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봉독이 여드름 균으로 유도된 염증성 동물모델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Bee Venom on Propionibacterium acnes-induced inflammatory Skin Disease in Mice 원문보기

생약학회지, v.42 no.4 = no.167, 2011년, pp.366 - 370  

이우람 (대구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병리학교실) ,  박지현 (대구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병리학교실) ,  김경현 (대구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병리학교실) ,  안현진 (대구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병리학교실) ,  한상미 (농촌진흥청 농업과학기술원 농업생물부) ,  박관규 (대구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병리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ee venom (BV) has been used as a treatment for a wide variety of ailments such as inflammatory diseases in korean traditional medicine. Despite its well documented anti-inflammatory property, it has not been fully demonstrated regarding the influence of BV against Propionibactierium acnes (P. acnes...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산 서양종 꿀벌에서 분리, 정제한 봉독이 P. acne로 유도된 염증성 피부질환 동물모델에 다양한 농도로 처리하였을 때 염증성 피부에 미치는 영향
    과 염증관련 각종 cytokine의 활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
  • acne의 효소, cytokines 및 보체와 중성구, 손상된 각질형성 세포에서 분비된 cytokines 등이 염증 유발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9) 본 연구에서는 염증성 피부질환 유도 동물모델을 이용하여 여드름성 피부질환에 봉독의 효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AB1, AB10, AB100군의 양쪽 귀에 P.
  • 그러나 대표적인 염증성 피부질환 중 하나인 여드름 발생에 봉독이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여드름 유발균인 P. acnes에 대한 봉독의 항염증 효과를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봉독은 무슨 성분으로 이루어져 있는가? 1,2) 특히, 봉독은 순수 천연물질이면서 강력한 항균, 항염증, 항암효과를 포함한 다양한 생리 및 약리작용을 가지고 있어 1990년대 이후부터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3) 봉독의 주요 성분은 약 40여 가지가 밝혀져 있고, 성분은 크게 peptide components, non peptide components, enzyme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4) 건조봉독의 약 50%를 차지하는 peptide component는 melittin, apamin, MCD peptide 등이며 이들 성분은 일반적으로 진통, 소염, 뇌하수체 호르몬 분비 촉진과 함께 혈액순환 촉진 등의 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염증성 여드름에서 P. acnes 증식 억제와 염증 반응을 감소에 이용되는 항생제는 무엇인가? 15) 특히, 세균 감염에 의해 생성되는 염증성 여드름의 경우 항생제 처리를 통해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으나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다. 최근 tetracycline, clindamycin, erythromycin 등은 P. acnes 증식 억제와 염증 반응을 감소에 이용되는 항생제이지만 항생제 내성 발생으로 인하여 지속적인 사용이 어렵고 간독성이 심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P. acne가 여드름을 발생시키는 기전은 어떠한가? acne)가 있다.11,12) P. acne는 small molecule peptide를 생산하는데 이것은 polymorphonuclear leukocyte (PMNK)를 화학적으로 유인하여 염증을 유발시키고 P. acne가 생산하는 다양한 염증성 연결인자들에 의해 면역세포를 자극하여 interleukine (IL)-8, IL-1β, TNF-α 등의 cytokine을 생산하여 피부 내 염증반응을 심화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3,14) 이러한 기전에 의해 발생된 여드름을 치료하기 위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이경인, 김수민, 김선민, 표병식 (2011) 완숙 복분자 부위별 지방산 조성과 여드름 원인균에 대한 항균 활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40(3): 466-469. 

  2. 임미라, 강상모 (2009) 여드름 피부에 미치는 함초 식이의 피부 개선 효과. J. East Asian Soc. Dirtary Life 19(5): 750-760. 

  3. Son, D. J., Lee, J. W., Lee, Y. H., Song, H. S., Lee, C. L. and Hong, J. T. (2007) Therapeutic application of anti-arthritis, pain-releasing, and anti-cancer effect of bee venom and its constituent compounds. Phaemacol. Ther. 115: 246-270. 

  4. Habermann, E. (1971) Chemistry, pharmacology and toxicology of bee, wasp and hornet venoms. In Venomous Animals and their Venoms. 3-61, Academic Press. 

  5. Assem, E. S. and Atkinson, G. (1973) Histamine release by MCDP (401), a peptide from the venom of the honey bee. Birt. Phamacol. 337-338. 

  6. Dunn, J. D. and Killion, J. J. (1988) Effect of melittin on pituitary adrenal responsiveness to stress. Acta. Endorinol. 119: 339-344. 

  7. Rudenko, S. V. and Nipot, E. E. (1996) Modulation of melittin- induced hemolysis of erythrecytes. Biokhimiia 61: 2116- 2124. 

  8. 박지현, 김경현, 한상미, 여주홍, 박관규, 이광길 (2007) 봉독이 간경화 동물 모델에 미치는 영향. 한국양봉학회지 22(2): 173-179. 

  9. 한상미, 이광길, 여주홍, 김원태, 박관규 (2009) 국내산 봉독의 여드름 유발균 및 피부 상재균 증식 억제 효과. 생약학회지 40(3): 173-177. 

  10. 하유미, 이보배, 배희정, 제경모, 김순래, 최재석, 최인순 (2009) 피부질환 원인균에 대한 자몽종자추출물과 법제유황수의 항균 효과. Journal of Life Science 19(1): 94-100. 

  11. Burton, J. L and Shuster, S. (1971) The relationship between seborrhea and acne vulgaris. Br. J. Dermatol. 84: 600-604. 

  12. Cunliffe, W. J., Holland, D. B. and Jeremy, A. (2004) Comedone formation: etiology, clinical presentation, and treatment. Clin. Dermatol. 22: 367-374. 

  13. Webster, G. F. and Leyden, J. J. (1980) Characterization of serum independent polymorphonuclear leukocyte chemotatic factors produced by P. acne. Inflammation 4(3): 261-269. 

  14. Vowels, B. R., Yang, S. and Leyden, J. J. (1995) Induction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by a soluble factor of propionibacterium acne: implications for chronic inflammatory acne. Infect immunology 63(8): 3158-3165. 

  15. 이두락, 박미연 (2007) Indocyanine Green과 805 nm Diode Laser를 이용한 여드름 치료에 대한 유효성 평가. 대한피부과학회지 46(9): 1208-1215. 

  16. Lim, Y. S., Myung, K. B., Chung N. E. and Chung W. S. (1995) A study on the MIC of antibiotics for propionibacterium acnes in patients with acne. Kor. J. Dermatol. 33: 437- 444. 

  17. 한상미, 이광길, 여주홍, 권해용, 이인경, 이명렬, 이만영, 백하주, 배기환 (2005) 전기충격법으로 채취한 국내산 봉독의 항균효과 (I). 한국양봉학회지 20(1): 53-58. 

  18. Holland, K. T., Ingham, E. and Cunliffe, W. J. (1981) A review: the microbiology of acne. J. of Applied Bacteriology 51(2): 195-215. 

  19. Jeremy, A. H., Holland, D. B., Roberts, S. G., Thomoson, K. F. and Cunliffe, W. J. (2003) Inflammatory events are involved in acne lesion initiation. J. Invest. Dermatol. 121: 20-27. 

  20. Nathan, C.F. (1987). Secretory products of macrophages. J. Clin. Invest. 79:319-326. 

  21. Salvemini, D., Korbut, R., Anggard, E. and Vane, J. (1990) Imminediate release of a nitric oxide-like factor from bonine aortic endothelial cells. Proc. Natl. Acad. Sci. 87: 6007-6015. 

  22. Lin, J. H. and Rogers, P. A. M. (1980) Acupuncture effects on the body's defense systems. A veterinary Review. Vet. Bulle. 50: 633-640. 

  23. Djeu, J. Y., Blanchard, D. L., Richards, A. L. and Fridman, H. (1988). Tumor mecrosis factor induction by Candida albicans from human antural killer cells and monocytes. J. Immunol. 141: 4047-4057. 

  24. Tracey, K. J., Wei, H., Manogue, K. R., Fong, Y., Hesse D. G. and Nguyen. H. T. (1988) Cachecin/tumor necrosis factor induces cachexia, anemia and inflammation. J. Exp. Med. 167: 1211-1227. 

  25. Beutler, B. and Cerami. A. (1989) The biology of cachectin/ TNF-a a promary mediator of the host response. Annu. Rev. Immunol. 7: 625-655.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