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 단어 이상 선택하여야 합니다.
최대 10 단어까지만 선택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생약학회지, v.42 no.4 = no.167, 2011년, pp.366 - 370
이우람 (대구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병리학교실) , 박지현 (대구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병리학교실) , 김경현 (대구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병리학교실) , 안현진 (대구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병리학교실) , 한상미 (농촌진흥청 농업과학기술원 농업생물부) , 박관규 (대구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병리학교실)
Bee venom (BV) has been used as a treatment for a wide variety of ailments such as inflammatory diseases in korean traditional medicine. Despite its well documented anti-inflammatory property, it has not been fully demonstrated regarding the influence of BV against Propionibactierium acnes (P. acnes...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봉독은 무슨 성분으로 이루어져 있는가? | 1,2) 특히, 봉독은 순수 천연물질이면서 강력한 항균, 항염증, 항암효과를 포함한 다양한 생리 및 약리작용을 가지고 있어 1990년대 이후부터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3) 봉독의 주요 성분은 약 40여 가지가 밝혀져 있고, 성분은 크게 peptide components, non peptide components, enzyme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4) 건조봉독의 약 50%를 차지하는 peptide component는 melittin, apamin, MCD peptide 등이며 이들 성분은 일반적으로 진통, 소염, 뇌하수체 호르몬 분비 촉진과 함께 혈액순환 촉진 등의 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 |
염증성 여드름에서 P. acnes 증식 억제와 염증 반응을 감소에 이용되는 항생제는 무엇인가? | 15) 특히, 세균 감염에 의해 생성되는 염증성 여드름의 경우 항생제 처리를 통해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으나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다. 최근 tetracycline, clindamycin, erythromycin 등은 P. acnes 증식 억제와 염증 반응을 감소에 이용되는 항생제이지만 항생제 내성 발생으로 인하여 지속적인 사용이 어렵고 간독성이 심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 |
P. acne가 여드름을 발생시키는 기전은 어떠한가? | acne)가 있다.11,12) P. acne는 small molecule peptide를 생산하는데 이것은 polymorphonuclear leukocyte (PMNK)를 화학적으로 유인하여 염증을 유발시키고 P. acne가 생산하는 다양한 염증성 연결인자들에 의해 면역세포를 자극하여 interleukine (IL)-8, IL-1β, TNF-α 등의 cytokine을 생산하여 피부 내 염증반응을 심화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3,14) 이러한 기전에 의해 발생된 여드름을 치료하기 위 |
임미라, 강상모 (2009) 여드름 피부에 미치는 함초 식이의 피부 개선 효과. J. East Asian Soc. Dirtary Life 19(5): 750-760.
Son, D. J., Lee, J. W., Lee, Y. H., Song, H. S., Lee, C. L. and Hong, J. T. (2007) Therapeutic application of anti-arthritis, pain-releasing, and anti-cancer effect of bee venom and its constituent compounds. Phaemacol. Ther. 115: 246-270.
Habermann, E. (1971) Chemistry, pharmacology and toxicology of bee, wasp and hornet venoms. In Venomous Animals and their Venoms. 3-61, Academic Press.
Assem, E. S. and Atkinson, G. (1973) Histamine release by MCDP (401), a peptide from the venom of the honey bee. Birt. Phamacol. 337-338.
Dunn, J. D. and Killion, J. J. (1988) Effect of melittin on pituitary adrenal responsiveness to stress. Acta. Endorinol. 119: 339-344.
Rudenko, S. V. and Nipot, E. E. (1996) Modulation of melittin- induced hemolysis of erythrecytes. Biokhimiia 61: 2116- 2124.
박지현, 김경현, 한상미, 여주홍, 박관규, 이광길 (2007) 봉독이 간경화 동물 모델에 미치는 영향. 한국양봉학회지 22(2): 173-179.
하유미, 이보배, 배희정, 제경모, 김순래, 최재석, 최인순 (2009) 피부질환 원인균에 대한 자몽종자추출물과 법제유황수의 항균 효과. Journal of Life Science 19(1): 94-100.
Burton, J. L and Shuster, S. (1971) The relationship between seborrhea and acne vulgaris. Br. J. Dermatol. 84: 600-604.
Cunliffe, W. J., Holland, D. B. and Jeremy, A. (2004) Comedone formation: etiology, clinical presentation, and treatment. Clin. Dermatol. 22: 367-374.
Webster, G. F. and Leyden, J. J. (1980) Characterization of serum independent polymorphonuclear leukocyte chemotatic factors produced by P. acne. Inflammation 4(3): 261-269.
Vowels, B. R., Yang, S. and Leyden, J. J. (1995) Induction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by a soluble factor of propionibacterium acne: implications for chronic inflammatory acne. Infect immunology 63(8): 3158-3165.
이두락, 박미연 (2007) Indocyanine Green과 805 nm Diode Laser를 이용한 여드름 치료에 대한 유효성 평가. 대한피부과학회지 46(9): 1208-1215.
Lim, Y. S., Myung, K. B., Chung N. E. and Chung W. S. (1995) A study on the MIC of antibiotics for propionibacterium acnes in patients with acne. Kor. J. Dermatol. 33: 437- 444.
한상미, 이광길, 여주홍, 권해용, 이인경, 이명렬, 이만영, 백하주, 배기환 (2005) 전기충격법으로 채취한 국내산 봉독의 항균효과 (I). 한국양봉학회지 20(1): 53-58.
Holland, K. T., Ingham, E. and Cunliffe, W. J. (1981) A review: the microbiology of acne. J. of Applied Bacteriology 51(2): 195-215.
Jeremy, A. H., Holland, D. B., Roberts, S. G., Thomoson, K. F. and Cunliffe, W. J. (2003) Inflammatory events are involved in acne lesion initiation. J. Invest. Dermatol. 121: 20-27.
Nathan, C.F. (1987). Secretory products of macrophages. J. Clin. Invest. 79:319-326.
Salvemini, D., Korbut, R., Anggard, E. and Vane, J. (1990) Imminediate release of a nitric oxide-like factor from bonine aortic endothelial cells. Proc. Natl. Acad. Sci. 87: 6007-6015.
Lin, J. H. and Rogers, P. A. M. (1980) Acupuncture effects on the body's defense systems. A veterinary Review. Vet. Bulle. 50: 633-640.
Djeu, J. Y., Blanchard, D. L., Richards, A. L. and Fridman, H. (1988). Tumor mecrosis factor induction by Candida albicans from human antural killer cells and monocytes. J. Immunol. 141: 4047-4057.
Tracey, K. J., Wei, H., Manogue, K. R., Fong, Y., Hesse D. G. and Nguyen. H. T. (1988) Cachecin/tumor necrosis factor induces cachexia, anemia and inflammation. J. Exp. Med. 167: 1211-1227.
Beutler, B. and Cerami. A. (1989) The biology of cachectin/ TNF-a a promary mediator of the host response. Annu. Rev. Immunol. 7: 625-655.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