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2015 개정 과학과 일반선택과목의 수강 현황 및 선택률 제고 방안 탐색
Exploration of the Status of Course Completion and Ways to Raise Selection Rates of General Elective Courses in the 2015 Revised Science Curriculum 원문보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40 no.2, 2020년, pp.217 - 226  

이일 (광명고등학교) ,  곽영순 (한국교원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2015 개정 교육과정 적용 2년차를 맞이하여 고등학교 2학년의 과학과 일반선택과목 수강 현황을 파악하고 과학과 교육과정 개선과 선택률 제고 방안에 대한 과학교사들의 인식을 조사함으로써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안착과 고교학점제에서 과학과 선택과목의 방향성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려는 것이다. 이를 위해 12개 시·도 교육청의 협조를 얻어 2018년 고등학교 신입생들이 수강한 과학과 선택과목의 연도별, 학교유형별, 지역별 현황을 취합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9명의 고등학교 과학교사를 초점집단으로 구성하여 과학과 선택과목 교육과정의 편성 및 운영에 대한 개선과 선택률 제고 방안에 대한 심층 면담을 진행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2019년 11월 기준으로 12개 시·도 교육청의 2018년 고등학교 신입생들의 과학과 일반선택과목 수강자 수는 물리학I 163,710명, 화학I 216,754명, 생명과학I 290,736, 지구과학I 200,861명이며, 학생 1인당 수강 과목의 수는 2.4개로 확인되었다. 학교유형별로는 자율고의 수강 비율이 가장 높았으며, 특목고와 특성화고의 비율은 매우 저조하였다. 일반선택과목의 학기당 이수단위는 3단위(61.5%)와 2단위(28.7%)가 대부분이었으며 이수단위별 수강 비율은 교육청 간에 편차가 있었다. 고등학교 과학교사들은 고교학점제에 대비한 과학과 선택과목 교육과정 개정 방안으로 한 학기에 이수할 수 있는 3단위 분량으로 선택과목을 재구성, 지식보다는 역량 중심의 내용 구성, 교사의 수업 역량을 신장하기 위한 교사공동체와 교과 중심 연수의 필요성 등을 주장하였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고교학점제에 대비한 과학과 선택과목 교육과정 운영 및 개선 방안을 제안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raw suggestions on the settling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nd the direction of science curriculum improvement by identifying the current status of science general elective courses for high school sophomores, and examining teachers' perception. To this end, wi...

주제어

표/그림 (9)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과학과의 과거 교육과정의 주된 이 슈는 무엇인가? 교사의 수급, 수능과 내신 성적에서의 유불리, 학급편성의 어려움, 과목에 대한 안내 부족 등을 이유로 학생들의 과목선택권이 실질적으로 넓지 않았으며(Hu & So, 2014; Lee & Sim, 2016) 학습 부담이 덜한 과목에 대한 쏠림 현상이 존재했던 것이 사실 이다(Hong, 2010). 과학과의 경우 학업 부담을 이유로 물리Ⅱ를 비롯한 Ⅱ과목들에 대한 학생들의 기피 현상이 과거 교육과정의 주된 이 슈였다(Lee & Chang, 2008; Moon & Lee, 2011; Jo et al., 2012; Sim et al.
7차 교육과정 이후 우리나라 고등학교 교육과정에서 표방해온 것은? 7차 교육과정 이래 우리나라 고등학교 교육과정은 학생들의 과목선택권을 보장하는 선택중심 교육과정을 표방해왔다. 이는 다양성과 융합이 강조되는 미래 사회에서 획일적이고 단편적인 교육과정과 과목 편성만으로는 국가와 사회가 요구하는 인재를 양성하기 어렵다는 당위성 때문이었다.
우리나라 고등학교 교육과정이 학생들의 과목선택권을 보장하는 선택중심 교육과정을 표방해온 이유는? 7차 교육과정 이래 우리나라 고등학교 교육과정은 학생들의 과목선택권을 보장하는 선택중심 교육과정을 표방해왔다. 이는 다양성과 융합이 강조되는 미래 사회에서 획일적이고 단편적인 교육과정과 과목 편성만으로는 국가와 사회가 요구하는 인재를 양성하기 어렵다는 당위성 때문이었다. 7차 교육과정의 뒤를 이은 2009 개정 교육과정에 서도 이러한 흐름은 계속 유지되었으며, 2015 개정 교육과정에 이르 러서는 2025년부터 전면 시행될 고교학점제의 토대 조성을 위해 과목 선택 권의 실질적인 보장과 다양한 과목의 개설을 강조하고 있다(Lee & Paik, 201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Hong, H. (2005). Student's needs on college-preparatory courses and college readiness by major fields.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23(3), 257-288. 

  2. Hong, M. (2010). A study on school-level science elective-centered curriculum operation through science teacher interview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0(5), 609-620. 

  3. Hong, M., Kim, J., & Park, H. J. (2011). The effects of taking elective science courses in high school on studying science at the university level.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1(6), 836-847. 

  4. Hu, Y., & So, K. (2014). A comparison of high school students' rights to choose their course of study among Korea, England, New Zealand, and Japan. Korean Journal of Comparative Education, 24(1), 181-201. 

  5. Jeong, G., Jo, S., So, K., Kwon, S., & Kim, J. (2006). Research on diversification of general high school operating systems. RR 2006-4, Seoul: Korea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KEDI). 

  6. Jo, K., Choi, J., & Cho, H. (2012). High school students' opinions on choosing their academic track and elective courses for science and mathematics. Journal of Research in Curriculum Instruction, 16(3), 839-857. 

  7.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KEDI). (2017). Future plans for the improvement of college admission system. 

  8. Korean Educational Statics Service(KESS). (2019). Number of students. Retrieved from https://kess.kedi.re.kr/index. 

  9. Korean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KICE). (2004). A research of issues in 7th national curriculum. RRC 2004-3. 

  10. Korean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KICE). (2018). Management plan of research school for high school credit system adoption. CRC 2018-4. 

  11. Lee, B., & Chang, S. (2008). The effect of educational backgrounds in high school sciences on the achievement of college sciences.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26(2), 191-210. 

  12. Lee, I., Kwak, Y., & Cho, H. (2019). A survey research on science and engineering college students' perception on completing prerequisite science courses in high schoo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43(2), 195-206. 

  13. Lee, M., & Sim, J. (2016). The perception of students and teachers on the management of high school science elective curriculum. Teacher Education Research, 55(4), 537-549. 

  14. Lee, S., & Paik, S. (2019). Students' perception of and needs for selecting electives in research schools of high school credit system.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37(3), 79-105. 

  15. Ministry of Education(MOE). (2015). The general guideline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in secondary school. 2015-74. 

  16. Ministry of Education(MOE). (2018a). An Inquire into the organization and operate of optional subjects following the 2015 revised curriculum system. 11-1342000-000359-01. 

  17. Ministry of Education(MOE). (2018b). Briefing of university entrance system reform in 2022 and high school education innovation plan. Press release. 

  18. Moon, S., & Lee, S. (2011). Relationship between the high school Chemistry I, II, and the general chemistry, and college students cognition about the subject. Journal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55(1), 112-123. 

  19. Mun, K & Nam, H. (2018). Comparison of engineering freshman's high school physics selection and general physics achievement based on college admission types.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8(8), 155-169. 

  20. OECD. (2018). The future of education and skills: Education 2030. Position paper. 

  21. Park, H., Shim, J., Choi, H., Lim, H., Park, J., Ahn, H., & Yang, S. (2019). Study on the monitoring and implementation of the 2015 science national curriculum. Seoul: KOFAC. 

  22. Seoul National University (SNU). (2019). Notice of admission process for university entrance in 2022. https://admission.snu.ac.kr/under/announcements?bmv&bbsidx126183. 

  23. Shim, H., & Lee, H. (2017). Influence of pre-service science teachers' selection of Earth s cience I , II in h igh school and college major on their self-perceived attitude and academic achievement in general earth science lecture.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38(3), 239-249. 

  24. Sim, J., Park, H., & Lee, J. (2015). High school students' perceptions on science elective of the 2009 revised curriculum.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9(2), 133-15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