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상황버섯 추출물의 항산화항노화 활성 및 항균 효과, 그리고 성분분석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상황버섯 추출물의 자유 라디칼(1,1-diphenyl-2- picrylhydrazyl, DPPH) 소거활성($FSC_{50}$)은 에틸아세테이트(ethylacetate) 분획($2.94\;{\mu}g/mL$)에서 가장 큰 활성을 나타내었고, 루미놀-의존성 화학발광법을 이용한 $Fe^{3+}$-EDTA/$H_2O_2$계에서 생성된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에 대한 상황버섯 추출물의 총항산화능은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0.0072\;{\mu}g/mL$)에서 가장 큰 활성을 나타내었다. 광증감제인 rose-bengal로 증감된 사람 적혈구의 광용혈에 대한 억제 효과를 측정하였을 때 농도범위($5{\sim}50\;{\mu}g/mL$)에서 50 % 에탄올 추출물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 모두 농도 의존적으로 세포 보호 효과를 나타내었다. 타이로시네이즈의 활성 저해 효과($IC_{50}$)를 측정한 결과 50 % 에탄올 추출물($IC_{50}=6.34\;{\mu}g/mL$)에서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엘라스테이즈의 활성 저해 효과($IC_{50}$)는 에틸아세테이트분획($IC_{50}=14.08\;{\mu}g/mL$)에서 큰 효과가 나타났다. TLC, HPLC 및 LC/ESI-MS를 이용하여 상황버섯 추출물 ethylacetate 분획의 주성분을 분석하였고 hispidin 유도체인 interfungin A를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들은 상황버섯 추출물이 ROS에 대항하여 세포막을 보호함으로써 생체계, 특히 태양 자외선에 노출된 피부에서 항산화제로써 작용할 수 있으며, 특히 상황버섯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을 항산화, 항노화 및 미백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써의 응용 가능성을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the antioxidative effect, antibacterial, inhibitory effects on tyrosinase, inhibitory effects on elastase and component analysis of Phellinus linteus (P. linteus) extracts were investigated. The ethyl acetate fraction of P. linteus extracts ($2.94\;{\mu}g/mL$) showed the h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천연 항산화제를 찾아 화장품 원료로서 사용가능한 상황버섯 추출물을 제조하여 이들 추출물(혹은 분획)의 항균활성과 자유 라디칼 소거활성, 총 항산화능, 1O2로 유도된 세포손상에 대한 보호활성, 더 나아가 기능성 화장품의 원료로서 타이로시네이즈 저해 효과, 엘라스테이즈 저해 효과를 측정함으로써 항산화 및 항노화 화장품의 천연 소재로서 응용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피부노화란 무엇인가? 피부노화는 인체의 노화에 따라 피부에 나타나는 변화를 말하며 원인으로는 크게 내적요인과 외적요인으로 나눌 수 있다. 내적요인은 나이의 증가에 따른 노화현상을 말하며 외적요인은 다양한 환경적인 요소들 중 특히 매일 노출되는 신체부분에서 자외선에 의해 야기된다.
자외선은 어떻게 나뉘는가? 내적요인은 나이의 증가에 따른 노화현상을 말하며 외적요인은 다양한 환경적인 요소들 중 특히 매일 노출되는 신체부분에서 자외선에 의해 야기된다. 자외선은 UVC (200~ 280 nm), UVB (280 ~ 320 nm), UVA (320 ~ 400 nm)로 나뉘며 빛의 파장이 짧을수록 투과력이 약하고, 길면 투과력이 강하다. UVC는 파장이 짧아 대기권을 통과하지 못하기 때문에 UVB와 UVA가 피부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활성산소종의 특징은 무엇인가? 이러한 UVB와 UVA에 피부가 노출되면 생체 내 광증감제 분자에 의한 자외선 흡수로부터 typeⅠ반응과 typeⅡ반응으로 superoxide radical (O2ㆍ-), hydroxyl radical (·OH), hydrogen peroxide (H2O2), singlet oxygen (1O2)등의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이 생성된다[16]. 이러한 ROS는 macrophage나 neutrophil과 같은 면역계 세포가 외부로부터 침입한 병원균을 죽이는 유용한 역할을 하지만 세포에 산화적 스트레스(oxidative stress)를 유발하여 콜라겐 및 엘라스틴 분자의 절단, 비정상적인 교차결합 및 섬유아세포의 능력 감소 등 세포 성분들에 대한 손상을 일으켜 주름을 생성시키고 멜라닌 생성 과정에 참여하는 등 광노화를 촉진시킨다[1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G. H. Kim and H. K. Han, The effect of mushroom extracts on carbon tetrachloride induced hepatotoxicity in ra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7, 326 (1998). 

  2. H. D. Lee, Korean medicinal mushroom pictorial book, Kyohaksa, 576. 

  3. J. M. Sung, Y. B. Ryu, and D. R. Cha, Mushroom, Kyohak press, 593. 

  4. Y. Wang, S. J. Wang, S. Y. MO, S. Li, Y. C. Yang, J. G. Shi, and Phelligridimer A, A highly oxygenated and unsaturated 26-membered macrocyclic metabolite with antioxidant activity from the fungus Phellinus igniarius, Org. Lett., 7(21), 4733 (2005). 

  5. Y. Wang, S. Y. Mo, S. J. Wang, S. Li, Y. C. Yang, and J. G. Shi, A unique highly oxygenated pyrano[ 4,3-c][2]benzopyran-1,6-dione derivative with antioxidant and cytotoxic activities from the fungus Phellinus igniarius, Org. Lett., 7(9), 1675 (2005). 

  6. S. Mo, S. Wang, G. Zhou, Y. Yang, Y. Li, X. Chen, and J. Shi, Phelligridins CF: cytotoxic pyrano[4,3-c][2]benzopyran-1,6-dione and furo[3,2-c] pyran-4one derivatives from the fungus Phellinus igniarius, J. Nat. Prod., 67(5), 823 (2004). 

  7. I. K. Lee and B. S. Yun, Hispidin analogs from the mushroom Inonotus xeranticus and their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Bioorg. Med. Chem. Lett., 16(9), 2376 (2006). 

  8. I. K. Lee, Y. S. Kim, Y. W. Jang, J. Y. Jung, and B. S. Yun, New ntioxidant polyphenols from the medicinal mushroom Inonotus obliquus, Bioorg. Med. Chem. Lett., 17(24), 6678 (2007). 

  9. I. K. Lee and B. S. Yun, Highly oxygenated and unsaturated metabolites providing a diversity of hispidin class antioxidants in the medicinal mushroom Inonotus and Phellinus, Bioorg. Med. Chem., 15(10), 3309 (2007). 

  10. E. H. Hwang, J. R. Kim, T. S. Jeong, S. Lee, M. C. Rho, and S. U. Kim, Phellinsin A from Phellinus sp. PL3 exhibits antioxidant activities, Planta Med., 72(6), 572 (2006). 

  11. B. S. Min, B. S. Yun, H. K. Lee, H. J. Jung, H. A. Jung, and J. S. Choi, Two novel furan derivatives from Phellinus linteus with anti-complement activity, Bioorg. Med. Chem. Lett., 16(12), 3255 (2006). 

  12. S. J. Kim and I. J. Kang, Evaluation of the antioxidant activity of the fruiting body of Phellinus linteus using the on-line HPLC-DPPH method, J. Korean Soc. Appl. Biol. Chem., 52(5), 472 (2009). 

  13. H. Muramatsu, K. Kogawa, M. Tanaka, K. Okumura, K. Koike, T. Kuga, and Y. Niitsu, Superoxide dismutase in SAS human tongue carcinoma cell line is a factor defining invasiveness and cell motility, Cancer Res., 55, 6210 (1995). 

  14. I. H. Park, S. K. Chung, K. B. Lee, Y. C. Yoo, S. K. Kim, G. S. Kim, and K. S. Song, An antioxidant hispidin from the mycelial cultures of Phellinus linteus, Arch. Pharm. Res., 27(6), 615 (2004). 

  15. S. N. Park, Antibacterial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of Quercus acutissima carruth leaf extracts and isolation of active ingredients, J. Soc. Cosmet. Scientists korea, 35(2), 159 (2009). 

  16. S. N. Park, Skin aging and antioxidant, J. Soc. Cosmet. Scientists Korea, 23(3), 75 (1997). 

  17. R. Kahl and H. Kappus, Toxicology of the synthetic antioxidants BHA and BHT in comparison with the natural antioxidant vitamin E, Z. Lebensm. Unters. Forsch, 196(4), 329 (199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