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어린이도서관 온라인목록의 인터페이스 분석
An Analysis of Online Catalogs' Interface of Children's Libraries 원문보기

정보관리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v.29 no.1 = no.83, 2012년, pp.63 - 94  

사공복희 (전남대학교 사회과학대학 문헌정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어린이도서관 온라인목록의 인터페이스를 분석하여 문제점을 진단하고, 기존시스템의 개선과 새로운 시스템의 설계 시에 고려해야 할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먼저 국가도서관통계시스템에 2011년 12월 현재 등록되어 있는 공공어린이도서관 77개관의 홈페이지에 접근하여 온라인 검색 기능이 제공되고 있는 시스템을 분석하고, 추가로 확인 가능한 어린이도서관 온라인목록을 분석하였다. 인터페이스의 특성을 약간 달리하더라도 동일한 유형의 시스템을 사용하는 어린이도서관의 수를 확인하여 많은 수의 도서관이 사용하는 시스템 유형을 우선적으로 분석의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또한 소수의 도서관이 사용하는 시스템이라도 그 특성을 달리하는 시스템을 분석 대상에 포함시켰다. 위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선정된 분석 대상 온라인목록의 유형은 총 7가지이다. 7가지 유형에 대하여 각각 검색방식, 검색결과의 제시화면, 용어 사용상의 문제, 제공하는 기능의 측면에서 분석하여 문제점을 진단하고 개선방향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and evaluate the characteristics of online catalogs' interface of children's libraries, and to propose how to design user-friendly interfaces. The online catalogs of 77 children's libraries which are registered on the National Library Statistics System as of ...

주제어

참고문헌 (17)

  1. 사공복희 (2007). 초등학교 도서관 온라인목록의 인터페이스 분석. 정보관리학회지, 24(3), 149-178.(Sakong, B. H. (2007). An analysis of online catalogs' interface of elementary school libraries.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24(3), 149-178.) 

  2. 윤정옥 (2007). 공공도서관 어린이용 OPAC 디스플레이의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1(3), 25-53.(Yoon, C. O. (2007). A research on the characteristics of children's OPAC displays in public librari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1(3), 25-53.) 

  3. 정광훈 (2004). 이용성평가를 기반으로 한 아동용 도서검색시스템 구현.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학과.(Jeong, K. H. (2004). Developing children's literature retrieval system based on usability test.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Korea.) 

  4. Babu, B. R., & O'Brien, A. (2000). Web OPAC interface: An overview. The Electronic Library, 18(5), 316-327. 

  5. Borgman, C. L., Hirsh, S. G., Walter, V. A., & Gallagher, A. L. (1995). Children's searching behavior on browsing and keyword online catalogs: The Science Library Catalog Project. Journal of the American Society for Information Science, 46(9), 663-684. 

  6. Carlyle, A., & Timmons, T. (2002). Default record displays in Web-based catalog. Library Quarterly, 72(2), 179-204. 

  7. Cherry, J. M. (1998). Bibliographic displays in OPACs and Web catalogues: How well do they comply with display guidelines? Information Technology and Libraries, 17(3), 124-137. 

  8. Crawford, W. (1987). Patron access: Issues for online catalogs. Boston: G. K. Hall & Co. 

  9. Hutchinson, H.B., Bederson, B.B., & Druin, A. (2005). The evolution of the international children's digital library searching and browsing interface. Retrieved Nov. 20, 2011, from http://hcil.cs.umd.edu/trs/2005-33/2005-33.htm 

  10. Guidelines for Online Public Access Catalogue (OPAC) displays: Final report. May 2005. Recommended by the Task Force on Guidelines for OPAC Displays. Munchen: K. G. Saur. 

  11. Jasek, C. (2004). How to design library Web sites to maximize usability. Library Connect Pamphlet #2. San Diego, CA: Elsevier. Retrieved Dec. 20, 2011, from http://www.elsevier.com/framework_librarians/LibraryConnect/lcpamphlet5.pdf 

  12. Koehler, E. (2009). OPAC Evaluation: Chicago public library kid's catalog Web. Retrieved Dec. 20, 2011, from http://www.elizabethkoehler.com/resources/OPAC%20Evaluation.pdf 

  13. Mi, J., & Weng, C. (2008). Revitalizing the library OPAC: Interface, searching, and display challenges. Information Technology and Libraries, 27(1), 5-22. 

  14. Shneiderman, B., & Plaisant, C. (2005). Designing the user interface: Strategies for effective human-computer interaction (4th ed.). Boston: Pearson/Addison Wesley. 

  15. Stone, D., Jarrett, C., Woodroffe, M., & Minocha, S. (2005). User interface design and evaluation. Morgan Kaufmann Publishers. 

  16. Tullis, T. S. (1981). An evaluation of alphanumeric, graphic, and color information displays. Human Factors, 23(5), 541-550. 

  17. Yang, S. Q., & Hofmann, M. A. (2010). The next generation library catalog: A comparative study of the OPACs of Koha, Evergreen, and Voyager. Information Technology and Libraries, 29(3), 141-15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