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민건강영양조사 제 5기(2010-2012)를 활용한 한국의 19세 이상 성인의 식습관에 따른 정신건강상태
Eating habits in accordance with the Mental Health status : The 5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0-2012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7 no.10, 2016년, pp.168 - 181  

박효은 (수원여자대학교 간호학과) ,  배연희 (수원여자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한국 성인의 식습관과 정신건강과의 관련성을 규명함으로써 올바른 식습관 형성의 중요성을 알리고 한국인의 정신건강증진을 위해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자는 국민건강영양조사 5기(2010-2012)에 참여한 19세 이상 성인 15,848명(남자 6,348명, 여자 9,50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분석에서 일반적은 특성은 기술분석을 활용하였으며, 식사와 정신건강과의 관련성은 카이제곱검정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과 선형경향성을 사용하여 식습관과 정신건강과의 관련성을 파악하였다. 연구결과, 남성은 식사횟수가 증가할수록 스트레스와 자살생각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그리고 여성은 식사횟수가 증가할수록 스트레스, 우울, 자살생각이 모두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특히, 여성은 1식에 비해 2식을 할 경우 스트레스가 0.667배 감소하였다. 그리고 1식에 비해 3식을 할 경우 스트레스는 0.522배, 우울 0.605배, 자살생각 0.508배 감소함을 규명하여 식사횟수가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규칙적인 식습관이 정신건강에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올바른 식습관과 그로 인한 균형 잡힌 영양소 섭취가 정신건강에 중요함을 알리는 교육과 사회적 관심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eating habits and patterns in accordance with the mental health status in Korea. Data from the fifth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in 2010-2012 by the CDCP were used to target 19-year-olds. A total of 15,484 subjects (6,348 men 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19세 이상 성인의 식사의 규칙성에 따른 정신건강수준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2010년, 2011년, 2012년에 시행된 제 5기 1차, 2차, 3차 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 데이터를 분석하여 우리나라 19세 이상 성인을 대상으로 식습관을 조사하고 식습관에 따른 스트레스, 우울, 자살생각과의 관계를 파악하여 성인의 건강하고 올바른 식생활 형성과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표본으로 연구대상자를 선정하여 우리나라 19세 이상 성인의 식습관과 스트레스, 우울, 자살생각과의 관련성을 규명함으로써 올바른 식습관 형성의 인식과 실천의 중요성을 알리고 한국인의 정신건강증진을 위해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된 서술적 조사연구로 결론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에서는 2010년, 2011년, 2012년 국민건강영양조사(KNHANES)자료 중 만 19세 이상에 해당하는 성인 15.848명을 대상으로 일반적 특성 및 식사의 횟수, 아침·점심·저녁식사의 여부와 정신건강, 식사횟수와 정신건강의 관련성 및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 27배 높아졌으며[35], 고혈압환자 90%가 아침, 점심, 저녁식사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36]. 즉, 본 연구결과에서는 대사증후군과 고혈압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이 스스로 질병을 관리하고 건강을 증진시키기 위해 규칙적인 식사를 실천하고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비만인 남성은 식사횟수가 적었으며, 비만인 여성과 복부비만인 여성의 경우 규칙적인 식사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즉, 올바른 식습관의 형성이 스트레스, 우울, 자살을 감소시킬 수 있는지에 대한 연구가 선행되지 않았기에 본 연구를 통하여 확인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규칙적인 식습관이란? 규칙적인 식습관은 건강한 생활의 원동력이며 균형된 영양소 섭취의 기본이다[1]. 그러나 최근 현대 사회가 급격히 변화하면서 현대인의 식습관도 함께 변화하고 있다.
연령별 발생하는 식습관의 문제는? 그러나 최근 현대 사회가 급격히 변화하면서 현대인의 식습관도 함께 변화하고 있다. 바쁜 청장년층은 식사를 거르다가 폭식을 하거나 당분이 높은 간식의 섭취 비율이 높은 것과 같은 식습관의 문제가 야기되고 있고[2], 노인은 은퇴에 따라 경제적인 어려움이 가중되고, 핵가족화로 인해 혼자 거주하는 등의 사회적 고립이 빈번해지면서 식습관에 변화가 오고 있다[3]. 2014년 국민건강영양조사의 결과에 따르면, 한국인의 아침결식률은 2010년 21.
올바른 식습관을 갖게 하기 위한 정부의 노력은? 식습관이 불규칙할 경우 신체적 건강이 저해될 뿐만 아니라, 개인의 심리상태, 정서적 안정에도 영향을 주기 때문에 올바른 식습관은 신체건강뿐만 아니라 정신건강적인 측면에서도 매우 중요하다. 현대 식습관 변화에 대한 대처방안을 위해 최근 한국건강증진개발원에서는 제 4차 국민건강증진계획(Health plan 2020, 2016~2020)을 발간하여 2020년까지 아침결식률을 18.3%까지 감소하는 것을 목표로 내세울 정도로 국가적인 차원에서도 식습관에 대한 관심이 높다[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9)

  1. Yi, B. S., Yang, I. S. "An Exploratory Study for Identifying Factors Related to Breakfast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Korean Society of Food Culture. vol. 11, no. 1, pp. 25-38, 2006. 

  2. M. J. Han., H. A. Cho. "Dietary habit and perceived stress of college students in Seoul a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Culture, vol. 13, no. 4, pp. 317-326, 1998. 

  3. Furman, E. F. "Undernutrition in older adults across the continuum of care: nutritional assessment, barriers, and interventions", Journal of Gerontological Nursing, vol. 32, no. 1, pp. 22-27, 2006. DOI: http://dx.doi.org/10.3928/0098-9134-20060101-11 

  4.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health statistics: 2014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Available from http://www.mohw.go.kr/front_new/al/sal0301vw.jsp?PAR_MENU_ID04&MENU_ID0403&page26&CONT_SEQ326126 (accessed July 6, 2016), 2014. 

  5.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orea Health Statistics 2011: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2), 2012. 

  6. Park, M. S., Park, K. A. "The differences of dietary and health-related habits, depression, eating disorder and nutrient intake according to the life stress in nursing college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5, no. 1, pp. 344-355, 2014. DOI : http://dx.doi.org/10.5762/KAIS.2014.15.1.344 

  7. Korea Health Promotion Foundation, "Health Plan 2020", Available from http://www.khealth.or.kr/BoardType66.do?bid64&mid359&cmd_view&dept&bns7&idx9037 (accessed July 10, 2016). 

  8. Sim, M. Y., Lee, D. N. "Stress Coping Behavior and Mediation Effect of Social Competence within the Influence Relation where the Effect of Stress of the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on their School Adjustment,"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7, no. 3 pp. 241-251, 2016. DOI: http://dx.doi.org/10.5762/KAIS.2016.17.3.241 

  9. Chung, Y. O., Shim, G. B., Lee, M. S., Nam, C. H. "Factors affecting the self-esteem and stress of university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School and Community Health Education, vol. 16, no. 3, pp. 65-78, 2015. 

  10. Kim, H. K., Kim, J. H. "Relationship between stress and eating habits of adults in Ulsan", Korean Journal of Nutrition, vol. 42, no. 6, pp. 536-546, 2009. DOI: http://dx.doi.org/10.4163/kjn.2009.42.6.536 

  11. Lee, J. S. "Eating Habits of the University Students affected by Stress Levels in the Areas of Seoul and Gangwon Province",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vol. 28, no. 5, pp. 782-793, 2015. DOI: http://dx.doi.org/10.9799/ksfan.2015.28.5.782 

  12. Hong, J. H., Kim, S. Y. "Correlation between eating behavior and stress level in high school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ol. 43, no. 3, pp. 459-470, 2014. DOI: http://dx.doi.org/10.3746/jkfn.2014.43.3.459 

  13. Lee, Y. H., Kim, Y. J., Lee, S. Y., Lee, J. K., Jung, D. W., Jo, Y. H., Tack, Y. J., Choi, E. J., Hwang, H. L., Lee, S. H. "The Correlation of Meal Frequency and Nutrition with Mental Health Status in Women Aged 20-39 Years: The 5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0-2012", The Korean Journal of Obesity, vol. 24, no. 2, pp. 101-107, 2015. DOI: http://dx.doi.org/10.7570/kjo.2015.24.2.101 

  14. Kim, M. K., Shin, D. S., Wang, S. K. "Effect of the nutrient intakes on psychosocial stres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Culture, vol. 10, no. 5, pp. 405-417, 1995. 

  15. Kim, G. D., Kim, K. H. "Comparison of Depression, Anxiety, and Stress Between Korea Elders and New Zealand Elder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6, no. 9 pp. 6190-6200, 2015. DOI: http://dx.doi.org/10.5762/KAIS.2015.16.9.6190 

  16. Lee, J. W., Kim, S. A. "A Comparative Study on Eating Habits and Eating Attitude of Depressed and Normal Adults : Based on 2008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The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vol. 16, no. 5, pp. 548-558, 2011. DOI: http://dx.doi.org/10.5720/kjcn.2011.16.5.548 

  17. Son, S. M., Park, J. K., Lee, H. S. "Depression and dietary factors related to hyperlipidemia in urban living elderly female from low income group",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vol. 8, no. 6, pp. 938-950, 2003. 

  18. Torres, S. J., McCabe, M., Nowson, C. A. "Depression, nutritional risk and eating behaviour in older caregivers", The journal of nutrition, health and aging, vol. 14, no. 6), 442-448, 2010. 

  19. Park, J. E., Kim, S. J., Choue, R. W. "Study on stress, depression, binge eating, and food behavior of high school girls based on their BMI",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vol. 14, no. 2, pp. 175-181, 2009. 

  20. Han, J. S., Yun, S. W., Choi, S. S. "A Study on the Patients Who Attempted Suicide with Drug Intoxication"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 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4, no. 4 pp. 1863-1870, 2013. DOI: http://dx.doi.org/10.5762/KAIS.2013.14.4.1863 

  21. Statistics Korea, "Causes of Death Statistics in 2014" Available from http://kostat.go.kr/portal/korea/kor_nw/2/6/2/index.board?bmoderead&aSeq348539 (accessed July 10, 2016). 

  22. Park, M. J. "Suicidal Ideation and Affecting Factors according to Sex in Elderly by using Korea Health Panel Data 2010",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 17, no. 2, pp. 1087-1099, 2015. 

  23. Song, M. K., Ha, J. J., Park, D. H., Yoo, S. H., Oh, J. H., Yoo, J. H. "Effect of body image and eating attitude on depressive mood and suicide ideation in female adolescents", Korean Journal of Psychosomatic Medicine, vol. 18, no. 1, pp. 40-47, 2010. 

  24.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orea Health Statistics 2010: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1)", 2011. 

  25.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orea Health Statistics 2012: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3)", 2013. 

  26. Song, H. Y., Park, H. E. "The relations of the elderly's eating habits with their obesity",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6, no. 8, pp. 5404-5412, 2015. DOI: http://dx.doi.org/10.5762/KAIS.2015.16.8.5404 

  27. Hong, Y. H., Lee, E. H., Lim, H. S., Chyun, J. H. "Dietary habits and the perception and intake of health functional foods in male office workers by age", Journal of the East Asian Society of Dietary Life, vol. 25, no. 2, pp. 340-351, 2015. DOI: http://dx.doi.org/10.17495/easdl.2015.4.25.2.340 

  28. Shin, K. H., Chae, K. Y., Yoo, Y. J. "A study on the breakfast habits of salaried people in Seoul", Korean Journal of Food and Cookery Science, vol. 18, no. 1, pp. 119-128, 2002. 

  29. Lee, J. W. "Effects of Frequent Eating-out and Breakfast Skipping on Body Mass Index and Nutrients Intake of Working Male Adults: Analysis of 2001 Korea", The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vol. 14, no. 6, pp. 789-797, 2009. 

  30. Choi, M. Y., Park, D. Y., Rhie, S. G. "Rice preference differences in subjects taking breakfast regularly and skipping breakfast in Kyeonggi-do residence",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vol. 8, no. 4, pp. 547-555, 2003. 

  31. Chung, C. W., Lee, S. J. "Effects of body weight control behaviors on bone mineral density in Korean young adult women",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vol. 19, no. 1, pp. 57-65, 2013. DOI: http://dx.doi.org/10.4069/kjwhn.2013.19.1.57. 

  32. Choi, Y. H., Sung, J. H., Lee, S. H. "The causal factors of adolescents' subjective attitude towards body image - Focusing on the study of weight control behavior and mental health status according to the 2011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Data",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School and Community Health Education, vol. 15, no. 3, pp. 43-54, 2014. 

  33. Lee, H. O., Park, M. K., Lee, H. J. "Effect of Dietary Habits and Nutritional Status in Serum Lipids and Composition of Smoking Adult Men", Chung-Ang Journal of Human Ecology, vol. 12, pp. 101-119, 1999. 

  34. Choi, M. K., Jun, Y. S., Kim, A. J. "A Comparative study of dietary behaviors and nutrient intakes according to alcohol drinking among male university students in chungnam",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ol. 30, no. 5, pp. 978-985, 2001. 

  35. Park, J. K., Kweon, S. H., Kim, Y. H., Jang, M. J., Oh, K. W. "Dietary behaviors related to metabolic syndrome in Korean adults",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vol. 17, no. 5, pp. 664-675, 2012. DOI: http://dx.doi.org/10.5720/kjcn.2012.17.5.664 

  36. Cho, K. O., Kwon, S. H. "A comparative study on food habits and nutrient intakes with body mass index of hypertensive patients commuting to a local health center", Journal of the Korean Dietetic Association, vol. 8, no. 2, pp. 185-198, 2002. 

  37. Kim, E. M. "Dietary Intakes of the Obesity", Korean Journal of Obesity, vol. 8, no. 3, pp. 48-58, 1999. 

  38. Kim, M. S., Ahn, H. S. "Dietary intakes and serum component in middle aged abdominal obese women", Korean Journal of Obesity, vol. 12, no. 2 pp. 124-136, 2003. 

  39. Kye, S. K. (2002). "A study on the stress levels and dietary patterns of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applied tourism food and beverage management and research, vol. 13, no. 1, pp. 111-118, 2002. 

  40. Smith, A. P. "Breakfast and mental health", International journal of food sciences and nutrition, vol. 49, no. 5, pp. 397-402, 1998. DOI: http://dx.doi.org/10.3109/09637489809089415 

  41. Lee, S. H., Shim, J. S., Kim, J. Y., Moon, H. A. "The effect of breakfast regularity on eating habits, nutritional and health status in adults",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ol. 29, no. 5, pp. 533-546, 1996. 

  42. Chapman, G. E., Melton, C. L. "College and university students' breakfast consumption patterns: behaviours, beliefs, motivations and personal and environmental influences", Canadian Journal of Dietetic Practice and Research, vol. 59, no. 4, pp. 176, 1998. 

  43. Aranceta, J., Serra-Majem, L., Ribas, L., Perez-Rodrigo, C. "Breakfast consumption in Spanish children and young people", Public Health Nutrition, vol. 4, no. 6, pp. 1439-1444, 2001. DOI: http://dx.doi.org/10.1079/PHN2001235 

  44. Lee, S. H., Lee, S. M., Park, J. H. "The study of drinking behaviors, health status and mental health service- Heavy drinker who have visited emergency center of public hospital in Seoul", The Mental Health, vol. 3, no. 0, pp. 33-37, 2012. 

  45. Kim, M. Y., Jung, D. Y., Park, H. J. "A study on perceived stress and dietary habits of female college students",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vol. 14, no. 3, pp. 181-188, 2008. 

  46. Chung, H. K., Kim, M. H., Woo, N. R. Y. "The effect of life stress on eating habit of university students in Chungcheongnam-do provinc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Culture, vol. 22, no. 2, pp. 176-184, 2007. 

  47. Sung, M. J., Chang, K. J. "Correlations among life stress, dietary behaviors and food choice of college students", Journal of East Asian Society Diet Life, vol. 16, no. 6, pp. 655-662, 2006. 

  48. Mental health foundation. "Diet and mental health", Available from https://www.mentalhealth.org.uk/a-to-z/d/diet-and-mentalhealth (accessed July 10, 2016). 

  49.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Dietary Guidelines for Korean", 200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