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어린이용 목록에 대한 공공도서관 사서의 인식
Librarians' Perception of Kid's Catalog in Korean Public Libraries 원문보기

한국도서관 정보학회지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v.42 no.4, 2011년, pp.89 - 109  

노지현 (부산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다수의 어린이를 일상적으로 경험해 온 전문가의 관점을 통해 어린이의 목록 이용 과정에서 나타나는 문제점과 한계에 대해 고찰하고, 더불어 어린이용 목록의 개발에 도움이 되는 기초 데이터를 확보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번 연구에서 밝혀내고자 시도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사서들이 관찰한 어린이의 정보탐색 과정은 어떠한 특징을 가지고 있을까? 둘째, 사서들은 어린이의 목록 이용과 목록 이용 과정에서 나타나는 장애 요인에 대해 어떠한 경험을 축적하여 왔는가? 셋째, 어린이 전용 목록의 개발에 대해 우리 공공도서관 사서들은 어떠한 기대를 가지고 있는가? 마지막으로, 어린이용 목록의 개발과 관련하여 당면한 향후 과제는 무엇인가? 등이다. 연구에 필요한 데이터는 공공도서관에서 어린이 서비스를 담당하는 사서 29명을 대상으로한 설문조사와 면담조사를 통해 확보하였다. 연구의 결과, 사서들은 현행 목록이 어린이의 수준에 적합하지 않다고 느끼고 있으며, 어린이의 정보요구와 탐색행태에 기초한 어린이 전용 목록의 개발을 절실히 요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tends to provide the essential data for developing kid's catalog in Korean public libraries. Focus was on the experience and perception of librarians who have provided a service for the children. To the end,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hildren's information behavior and search behavio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18) 어린이용 목록의 개발과 관련하여 이처럼 어린이의 정보행태에 관심을 가진 이유는 이용자 집단의 특징과 요구를 파악하고, 그러한 조사결과에 기초하여 ‘어린이에게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는 탐색도구’를 마련하고자 하는데 있었다.
  • 이를 위해 어린이의 정보요구와 행태에 기초한 각기 다른 네 가지 형태의 실험 모형을 구축한 후 이들 모형에 대한 이용자의 반응을 상세히 조사하였다. 그 결과, 어린이용 목록에서는 정확한 철자입력이나 고급 수준의 탐색능력을 요구하는 방식 보다는 어린이의 관심과 요구, 흥미를 반영한 브라우징 방식이 적합하다는 등의 사실을 밝혀내고, 이에 기초한 구체적인 목록 설계 방안을 제안하였다. Borgman 외에도 Solomon, Hirsh, Nesset 등과 같은 연구자들이 유사한 연구를 진행하였는데, 이들이 몇 년에 걸쳐 진행하였던 연구의 결과는 이후 공공도서관에서 어린이용 목록을 개발하는데 근거 자료로 활용되었다.
  • 20) 기존에 저자, 표제, 주제어를 중심으로 하는 키워드 탐색보다 브라우징 방식을 전면에 내세우거나, 브라우징 탐색에서도 논리적인 주제구분보다 어린이들이 선호하는 일상적 관심이나 감성에 무게를 둔 것도 그러한 이유에서였다. 나아가, 어린이용 목록에서는 문자 대신 적절한 그림이나 그래픽으로 표현함으로써 어린이의 흥미와 관심을 유도하고자 하였다.21)
  • 다음으로, 자료 탐색의 실질적인 주체가 누구인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 질의에 대한 사서들의 답변은 ‘어린이 자신’이나 ‘보호자’가 주로 자료를 탐색하고 선택하지만, 어린이보다는 보호자에 의해 자료 탐색 및 선택이 이루어지는 비중이 조금 더 큼을 보여주고 있다(<표 2> 참조).
  • 앞서 언급하였듯이 우선은 공공도서관에서 어린이 서비스를 담당해 온 사서들로부터 수집한 데이터에 근거하여, 그들이 관찰해 온 어린이의 정보행태적 특징을 ① 어린이들이 공공도서관을 이용하는 주된 목적이 어디에 있는지, ② 어린이가 필요로 하는 자료는 주로 누가 탐색하는지, ③ 자료를 탐색할 때 어린이는 어떠한 방식을 선호하는지, 그리고 ④ 자료 탐색 또는 선택의 근거가 되는 항목은 무엇인지 등으로 나누어 살펴보고자 한다. 더불어, 사서들이 관찰해 온 어린이의 이러한 정보행태적 특징은 성인을 대상으로 한 기존의 연구결과와 어떠한 차이를 보이고 있는지에 대해서도 비교하여 논의하고자 한다.
  • 도서관협회 차원에서도‘어린이 자료에 대한 편목법’이나 ‘어린이용 목록’(kids' catalog)에 대한 포괄적인 논의를 시작하고, 일선의 도서관들이 참고할 수 있는 가이드라인을 마련하고자 노력하였다.
  • 다음으로, 이들 도서관에 근무하는 어린이실 담당사서를 대상으로 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에서는 어린이 목록에 대한 사서들의 경험과 견해를 종합적으로 파악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마지막으로, 설문조사에 참여한 사서들을 대상으로 추가적인 면담조사가 이루어졌다.
  • 어린이를 대상으로 하여 그들의 정보요구와 정보추구행태에 대해 직접 조사하고, 그러한 결과에 근거하여 어린이에게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는 목록을 제안해 볼 수도 있으나, 이에 앞서 ‘공공도서관에서 어린이 서비스를 담당하는 사서’에 주목하고자 한 이유는 다수의 어린이를 일상적으로 경험해 온 전문가의 관점을 통해 어린이들의 목록 이용 과정에서 드러나는 문제점과 한계에 대해 고찰하고, 더불어 어린이용 목록의 개발에 도움이 되는 기초 데이터를 우선적으로 확보하고자 하는데 있다.
  • 목록 탐색방식에서의 이러한 차별화에 더해, 목록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해서도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어린이의 호기심을 자극하고 독서 흥미를 유발하는 다양한 tool을 개발하고자 노력하였는데, 학년별 또는 연령별 추천자료나 읽기능력별 추천자료, 교과과정별 추천자료, 장르별 추천자료, 주제별 추천자료, 문학상 수상작 추천자료 등에 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어린이가 목록을 통해 다양한 자료에 대한 종합적이고 포괄적인 정보를 얻도록 하였다.22) 목록을 제공함에 있어서도 형식적인 수준에 그치지 않고, 자관 이용자의 특성과 요구에 대한 체계적인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그에 적합한 목록을 개발하였다.
  • 여기서 잠시 어린이 전용 목록의 개발에 대해 ‘긍정적’인 견해를 보인 사서들은 어떠한 입장을 견지하고 있는지에 주목해 보자.
  • 그렇다면 이러한 뚜렷한 차이가 존재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이에 대해 사서들은 “어린이의 경우 자료를 찾기 위해 목록을 어떻게 이용해야 하는지 제대로 알지 못하기 때문”으로 보고 있었다. 이에 어린이들이 목록을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는 근본 원인이 어디에 있는지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 다수의 어린이를 가까이에서 접해 온 사서들로서는 어린이의 목록 이용에서 드러나는 특성과 어린이의 목록 이용 과정에서 느끼는 장애요인에 대해 누구보다 많은 경험을 축적하여 왔다고 판단되었기 때문이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철저히 사서들의 경험과 육성에 근거하여, 사서들은 어린이의 목록 이용을 어떻게 보고 있으며, 어린이 전용 목록의 개발과 관련하여 과연 어떠한 것을 기대하고 있는지에 대해 파악해 보고자 하였다.
  • 이에 지금부터는 공공도서관을 이용하는 어린이의 정보행태에서 발견되는 보편적 특징에 대해 논의해 보고자 한다. 앞서 언급하였듯이 우선은 공공도서관에서 어린이 서비스를 담당해 온 사서들로부터 수집한 데이터에 근거하여, 그들이 관찰해 온 어린이의 정보행태적 특징을 ① 어린이들이 공공도서관을 이용하는 주된 목적이 어디에 있는지, ② 어린이가 필요로 하는 자료는 주로 누가 탐색하는지, ③ 자료를 탐색할 때 어린이는 어떠한 방식을 선호하는지, 그리고 ④ 자료 탐색 또는 선택의 근거가 되는 항목은 무엇인지 등으로 나누어 살펴보고자 한다.
  • 오랫동안 어린이를 대면하여 온 사서들이 경험적 수준에서 이렇게 인지하고 있다면 크게 잘못된 것 같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에 지금부터는 사서들의 경험과 견해를 빌어 ① 어린이의 목록 이용 행태와 ② 목록 이용 과정에서 드러나는 장애 요인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 이러한 상황에서 특히 눈여겨 볼만한 대목은 우리보다 앞서 어린이용 목록(kid's catalog)을 개발해 왔던 북미 공공도서관계의 사례라 할 수 있다. 이에 지금부터는 앞서 살펴본 조사결과에 기초하되, 어린이의 정보요구에 대처하고 나아가 다양한 자료에 대한 어린이의 효율적인 접근을 지원하기 위해 북미 공공도서관계에서 전개해 온 그간의 노력을 적절히 참조해 가면서 어린이용 목록의 개발과 관련하여 당면한 우리의 과제는 무엇이고, 이를 어떻게 해결해 가야 하는지에 대한 답을 찾아보고자 한다.
  • 뿐만 아니라 어린이의 자료 탐색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적절한 탐색도구나 전문가의 지원이 미흡하여, 어린이는 자료 탐색 과정에서 학부모의 도움에 크게 의존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렇다면 공공도서관의 목록은 어린이의 이러한 욕구를 충족하는데 있어 어떠한 의미를 지니고 있을까? 이에 지금부터는 어린이의 독서 활동을 효과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도구로서 도서관 목록이 얼마나 유용하게 활용되고 있는지, 나아가 어린이에게 목록은 어떤 목적에서 사용되고 있는지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 이러한 관점을 유지하면서 이번 초기 단계의 작업을 통해 필자가 밝혀내고자 시도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 첫째, 사서들이 관찰한 어린이의 정보탐색 과정은 어떠한 특징을 가지고 있을까? 둘째, 사서들은 어린이의 목록 이용과 목록 이용 과정에서 나타나는 장애 요인에 대해 어떠한 경험을 축적하여 왔는가? 셋째, 어린이 전용 목록의 개발에 대해 우리 공공도서관 사서들은 어떠한 기대를 가지고 있는가? 마지막으로, 어린이용 목록의 개발과 관련한 향후 과제는 무엇인가? 등이다. 이처럼 이 연구는 어린이의 요구와 눈높이에 맞는 어린이용 목록을 제안하기에 앞서, 어린이 서비스를 담당하고 있는 실무 사서의 경험을 통해 어린이용 목록에 대한 이론적 근거와 타당성을 확보하는데 궁극적인 목적을 두고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어린이의 독서 활동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고조되면서 무엇에 대한 관심 또한 크게 증가하고 있는가? 최근 우리 도서관계의 핵심적 화두 중의 하나는 ‘어린이’이다. 어린이의 독서 활동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고조되면서 어린이 전용 도서관의 설립은 물론이고 공공도서관의 어린이 서비스에 대한 관심 또한 크게 증가하고 있다. 공공도서관의 어린이 열람실 설치에 관한 조항을 포함하는 최초의 도서관법이 제정된 1963년 이후 제대로 된 시설조차 마련되지 못했던 공공도서관의 어린이실이 2000년대 이후에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사실만 보더라도 최근 들어 어린이 서비스에 대한 우리 도서관계의 관심이 얼마나 뜨거운지 능히 짐작할 수 있다.
이용자의 정보행태에 관한 기존의 연구들은 무엇이 정보탐색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공통적으로 주장하고 있는가? 이용자의 정보행태에 관한 기존의 연구들은 이용자의 인지적(cognitive)이며 감성적(affective)인 측면이 정보탐색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공통적으로 주장하고 있다. 이용자가 기존에 알고 있던 지식과 새로 알고자 하는 지식 간의 격차로부터 정보요구가 발생하며, 기존 지식과의 격차를 파악하고 문제를 해결하는데 도움이 되는 정보를 추구하는 과정이 곧 정보탐색 과정이라는 것이다.
어린이용 목록의 개발과 관련한 마지막 과제는 구체적인 실무 방안을 마련하고 이를 집행하는 일이라 할 수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마지막으로, 어린이용 목록의 개발에 대한 우리 사서들의 반응은 상당히 긍정적이었으나, 어린이용 목록을 누가, 어떤 식으로 개발할 것이냐 하는 구체적인 실행 방안에 대한 우려와 근심이 존재하고 있음을 분명하게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반응은 어린이의 요구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기에는 개별 도서관과 사서들의 상황이 결코 만만치 않다는 데서 비롯되고 있었다. 따라서 어린이용 목록의 개발과 관련한 마지막 과제는 구체적인 실무 방안을 마련하고 이를 집행하는 일이라 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김종성 39 2 469 

  2. 한국비블리아학회지 김혜주 18 1 169 

  3.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사공복희 38 3 353 

  4. 한국비블리아학회지 유재옥 20 4 5 

  5.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윤정옥 37 2 317 

  6. 한국문헌정보학회지 정진수 45 1 417 

  7. 한국비블리아학회지 정진수 20 4 101 

  8. Journal of the American Society for Information Science and Technology Borgman, Christine L. 46 9 663 10.1002/(SICI)1097-4571(199510)46:9<663::AID-ASI4>3.0.CO;2-2 

  9. Journal of the American Society for Information Science and Technology Cooper, Linda Z 53 11 904 10.1002/asi.10130 

  10. Library Quarterly Druin, Allison 75 1 20 10.1086/428691 

  11. Library Trends Hirsh, Sandra G 45 4 725 

  12. Information Services and Use Kulper, Ute 17 2 207 

  13. School Library Media Quarterly Moore, P.A. 19 161 

  14. School Library Journal Sandlian, Pam 41 22 

  15. Journal of the American Society for Information Science Solomon, Paul 44 5 245 10.1002/(SICI)1097-4571(199306)44:5<245::AID-ASI1>3.0.CO;2-# 

  16. Advances in Librarianship Walter, Virginia A 18 111 10.1108/S0065-2830(1994)000001800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