H., DAI, Q., CAI, X., (2009), Statistical analysis of regional gravity anomaly aided navigation and positioning, Journal of Chinese Inertial Technology.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