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우울군과 정상군 성인의 식습관 및 식태도의 비교 : 국민건강 영양조사 제 4기 2차년도(2008) 자료 중심
A Comparative Study on Eating Habits and Eating Attitude of Depressed and Normal Adults : Based on 2008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원문보기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v.16 no.5, 2011년, pp.548 - 558  

이지원 (충남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 ,  김성애 (충남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eating habits and food attitudes between depressed and normal adults. The subjects were selected (n = 6217) from those who participated in the 2008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IV).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the depre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제 4기 2차년도(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08)의 자료를 이용하여 한국 성인들을 대상으로 우울증상의 유무에 따른 식습관 및 식태도에 대한 비교를 하고자 하며, 우울군의 올바른 식생활 및 식태도의 개선에 도움을 주는 자료를 제공 하고자 하는 바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울증상이란? 우울증상이란 슬픔이나 절망과 같은 감정을 느끼는 현상으로서, 정상범위 내에서도 발생할 수 있으며 생각이나 신체 활동을 변화시켜 음식장애 및 수면장애도 동반한다고 알려져 있다(Lee 1997). 우울증상은 부정적 사고를 습관화 시키고 에너지나 욕구 및 흥미를 상실시키고 결국 전반적인 삶의 질을 저하시킨다(Cho 등 1997).
본 연구의 대상자들을 체질량지수에 따라 측정한 결과 우울군은 과체중이 몇 퍼센트를 차지했는가? 평균 BMI는 우울군이 높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적이지 못했다. 대상자들의 비만 정도를 BMI에 따라 저체중, 정상, 과체중으로 나누어 측정한 결과, 우울군은 과체중이 31.3%로 정상군의 25.8%에 비해 유의하게 많았다.
우울증상은 어떤 문제현상의 가장 강력한 원인으로 보고되는가? 4만 명 정도 지속적으로 증가되었으며 한국인의 사망원인통계연보에 의하면 자살에 의한 사망이 암, 뇌혈관 질환, 심장 질환에 이어 4위로 전체 사망의 26%를 차지하고 있다. 우울증상은 자살의 가장 강력한 원인이자 자살시도의 시발점으로 보고되고 있어(Dubow 등 1989; Shaffer 등 2001), 사망률을 높이는 원인으로 우울증상의 심각성을 경시해서는 안 된다. 또한 우울증의 진단은 임상적인 증상에 의한 것이 아니기 때문에, 증상의 심각성을 평가하는데 한계가 있으며 대부분의 한국인들은 우울증상을 자각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Lee & Suh 200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Andrew PS (1998): Breakfast and mental health. Int J Food Sci & Nutr 49(5): 397-402 

  2. An YM (1989): A study on the comparison of nutrient intakes and the mental health of girl students between day and evening session of commercial high school and academic high school in Masan. MS thesis, Kyung nam University, pp. 37-38 

  3. Cheon SH (2007): A study on eating behavior, depression, anger, anger expression and BAS/BIS in adolescent woman. Korean J Woman Health Nurs 13(4): 310-319 

  4. Cho SS, Jung SH, Choi S, Sung NJ, Park KH (1997):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ve tendency somatic symptoms and drug use in housewives. J Korean Acad Med 18(5): 490-500 

  5. Chung HK, Kim MH, Woo NRY (2007): The effect of life stress on eating habit of university students in Chungcheongnam-do province. Korean J Food Culture 22(2): 176-184 

  6. Devaud C (1997): Eating disorders among female adolescents in Switzerland : prevalence and associations with mental and behavioral disorders. Int J Eat Disord 24(2): 207-216 

  7. Dubow EF, Kauch DF, Blum MC, Reed J, Bush E (1989): Correlates of suicidal ideation and attempts in a community sample of junior and high school students. J Clin Child Psychol 18(2): 158-166 

  8. Fava M, Rappe SM, West J, Herzog DB (1995): Anger attacks in eating disorders. Psychiatry Res 56(3): 205-212 

  9. Han MH, Kim KJ (2008): Consumption value and eating out behavior of male and female undergraduate students. Consumer Policy & Educ Rev 4(3): 105-118 

  10. Hong SM, Choi SY (1996): A study on meal management and nutrient intake of the elderly. J Korean Soc Food Sci Nutr 25(6): 1055-1061 

  11. Kang HC (2000): Binge eating in obesity. Korean J Obes 9(3): 45-54 

  12. Kim JH, Lee MJ, Moon SJ, Shin SC, Kim MK (1993): Ecological analysis of food behavior and life : styles affecting the prevalence of depression in Korea. Korean J Nutr 25(9): 1129-1137 

  13. Kimmel PL, Weihs K, Peterson RA (1993): Survival in hemodialysis patients: the role of depression. J Am Soc Nephrol 4(1): 12-27 

  14. Lee BY (1997): Psychiatry dictionary. Ilchokak, Seoul, p. 305 

  15. Lee EY, Cho MS (2008): Effects of mood on the food preference of female university students. Korean J Food Culture 23(6): 713-719 

  16. Lee SH, Suh JH (2009): Korean public's ability to recognize depressive symptoms and beliefs on helpfulness of various methods. Mental Health & Soc Work 32: 41-77 

  17. Linde K, Ramirez G, Mulrow CD, Pauls A, Weidenhammer W, Melchart D (1996): St John's wort for depression-an overview and meta-analysus of randomised clinical trials. BMJ 313: 253-258 

  18.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08):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Revision of Dietary Guidelines for Koreans 

  19.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08): 2008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 

  20. Macht M, Mueller J (2007): Immediate effects of chocolate on experimentally induced mood states. Appetite 49(3): 667-674 

  21. Park JE, Kim SJ, Choue RW (2009): Study on stress, depression, binge eating, and food behavior of high school girls based on their BMI. Korean J Community Nutr 14(2): 175-181 

  22. Peveler R, Carson A, Rodin G (2002): ABC of psychological medicine : Depression in medical patients. BMJ 325: 149-152 

  23. Shaffer D, Pfeffer CR, Bernet W, Arnold V, Beitchman J, Benson RS, Bukstein O, Kinlan J, McClellan J, Rue D, Shaw J, Kroeger K (2001): Practice parameter for the assessment and treatment of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suicidal behavior. J Am Acad Child Adolesc Psychiatr 40(7): 24-51 

  24. Son SM, Park JK, Lee HS (2003): Depression and dietary factors related to hyperlipidemia in urban living elderly female from low income group. Korean J Community Nutr 8(6): 938-950 

  25. Suh KY (1968): The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complaints of depression in Korea. Woo Sok University Med J 5(1): 491-501 

  26. Sung SJ, Kwon SJ (2010): Effect of eating with family or alone on the self-rated mental or physical health : the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 Daejeon area. Korean J Community Nutr 15(2): 206-226 

  27. Torres SJ, Mccabe M, Nowson CA (2010): Depression, nutritional risk and eating behaviour in older caregives. J Nutr Health & Aging 14(6): 442-44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