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등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외적동기, 흥미, 과학 과목 성취도의 구조적 관계와 성별에 따른 잠재평균 분석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nd Latent Means Analysis of Gender among Academic Self-Efficacy, Interest, External Motivation and Science Achievement for High School Students 원문보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31 no.6, 2011년, pp.876 - 886  

주영주 (이화여자대학교) ,  정영란 (이화여자대학교) ,  이유경 (이화여자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고등학교 과학 과목에서의 학업적 자기 효능감, 외적동기, 흥미 및 성취도의 성별에 따른 잠재평균 분석 및 변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PISA 2006의 한국 학생 데이터를 사용하여 잠재평균 비교 및 변인 간의 인과관계를 살펴보았다. 다집단 분석의 잠재평균 비교 결과, 남학생을 참조집단으로 삼았을 때 여학생들의 잠재평균은 학업적 자기효능감, 외적동기, 흥미에서 모두 낮게 나타났다. 또, 학업적 자기효능감, 외적 동기는 흥미에 영향을 미쳤고, 학업성취도에는 학업적 자기효능감, 흥미, 외적 동기의 순으로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고등학교 과학과목에서 흥미 증진 및 성취도 향상을 위해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높이고, 동기 진작 방안이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of gender of academic self-efficacy, external motivation, interest and science achievement for high school students of Korea and to verify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these variables using PISA 2006 data.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본 연구는 고등학교 과학 과목에서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외적동기가 흥미에 미치는 영향과 학업적 자기효능감, 외적동기, 흥미가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PISA 2006에 참여한 우리나라 고등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과학과목에서 성별에 따른 학업적 자기효능감, 외적동기, 흥미 및 학업성취도 간의 통합적이고 구조적인 인과관계를 비교해보았다. 이를 위해 과학 학업성취도 및 학업적 자기효능감 문항과 외적 동기 문항 및 과학에 대한 흥미 문항을 선정하여 분석에 사용하였다.
  • 본 연구는 고등학교 과학 과목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 외적 동기, 흥미 및 성취도에서 성별에 따른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고, 학업적 자기효능감, 외적동기가 흥미에 미치는 영향과 학업적 자기효능감, 외적동기, 흥미가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고등학교 과학과목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 외적동기, 흥미 및 성취도의 성별에 따른 잠재평균 비교 및 인과관계를 구조적으로 검증하였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이는 연구 대상을 소수에 국한하지 않고, 우리나라 고등학교 1학년 모집단의 특성을 보다 폭넓게 반영한 PISA의 우리나라 데이터를 사용하였다는 점에서 그 결과의 일반화가 다소 확보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 따라서 이들 간의 인과적 관계를 밝혀내는 것은 여학생들의 과학 성취도를 높이기 위해 학교와 가정에서 무엇을 해야 하는 지를 모색하는 작업의 출발점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고등학교 과학교과에서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흥미, 학업적 자기효능감, 외적 동기를 선정하여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 이와 같이 흥미나 학습동기,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같은 정의적 요소들은 학교에서 지적 성취와 함께 습득되어야 하는 요소로서, 학업 성취도를 예언하는 중요 변인으로 간주되어 왔다. 지금까지 학습자의 성취에 영향을 주는 이러한 변인들은 단일 변수로 연구되거나 변인들 간의 인과관계보다는 이들 간의 관련성을 살펴보는 데 초점을 두는 경우가 많았기에, 본 연구에서는 구조적 모형을 통해 이들 변인 간의 인과과 계를 살펴보고자 한다. 변인들 간의 인과적 관계가 규명되지 않으면 과학교육이 어떠한 변인에 중점을 두어야 할지가 분명치 않게 된다.

가설 설정

  • 연구문제 1. 고등학교 과학교과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 외적동기, 과제흥미, 학업성취도에는 성별 차이가 있는가?
  • 성별에 따른 흥미, 외적동기,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구인 동일성을 검증하기 위해 형태동일성, 측정 동일성, 절편 동일성 가정을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AMOS를 이용하여 최대우도법(ML)을 바탕으로 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Pintrich & Schunk, 2002에 따르면 학습동기란? 학생들의 학업 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요한 변인은 학습동기이다. 학습동기는 어떠한 행동을 유발시키고 그 행동을 유지하며 목표를 향해 나아가 도록 하는 힘으로(Pintrich & Schunk, 2002) 내적동기와 외적동기로 구분된다. Corpus, Gilbert와 Hayenga(2009)는 학년이 올라갈수록 내적 동기는 감소되고, 외적 동기가 증가된다고 했는데 이는 학년이 올라갈수록 수행을 강조하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 고등학교 과학 과목에서의 학업적 자기 효능감, 외적동기, 흥미 및 성취도를 분석한 결과는? 이를 위해 PISA 2006의 한국 학생 데이터를 사용하여 잠재평균 비교 및 변인 간의 인과관계를 살펴보았다. 다집단 분석의 잠재평균 비교 결과, 남학생을 참조집단으로 삼았을 때 여학생들의 잠재평균은 학업적 자기효능감, 외적동기, 흥미에서 모두 낮게 나타났다. 또, 학업적 자기효능감, 외적 동기는 흥미에 영향을 미쳤고, 학업성취도에는 학업적 자기효능감, 흥미, 외적 동기의 순으로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고등학교 과학과목에서 흥미 증진 및 성취도 향상을 위해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높이고, 동기 진작 방안이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많은 학자들이 교육에서 정의적 영역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이유는? 많은 학자들이 교육에서 정의적 영역의 중요성을 강조하는데 이는 지식 습득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은 인지적 능력이지만 그 능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조절하고 통제하는 것은 정의적 영역의 능력이기 때문이다. 정의적 특성은 학습자가 학습활동을 자발적으로 하게 하는 심리적 요인으로 작용하여 교육의 효과를 높이는 데 중심적인 역할을 한다(Salovey & Mayer, 199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김경식, 이현철 (2009). 과학교과 흥미도의 종단적 변화와 그 영향요인. 과학교육연구지, 33(1), 100- 110. 

  2. 박현정 (2008). 학습동기, 자아개념, 학업성취간 관계의 집단 간 동등성 분석: PISA 2006을 중심으로. 교육평가연구, 21(3), 43-67. 

  3. 서미옥 (2010). 성취목표지향과 성격, 자기효능감 및 내-외적 동기의 관계. 교육학연구, 48(2), 21-44. 

  4. 오미진, 김성일 (2007). 자기효능감, 과제 선택범위 및 경쟁이 과제흥미에 미치는 효과. 교육심리연구, 21(3), 573-589. 

  5. 우찬영, 박영호 (2006). 학업성취나 학습동기, 자기효능감 및 귀인성향과의 관계. 인문논총, 20, 231- 254. 

  6. 윤미선 (2007). 사고양식, 성취목표지향성, 성취도, 연령, 성별 특성이 교과흥미에 미치는 영향 -중고생의 과학교과를 대상으로-. 교육심리연구, 21(3), 557-572. 

  7. 윤미선, 김성일 (2004). 중고생의 학업성취 결정 요인으로서 사고양식, 학습동기, 교과흥미, 학습전략간의 관계모형. 교육심리연구, 18(2), 161-180. 

  8. 이미경, 손원숙, 노언경 (2007). PISA 2006 결과 분석 연구: 과학적 소양, 읽기 소양, 수학적 소양 수준 및 배경변수 분석.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9. 전경문, 서인호, 노태희 (2000). 화학 문제 해결력과 자아 효능감.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0(2), 215-220. 

  10. 최경희, 신동희, 이향연 (2008). 과학교육에서의 성별 차이 현황과 해결 방안. 여성학논집, 25(2), 117-158. 

  11. 하민수, 차희영, 김수원, 이경화 (2007). 과학 관련 태도의 성차와 관련된 사회적 요인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7(7), 583-591 

  12. Andrew, S. (1998). Self-efficacy as a predictor of academic performance in science.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7, 596-603. 

  13. Baron, R. M., & Kenny, D. A. (1986).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al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6), 1173-1182. 

  14. Britner, S. L., & Pajares, F. (2001). Selfefficacy beliefs, motivation, race, and gender in middle school science. Journal of Woman and Minorities in Science and Engineering, 7, 271-285. 

  15. Cohen, J. (1988).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16. Corpus, J. H., McClintic-Gilbert, M. S., & Hayenga, A. O. (2009). Within-year changes in children's intrinsic extrinsic motivational orientations: Contextual predictors and academic outcomes. Contemporary Educational Psychology, 34(2), 154-166. 

  17. Gottfried, A. E. (1990). Academic Intrinsic Motivation in Young Elementary School Childre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2(3), 525-538. 

  18. Gwilliam, L. R. & Betz, N. (2001). Validity of measures of math- and science-related self-efficacy for african americans and european americans. Journal of Career Assessment, 9(3), 261-281. 

  19. Glawer-Zikude, M., Marying, P., & von Rhoeneck, C. (2003). An investigation of the influence of emotional factors on learning physics interac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5(4), 489-507. 

  20. Greenfield, T. A. (1996). Gender, ethnicity, science achievement, and attitud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3(8), 901-933. 

  21. Hancock, G. R. (1977).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methods of hypothesis testing of latent variable means. Measurement and Evaluation in Counseling and Development, 30, 91-105. 

  22. Harter, S, Jackson, B. K. (1992). Trait vs. nontrait conceptualizations of intrinsic/extrinsic motivational orientation. Motivation and emotion, 16(3), 209-230. 

  23. Hong. S., Malik, M. L., and Lee, M. (2003). Testing Configural, Metric, Scalar, and Latent Mean Invariance Across Genders in Sociotropy and Autonomy Using a Non-Western Sample. Educational and Psychological Measurement, 63(4), 636-654. 

  24. Kelly, A. (1986). The development of girl's and boy's attitude to science : a longitudinal study. European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8(4), 399-412. 

  25. Kfir, D. (1988). Acievements and aspirations among boys and girls in high school: a comparison of two Israeli ethnic groups.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25, 213-236. 

  26. Kline, R. B. (2005). Principles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NY: Guilford. 

  27. Kupermintz, H. (2002). Affective and conative factors as aptitude resources in high school science achievement. Educational Assessment, 8(2), 123-137. 

  28. Linn, M. C., Petersen, A. C., & Hyde, J. S. (1986). The psychology of gender: Advances through meta-analysis.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29. OECD (2007). PISA 2006: Science competemcies for tomorrow's world. Volume 1: Analysis. 

  30. Pintrich, P. R., & Schunk, D. H. (2002). Motivation in education: Theory, research, and applications. Merrill (Englewood Cliffs, N.J.). 

  31. Salovey, P., & Mayer, J. (1990). Imagination, Cognition and Personality, 9(3), 1989-1990. 

  32. Schunk, D. H. (1985). Participation in goal setting : Effects on self-efficacy and skills of learning disabled children.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19, 307-317. 

  33. Simpson, R, D., & Oliver, J. S. (1990). A Summary of major influences on attitude toward achievement in science among adolescent students. Science Education, 74, 1- 18. 

  34. Sobel, M. E. (1982). Asymptotic intervals for indirect effects in structural equation models. In S. Leinhart(Ed.), Sociological Methodology (pp. 290-312). San Francisco: Jossey-Bass.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