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영산강 하구의 방류와 강우의 규모 및 빈도 상관성 분석
Relationships on Magnitude and Frequency of Freshwater Discharge and Rainfall in the Altered Yeongsan Estuary 원문보기

바다 : 한국해양학회지 = The sea :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v.16 no.4, 2011년, pp.223 - 237  

류호상 (인하대학교 해양과학과) ,  이관홍 (인하대학교 해양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하구둑으로 인해 담수의 공급이 간헐적으로 발생하는 영산강 하구에서는 담수의 방류가 하구의 유동패턴, 염분농도의 변이, 영양염 공급 등 하구환경과 생태계 반응을 주도하는 요인이다. 담수의 방류는 유역의 강우조건에 영향을 받으므로 담수의 방류시기 및 규모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담수방류를 유발하는 강우조건과 강우-방류간 상관관계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또한 담수방류가 하구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방류의 규모와 더불어 빈도에 대한 고려가 필수적이다. 이 연구는 영산강 하구역의 담수방류를 예측하고 평가하는 도구로서 영산강 하구둑의 담수 방류자료를 대상으로 강우에 보다 직접적으로 반응하는 극치방류의 확률분포함수를 파악하고 극치방류를 유발하는 강우조건을 판별하여 극치방류를 유발하는 강우와 극치방류 간의 빈도-규모 관계식을 도출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13.7년(1997.1.1-2010.8.31)간의 일방류량 자료에 대하여 일연속방류를 분석의 기본단위인 방류이벤트로 정의하되 4일 이상의 일연속방류의 경우는 방류패턴에 토대를 둔 이벤트 분리 알고리듬을 적용하여 개별 이벤트를 식별하였다. 총 529건의 방류 이벤트에 대하여 14년간의 연 최고치 중 최솟값에 해당하는 133,656,000 $m^3$을 기준으로 극치방류이벤트를 선별하고 부분시계열 빈도분석법을 적용하여 극치방류의 확률분포함수가 Weibull(k=1.4)함수를 따름을 확인하였다. 극치방류를 기준으로 대비되는 강우 l일전 3일합 강우량이며 최솟값은 50.98 mm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 기준에 따라 추출된 방류유발기능 강우군은 총 102건으로 극치방류이벤트의 수보다 많았다. 정준판별분석을 통해 3일합 강우량 이외에 관리수위대비(-1.35 m EL.) 하구호 수위가 방류유발 강우를 규정하는 중요한 요소라는 점과 방류유발가능 강우군을 선별하는 임계값을 104mm로 재조정할 경우 3일합 강우량만으로 방류유발 강우를 규정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극치방류 유발 강우만을 대상으로 강우-방류 관계식을 수립한 결과 3일합-강우량($\overline{r_{3day}}$), 3일합-강우량 재현주기($T_{r3}$), 방류량(Discharge, D), 방류량 재현주기($T_d$)의 관계는 $D=1.111{\times}10^8+1.677{\times}10^6{\overline{r_{3day}}$, (${\overline{r_{3day}}{\geqq}104$), $T_d=1.326T^{0.683}_{r3}$, $T_d=0.117{\exp}[0.0155{\overline{r_{3day}}]$로 나타났다. 100년 주기 3일합 강우(357mm)에 의해 유발되는 방류량은 영산강 하구둑 방류량의 재현주기는 30.8년 정도이며 그 양은 $7.0979{\times}10^8m^3$이다. 담수방류의 재현주기 및 재현주기에 기초한 강우-방류 관계식은 영산강 하구역을 비롯하여 인위적으로 담수의 방류가 조절되는 하구역에서 담수의 영향을 평가하고 예측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intermittent freshwater discharge has an critical influence upon the biophysical environments and the ecosystems of the Yeongsan Estuary where the estuary dam altered the continuous mixing of saltwater and freshwater. Though freshwater discharge is controlled by human, the extreme events are mai...

주제어

참고문헌 (26)

  1. 농어촌공사 영산강사업단, 1999, 하구둑시설물 관리규정, 11pp. 

  2. 박 순, 윤한삼, 이인철, 김헌태, 2008. 낙동강 하구역 해양물리환경에 미치는 영향인자 비교분석(1): 하구둑 방류량과 기상인자.해양환경안전학회, 14(2):111?117. 

  3. 범선규, 2002. 영산강유역의 지형과 주민생활. 한국지역지리학회지,8(4): 451?467. 

  4. 4대강 살리기 추진본부, 2009. 4대강 살리기 마스터플랜. 국토해양부, 400pp. 

  5. 윤한삼, 이인철, 류청로, 2003. 영일만 유입오염부하량과 수질의시공간적 변동특성(I): 하천유량과 유입부하량의 계절변동. 한국해양공학회지, 17(4): 23?30. 

  6. 이진원, 김형섭, 우효섭, 1993. 댐건설로 인한 5대수계 본류의 유황변화 분석. 대한토목학회논문집, 13(3): 79?91. 

  7. 장성태, 김기철, 2006. 낙동강 하구에서의 해양 환경 변화. 한국해양학회지, 11(1): 11?20. 

  8. 조홍연, 조범준, 김상준, 2008. 계절별 염분 자료를 이용한 아산만 연안의 담수영향범위 추정,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20(2): 219?231. 

  9. Bird, E., 2000. Coastal Geomorphology: An Introduction., John Wiley & Sons, 322pp. 

  10. Byun, D.S., X.H. Wang and P.E. Holloway, 2004. Tidal characteristic adjustment due to dyke and seawall construction in the Mokpo Coastal Zone, Korea. Estuar. Coast. Shelf Sci., 59: 185?196. 

  11. Byun, D.S., X.H. Wang, D.E. Hart and Y.K. Cho, 2005. Modeling the effect of freshwater inflows on the development of spring blooms in an estuarine embayment. Estuar. Coast. Shelf Sci., 65: 351?360. 

  12. de Castro, M., M. Gomez-Gesteira, R. Prego and I. Alvarez, 2004. Ria-ocean exchange driven by tides in the Ria of Ferrol (NW Spain), Estuar. Coast. Shelf Sci, 61: 15?24. 

  13. Dingman, S.L., 2002. Physical Hydrology (2nd ed.). Prentice Hall, 646pp. 

  14. Dunne, T. and L.B. Leopold, 1978. Water in Environmental Planning. W.H.Freeman, 818pp. 

  15. Dyer, K., 1998. Estuaries: A Physical Introduction (2nd ed.). Wiley, 210pp. 

  16. Eyre, B.D. and A.J.P. Ferguson, 2006. Impact of a flood event on benthic and pelagic coupling in a sub-tropical east Australian estuary (Brunswick). Estuar. Coast. Shelf Sci., 66: 111?122. 

  17. Garel, E., L. Pinto, A. Santos and O. Ferreira, 2009. Tidal and river discharge forcing upon water and sediment circulation at a rockbound estuary (Guadiana estuary, Portugal). Estuar. Coast. Shelf Sci., 84: 269?281. 

  18. Goda, Y., 2000. Random Seas and Design of Maritime Structures (2nd ed.). World Scientific, 444pp. 

  19. Goni, M.A., G. Voulgaris and Y.H. Kim, 2009. Composition and fluxes of particulate organic matter in a temperate estuary (Winyah Bay, South Carolina, USA) under contrasting physical forcings. Estuar. Coast. Shelf Sci, 85: 273?291. 

  20. Kang, J.W., 1999. Changes in Tidal Characteristics as a result of construction of sea-dyke/sea-walls in the Mokpo Coastal Zone in Korea, Estuar. Coast. Shelf Sci., 48: 429?438. 

  21. Kim, T. I., B. H. Choi and S. W. Lee, 2006. Hydrodynamics and sedimentation induced by large-scale coastal development in the Keum River Estuary, Korea. Estuar. Coast. Shelf Sci., 68: 515? 528. 

  22. Masselink, G. and M.G. Hughes, 2003. Introduction to Coastal Processes and Gemorphology. Arnold, 354pp. 

  23. Miller, C.J., D.L. Roelke, S.E. Davis, H.-P. Li and G. Gable, 2008. The role of inflow magnitude and frequency on plankton communities from the Guadalupe Estuary, Texas, USA: Findings from microcosm experiments, Estuar. Coast. Shelf Sci., 80: 67?73. 

  24. Stedinger, J.R., R.M. Vogel, and E. Foufoula-Georgiou, 1993. Frequency Analysis of Extreme Events. In: Handbook of Hydrology, edited by Maidment, D.R., McGraw-Hill, pp.18.1-66. 

  25. van Maren, D.S. and P. Hoekstra, 2004. Seasonal variation of hydrodynamics and sediment dynamics in a shallow subtropical estuary: the Ba Lat River, Vietnam. Estuar. Coast. Shelf Sci., 60: 529?540. 

  26. Webster, I.T. and P.W. Ford, 2010. Delivery, deposition and redistribution of fine sediments within macrotidal Fitzroy Estuary/Keppel Bay: Southern Great Barrier Reef, Australia. Cont. Shelf Res., 30: 793?80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