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등학교 과학 선택과목 이수가 대학에서의 과학 학습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aking Elective Science Courses in High School on Studying Science at the University Level 원문보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31 no.6, 2011년, pp.836 - 847  

홍미영 (한국교육과정평가원) ,  김주아 (연세대학교) ,  박현주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초록

이 연구에서는 자연계열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을 통하여 전공 관련 고등학교 과학 선택과목 이수가 대학에서의 과학 학습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그리고 고등학교에서 이수한 전공 관련 과학 선택과목 이수 여부가 대학에서의 강의 이해 정도, 자신감과 흥미 등 학생의 체감 성취도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를 살펴보았다. 대학 수준이나 전공에 상관없이 자연계열 대학생들은 모두 고등학교에서 전공 관련 선택과목Ⅱ를 배우지 않고 대학에 들어오면 1학년 전공 기초 과정에서 어려움을 겪지만 학생 스스로의 노력으로 그 영향을 극복할 수 있다고 인식하는 경향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전공 관련 과학 선택과목 이수 여부가 대학에서의 과학 체감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화학과의 경우에는 화학 I, 화학 II를 모두 이수한 학생들이 화학 I만 이수한 학생들보다 기초전공 과정에서 체감 성취도가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생물학과의 경우 상위권 대학에서는 선택과목 I이수 집단과 생물 I, II 이수 집단 간에 강의 이해도나 흥미, 자신감 등에서 비슷하였으나 중 상위권과 중하위권 대학에서는 생물 I, 생물 II를 모두 이수한 집단이 생물 I만 이수한 집단보다 체감 성취도가 다소 높은 경향이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taking elective science courses in high school on studying science at the university level. The research methods undertaken for this study included surveys of college students in science areas. For physics and biology major students, no significant difference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고등학교에서 물리 선택과목의 이수에 따른 물리학과 학생들의 1학년 전공 기초 과정 체감 성취도를 알아보았다. 예상과 달리 상위권 대학에서는 물리Ⅰ만 이수한 집단의 체감 성취도가 물리Ⅰ, 물리Ⅱ를 모두 이수한 집단보다 높게 나타났다.
  • 두 번째 연구 문제에서는 실제 학점보다 학생들이 대학에서의 수학 과정에 어려움을 겪는지, 전공으로 택한 과학에 대해 흥미와 자신감을 갖는지 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전공 기초 과정에서 이수한 강좌별로 강의 이해 정도, 노력 투자 정도, 과학 학습에 대한 자신감과 흥미를 종합하여 이를 학생의 체감 성취도라고 정의하였다.
  • 언어, 수리(가형 또는 나형), 외국어, 탐구 영역(과학탐구나 사회 탐구 중 1개 영역)의 수능 성적을 입학 전형에서 반영하고 있는 일명 교차 지원을 허용하는 학교 중 수도권 소재 학교는 중상위권 대학으로 선정하였고 수도권 이외의 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학교는 중하위권 대학으로 선정하였다. 이 연구에서 대학을 3개 수준으로 구분한 것은 고등학교에서의 과학 선택과목 이수가 자연계열 대학 수학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학생들의 이공계 수학 준비 정도나 잠재적 수학 능력별로 알아보기 위해서이다. 예를 들어 상위권 대학에 재학 중인 학생들은 잠재적 학습 능력이 높고 고등학교에서부터 이공계열이나 의약학계열 진학을 준비한 집단으로 간주하였다.
  • 대학별 학과 표집은 해당 학과 사무실로 설문 협조를 부탁하는 전화를 해서 이를 수락한 학과를 우선 선정하는 방식으로 하였다. 이 연구에서 자연과학 계열의 학과를 선정한 것은 고등학교 과학 과목인 물리, 화학, 생물의 학습 경험이 직접적으로 전공 수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서이다. 고등학교 과학 과목 중 지구과학 관련 학과를 표집에서 제외한 것은 대학에서 지구과학 학과가 아닌 지질학과, 천문학과 등으로 세분되어 있으며 많은 대학에서 이 학과들을 개설하지 않고 있었기 때문이다.
  • 이 연구에서는 자연계열 대학생을 대상으로 전공 관련 고등학교 과학 선택과목 이수가 대학에서의 과학 학습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그리고 고등학교에서의 과학 선택과목 이수가 대학에서의 과학 학습에 어떻게 영향을 주는지를 살펴보았다.
  • 이 연구의 목적은 자연계열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고등학교에서 이수한 전공 관련 과학 선택과목 이수 여부가 대학에서의 강의 이해 정도, 자신감과 흥미 등 학생의 체감 성취도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를 알아보고, 이를 바탕으로 추후 고등학교 과학 선택 교육과정 운영에서의 고려할 사항과 개선점을 제안하는 것이다.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 첫 번째 연구 문제인 과학 선택과목 이수가 대학에서의 과학 학습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인식에서는 고등학교에서 관련 선택과목Ⅱ를 배우지 않은 것이 대학 1학년 과정의 전공 기초 과학 과목 학습에 어느 정도 영향을 준다고 생각하는지, 그리고 그 영향을 학생 스스로의 노력으로 어느 정도 극복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지를 알아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이공계 교육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사회적인 문제가 된 지 오래인 이공계 기피 현상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의 젊은 층 직업 종사자 중에서 이공계 졸업생이 차지하는 수는 OECD 국가의 평균보다 월등히 높다(OECD, 2008). 따라서 이공계 교육의 문제점은 양적 저하가 아닌 이공계 대학이 우수한 과학 기술 인력을 배출하지 못하는 질적 저하에 있다고 볼 수 있다. 우수한 이공계 인력이 배출되지 못하는 가장 크고 직접적인 원인은 이공계 인력의 직업 불안정성과 대우가 낮은 사회적 환경으로 인하여 우수한 학생이 이공계로 진학하지 않는 이공계 기피 현상, 그리고 이공계 대학 진학 후에 의∙치의∙약학 계열 등 다른 진로를 선택하는 이공계 탈출 현상을 들 수 있다(서혜애 등, 2004).
우수한 이공계 인력이 배출되지 못하는 가장 크고 직접적인 원인은? 따라서 이공계 교육의 문제점은 양적 저하가 아닌 이공계 대학이 우수한 과학 기술 인력을 배출하지 못하는 질적 저하에 있다고 볼 수 있다. 우수한 이공계 인력이 배출되지 못하는 가장 크고 직접적인 원인은 이공계 인력의 직업 불안정성과 대우가 낮은 사회적 환경으로 인하여 우수한 학생이 이공계로 진학하지 않는 이공계 기피 현상, 그리고 이공계 대학 진학 후에 의∙치의∙약학 계열 등 다른 진로를 선택하는 이공계 탈출 현상을 들 수 있다(서혜애 등, 2004).
전공 관련 고등학교 과학 선택과목 이수가 대학에서의 과학 학습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했을 때 결과는? 이 연구에서는 자연계열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을 통하여 전공 관련 고등학교 과학 선택과목 이수가 대학에서의 과학 학습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그리고 고등학교에서 이수한 전공 관련 과학 선택과목 이수 여부가 대학에서의 강의 이해 정도, 자신감과 흥미 등 학생의 체감 성취도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를 살펴보았다. 대학 수준이나 전공에 상관없이 자연계열 대학생들은 모두 고등학교에서 전공 관련 선택과목Ⅱ를 배우지 않고 대학에 들어오면 1학년 전공 기초 과정에서 어려움을 겪지만 학생 스스로의 노력으로 그 영향을 극복할 수 있다고 인식하는 경향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전공 관련 과학 선택과목 이수 여부가 대학에서의 과학 체감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화학과의 경우에는 화학 I, 화학 II를 모두 이수한 학생들이 화학 I만 이수한 학생들보다 기초전공 과정에서 체감 성취도가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생물학과의 경우 상위권 대학에서는 선택과목 I이수 집단과 생물 I, II 이수 집단 간에 강의 이해도나 흥미, 자신감 등에서 비슷하였으나 중 상위권과 중하위권 대학에서는 생물 I, 생물 II를 모두 이수한 집단이 생물 I만 이수한 집단보다 체감 성취도가 다소 높은 경향이 있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교육부 (1997). 과학과 교육과정. 서울: 대한교과서주식회사. 

  2. 교육과학기술부 (2009). 과학중점고등학교 운영방안. (2009.09.08일자 보도자료). 

  3. 김성열, 이양락, 조용기, 이창훈, 박순경, 정영근, 이명애, 시기자, 심재호, 김동영, 신항수, 박영수, 강현석, 김재춘, 박종배, 백순근, 홍후조, 이영호, 신호근 (2008). 2012학년도 수능 탐구 및 제2외국어/한문 영역 응시과목 축소 방안 공청회. 연구자료 ORM 2008-22.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4. 김주훈, 홍미영, 이미경, 정은영, 곽영순, 심재호, 이창훈, 최원호, 박순경 (2006). 고등학교 과학과 선택 중심 교육과정 개선 방안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C 2006-7. 

  5. 서혜애, 장수명, Pereira-Mendoza, L. (2004). 초.중등 우수학생 이공계 진출을 위한 과학 교육 정책방안 수립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연구보고 RR 2004-4. 

  6. 서혜애, 손정우, 정현철, 송진웅, 이봉우, 정진수, 송성수 (2007). 창의적 과학기술인재 양성을 위한 과학 교육 개선 방안 연구.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7. 오희균과 박종원 (2009). 사범대학생의 역학과 전자기 개념 이해 분석 - 다양한 분석과 해석 방법을 중심으로 -. 새물리, 59(1), 27-38. 

  8. 이규석, 조희형, 김주훈, 정병훈, 이면우, 곽영순 (2002). 학교 과학 교육 활성화를 위한 대학입시제도개선. 서울: 한국과학교육학회. 

  9. 이보경, 장수철 (2008). 고등학교 과학 심화 선택 과목 이수 여부와 대학 과학 교과목의 학업성취도. 교육과정연구, 26(2), 191-210. 

  10. 이은주, 조영자, 김은숙, 유란영, 김동진, 박국태 (2007). 화학I 교과에 대한 화학교사들의 인식과 학습지도 방식에 대한 조사. 대한화학회지, 51(1), 73-81. 

  11. 이종성, 강계남, 김양분, 강상신(2007). 사회과학 연구를 위한 통계방법. 서울: 박영사. 

  12. 조향숙, 조광희, 이용래, 최지선 (2008). 수학.과학 교육 내실화 방안 연구. 서울: 한국과학창의재단. 

  13. 홍미영 (2006). 제7차 고등학교 화학 선택 교육과정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및 요구 분석. 대한화학회지, 50(5), 394-403. 

  14. 홍후조 (2005). 대학 전공 학습을 위한 고교의 선수학습과목에 관한 대학생의 인식 조사 연구. 교육과정연구, 23(3), 257-288. 

  15. Barbour, R. (2007). Doing focus group. Thousand Oaks, CA: Sage. 

  16. Conley, D. T. (2003). Understanding university success. Eugene, Oregon:Center for Educational Policy Research, University of Oregon. 

  17. OECD (2008). Education at a glance 2008. Paris: Author. 

  18. Razali, S. N, & Yager, R. E. (1994). What college chemistry instructors and high school chemistry teachers perceive as important for incoming college student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1(7), 735-747. 

  19. Sadler, P. M., & Tai, R. H. (2001). Sucess in introductory college physics: The role of high school preparation. Science Education, 85(2), 111-136. 

  20. Sadler, P. M., & Tai, R. H. (2007). The two high-pillars supporting college science. Science, 317(5837), 457-458. 

  21. Schwartz, M., Hazari, Z.,, & Sadler, P. M.(2008). Divergent views: teacher and professor perceptions about pre-college factors that influence college science success. Science Educator, 17(1), 18-35 

  22. Schwartz, M., Sadler, P. M., Sonnert, G., & Tai, R. H. (2009). Depth versus breadth: how content coverage in high school science relates to later success in college science coursework. Science Education, 93(4), 798-826. 

  23. Tai, R. H., Sadler, P. M., & Mintzes, J. J. (2006). Factors influencing college science success. Journal of College Science Teaching, 36(1), 52-56. 

  24. Trusty, J. (2002). Effect of high school courses-taking and other variables on choice of science and mathematics college major. Journal of Counseling and Development, 80(4), 464-474. 

  25. Vaughn, S., Schumm, J. S., & Sinagub, J. (1996). Focus group interviews in education and psychology. Thousand Oaks, CA: Sage.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