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 문헌정보학 교과목의 실용성 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valuating the Practicalness of Library and Information Courses in Korea 원문보기

한국도서관 정보학회지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v.42 no.4, 2011년, pp.5 - 29  

노영희 (건국대학교 인문과학대학 문헌정보학과) ,  안인자 (동원대학교 아동문헌정보과) ,  최상기 (전북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초록

본 연구에서는 현재 한국 문헌정보학과에 개설된 교과목들의 현장필요성을 평가하고 교과과정의 개선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으며, 현장사서들을 대상으로 현재의 교과목운영에 대한 만족도 조사를 기반으로 구체적으로 필수 또는 핵심과목, 그리고 선택과목으로 나누어 제안하였다. 필수과목으로 사서실습, 문헌정보학개론, 정보조직학(분류목록), 정보조사 제공론, 도서관경영론, 정보검색론 등 6개 과목, 핵심과목으로 정보자료분류목록실습, 주제별정보원(참고정보원), 장서개발론, 디지털도서관론, 서지학개론, 기록관리학개론 등 6개 과목, 나머지 과목은 학교의 상황 및 교수진의 구성에 따라 선택과목으로 개설할 것을 제안한다. 또한 교육방법으로 사서실습 및 현장답사를 통한 교육, 발표 및 토론위주 교육을 제안하며, 문헌정보학 교육과정의 내실화를 위해 중요한 것은 교육주제의 최신성, 교육내용의 전문성, 교육자의 전문성 및 자질, 교육교재의 전문성, 담당과목과 담당교수의 전공상관도 제고 등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proposed to assess courses which are currently offered in the Department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and to explore directions for improvement. Based on field librarians' needs and opinions about the courses, we suggested separating the required, core, and elective courses. We pr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물론 학교에 따라서 핵심 또는 필수과목의 수가 많이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다.18)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 교과목들의 현장필요성 정도를 조사함으로써 향후 문헌정보학과에서 핵심 또는 필수과목으로 개설해야 할 과목을 선정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하고자 하였다.
  • 둘째, 위에서 도출된 각 과목에 대해 핵심(기초) 과목이라고 생각되는 곳에 체크하게 함으로써 사서들이 생각하는 핵심교과목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 이러한 여러 가지 이유로 본 연구에서는 현재 한국 문헌정보학과에 개설된 교과목들의 현장필요성을 평가하고 현장에 필요한 교과목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또한 현장사서들에게 현재의 교과목 운영에 대해 얼마나 만족하고 있는지에 대한 조사도 수행함으로써 교과과정의 개선방향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교과과정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설문조사 결과 및 논의 내용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 문헌정보학과의 핵심 또는 필수과목으로 제안하고자 하는 교과목은 다음과 같다. 본 연구에서는 설문조사를 기반으로 필수 또는 핵심과목, 그리고 선택과목으로 나누어 제안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설문응답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으로 성별, 연령별, 문헌정보학교육정도, 도서관 근무경력, 도서관서비스분야, 담당업무, 소속기관별(공공, 대학, 학교 등) 특성을 조사하고 있는데, 이는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인식차이를 분석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특징들은 문헌정보학 교과목의 필요성 정도 인식에 차이를 보일 것으로 사료된다.
  • 본 연구에서는 교과과정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설문조사 결과 및 논의 내용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 문헌정보학과의 핵심 또는 필수과목으로 제안하고자 하는 교과목은 다음과 같다. 본 연구에서는 설문조사를 기반으로 필수 또는 핵심과목, 그리고 선택과목으로 나누어 제안하고자 하였다. 필수는 문헌정보학과를 졸업하기 위해 반드시 이수하여야 하는 교과목으로 제안할 수 있으며, 이수하지 못할 경우 졸업을 하지 못하게 되는 과목그룹이다.
  • 본 연구에서는 추가적으로 도서관 관종별 소속 사서들의 전공 교과목에 대한 실용성 평가를 조사하였으며, 집단간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 본 연구진은 위의 연구 질문을 해결하기 위한 설문을 개발하였으며, 설문에 대한 응답을 분석하는 과정에서 연구 질문에 대한 답변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본 절에서는 문헌정보학 교과목의 영역별 현장 필요성 인식조사결과, 교과과정 만족도 및 개선 사항 분석결과, 사서교사의 전공교과목의 실용성 평가, 그리고 관종별․담당업무별 교과목 필요성 정도에 인식결과를 종합정리함과 동시에 본 연구에서 제시할 수 있는 핵심 및 필수과목을 마지막으로 제안하고자 한다.
  • 본 절에서는 현장사서들이 생각하는 전공과목 실용성을 평가하기 위해 설문을 수행하였다. 사서 인식조사를 위한 설문조사 대상은 국내 도서관 모든 관종이며, 2010 도서관연감 에 등재된 도서관 중에 관종별로 구분하여 선정하였다.
  • 이러한 여러 가지 이유로 본 연구에서는 현재 한국 문헌정보학과에 개설된 교과목들의 현장필요성을 평가하고 현장에 필요한 교과목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또한 현장사서들에게 현재의 교과목 운영에 대해 얼마나 만족하고 있는지에 대한 조사도 수행함으로써 교과과정의 개선방향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전공교육을 이수 후 시간이 경과한 뒤에 실무지식으로 활용되는 점을 통해 문헌정보학 전공과목에 어떠한 개선이 필요하다고 보는가? 전공교육은 이수 후 수년이 경과한 후 실무지식으로 활용 된다는 점에서 현장사서들의 실용성 평가 및 실무적 수요분석 등에 기초한 미래 응용성이 강조되고 있다. 따라서 전공교수들의 인적 구성에 따라 다양하게 운영되는 국내 문헌정보학 전공과목의 문제점을 점검하고, 전문성 배양을 위한 표준화된 기본모형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더 나아가 사서의 전문직성을 강화하는 실용적 전공과정의 개발은 시급하다고 본다.
문헌정보학 교과과정 연구는 어떻게 시작되었는가? 문헌정보학 교과과정 연구의 역사는 문헌정보학의 역사와 같이 한다. 국내의 경우 1950년대에 도서관학과가 설립된 이래 교과과정에 대한 연구가 시작되었으며, 시대의 변화를 반영하면서 교과과정의 내용과 교과목은 변화되어 왔다.1) 지식정보사회에서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대학들이 학과명을 변경하고 또 그에 맞는 교과과정을 개발하는 등 많은 노력을 기울여 온 것을 알 수 있다.
문헌정보학계에는 어떤 연구가 발표되고 있는가? 또한 최근 문헌정보학계에서는 정보유통기술의 첨단화와 국제화 등 급변하는 도서관환경에 대한 적응능력을 배양하기 위해 문헌정보학 전공교육의 혁신 필요성을 공감하고, 사서의 전문성을 제고하기 위한 방편으로서 양성교육과정에 관심을 두고 문헌정보학 교과과정 개편방안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발표되고 있다. 엄영애2)는 문헌정보학 학부교과과정의 변화연구를 통해 교과목의 수가 두 배 이상 증가하는 등의 상당한 변화와 더불어 자료조직을 포함하는 변화가 없는 과목들을 보여주고 있으며, 노영희와 안인자3)는 한국문헌정보학 교과과정에 대한 변화분석 연구를 통해 학부제 도입을 전후로 한 교육과정의 변화를, 그리고 노동조4)는 문헌정보학과의 교육과정이 표준화 되어 있지 않을 뿐만 아니라 사서(사서교사)를 선발하기 위한 각종 시험에서 채택되는 교과목에 대한 교육 영역과 교육 내용이 표준화되어 있지 않아 국가고시에서 요구되는 객관성과 신뢰성을 담보하지 못하는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해결책의 하나로 한국의 문헌정보학 교육을 위한 표준교육과정을 개발하여 제안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노영희 36 1 479 

  2.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엄영애 40 2 409 

  3.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노영희 40 2 429 

  4. 한국문헌정보학회지 노동조 43 4 451 

  5. 한국문헌정보학회지 정연경 36 4 101 

  6.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한복희 30 2 179 

  7.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남영준 36 3 39 

  8. 정보관리학회지 안인자 25 1 129 

  9. 정보관리학회지 함명식 25 4 347 

  10.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김종성 35 2 371 

  11. 정보관리학회지 오경묵 23 2 185 

  12. 한국문헌정보학회지 곽동철 43 2 19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