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축산물가공장 HACCP system 평가방법 개선방안
Suggestions for a better HACCP system assessment in livestock product processing plants 원문보기

韓國家畜衛生學會誌 = Korean journal of veterinary service, v.34 no.4, 2011년, pp.441 - 448  

홍종해 (강원대학교 수의과대학.동물의학종합연구소) ,  이성모 (인천시보건환경연구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ccording to the Korean government policy of expanding HACCP system application to food chain from farm to meat market, the importance of HACCP assessment to keep balance among the certified HACCP plants is urged.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recommend more effective HACCP assessment methods. W...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처럼 평가기관이 다원화되면서 평가의 효율성 제고와 기관 간의 표준화 노력이 중요한 과제가 되었다. 이번 연구는 HACCP 도입 초기에 작성된 현행 평가방법을 개선하기 위하여 평가방법의 문제점을 분석하여 개선방안을 모색하고, 궁극적으로는 표준화된 평가방법을 제안하기 위하여 수행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HACCP 시스템 도입 시기는? 국내에서 빈번히 보고되는 축산물 및 식품안전 문제는 소비자의 불안감을 유발하는 민감한 사회현안이 되었고, 이에 따라 정부는 식품의 안전성 확보를 강화하기 위하여 1997년부터 Hazard Analysis Critical Control Point (HACCP) system 도입을 시작하였다. 1993년 제20차 Codex Alimentarius Commission 총회에서 HACCP는 현재까지 개발된 가장 효과적인 식품안전관리방법으로 인정하였고, 전 세계적으로 확대 적용되고 있기 때문이다(FAO, 2003a; 2003b; 2006).
HACCP 시스템의 도입 목적은? 국내에서 빈번히 보고되는 축산물 및 식품안전 문제는 소비자의 불안감을 유발하는 민감한 사회현안이 되었고, 이에 따라 정부는 식품의 안전성 확보를 강화하기 위하여 1997년부터 Hazard Analysis Critical Control Point (HACCP) system 도입을 시작하였다. 1993년 제20차 Codex Alimentarius Commission 총회에서 HACCP는 현재까지 개발된 가장 효과적인 식품안전관리방법으로 인정하였고, 전 세계적으로 확대 적용되고 있기 때문이다(FAO, 2003a; 2003b; 2006).
HACCP 인증의 맹점을 보완하기 위해 변화된 방향성은? 정부도 HACCP 운용 강화조치로 축산식품업체의 HACCP 인증을 3년 동안만 유효하게 하고, 재지정 혹은 연장을 받을 때는 지정심사 때와 같이 엄격한 평가를 거치도록 관계규정을 개정하였다(농림수산식품부, 2011b). 과거의 HACCP 정책이 확대적용에 중점을 두었다면, 이제는 안전성 관리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서 업체의 HACCP 운영을 강화한다는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국립수의과학검역원. 2010. 축산물위해요소중점관리기준. 

  2. 농림부.국립수의과학검역원. 2007. 축산물HACCP적용매뉴얼. 

  3. 농림수산식품부. 2011a. 축산물안전성 제고 대책. 식품안전정책위원회 기획.제도 전문위원회 보고자료. 

  4. 농림수산식품부. 2011b. 축산물위생관리법령. 

  5. 축산물위해요소중점관리기준원. 2009. HACCP 현장조사 출장 결과보고서(2007-2009). 

  6. AIB.GFTC. 2006. Hazard Analysis Critical Control Point (HACCP) Standard; Prerequisite Programs checklist, and HACCP Manual & HACCP plan checklist. Training material of Principles of HACCP Validation, Verification and Auditing. Guelph Food Technology Centre. 

  7. Barron FH. 2002. Food safety inspections: Basic compliance checklists for GMPs, GAPs, SSOPs, and HACCP. http://www.clemson.edu/psapublishing/pages/foodsc/ec708.pdf. 

  8. CFIA. 2010. Food Safety Enhancement Program Manual. http://www.inspection.gc.ca/english/fssa/polstrat/haccp/manue/fseppasae.pdf. 

  9. FAO. 2003a. Hazard Analysis and Critical Control Point (HACCP) system and guidelines for application. http://www.fao.org/docrep/005/Y1579E/y1579e03.htm. 

  10. FAO. 2003b. Recommended International code of Practice: General Principles of Food Hygiene. CAC/RCP 1-1969, Rev. 4-2003. http://www.fao.org/docrep/005/Y1579E/y1579e02.htm#bm2. 

  11. FAO. 2006. Food Safety Certification. ftp://ftp.fao.org/docrep/fao/008/ag067e/ag067e00.pdf. 

  12. FDA. 2006. Code of Federal Regulation, Food and Drug, Part 110 CGMP and Part 120 HACCP. http://www.michigan.gov/documents/MDA_cfr110_10316_7.pdf. 

  13. USDA/FSIS. 2006. Code of Federal Regulation, Animals and animal products, Part 416 Sanitation. http://ecfr.gpoaccess.gov/cgi/t/text/text-idx?cecfr&tpl/ecfrbrowse/Title09/9cfr416_main_02.tpl. 

  14. USDA/FSIS. 2008. FSIS DIRECTIVE 5000.1. http://www.fsis.usda.gov/OPPDE/rdad/FSISDirectives/5000.1Rev3.pdf. 

  15. GFTC. 2003. Food Safety and Quality Systems Audit. http://www. gftc.ca/audit-services/food-safety-and-quality-systems.aspx. 

  16. Kushner GJ, Dop MD, Hahn MJ. 1996. Guide to Food Regulatory Compliance. pp.180-188. HACCP Management Manual. CRC Press, Inc. Washington, DC. 

  17. McDonalds Co. 1996. Beef fabrication HACCP audit checklist (Rev. 4/29/96). 

  18. Wallace CA, Powell SC, Holyoak L. 2005. Development of methods for standardized HACCP assessment. British Food Journal 107: 723-74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