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소 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에 대한 인식과 안전간호활동 수행 정도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Culture and Safety Care Activity among Nurses in Small-Medium Sized General Hospitals 원문보기

간호행정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17 no.4, 2011년, pp.462 - 473  

이나주 (제주한마음병원 QI팀) ,  김정희 (제주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the perception of patient-safety-culture and the level of safety-care-activity among nurses in small-medium sized general hospitals. Method: Data were collected during April and May 2011, from 241 nurses of five hospitals. A hospital su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안전한 의료서비스 제공과 환자안전은 의료서비스의 질 향상을 위하여 필수적이며,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에 대한 인식은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는 일개 지역 중소병원 간호사들을 대상으로 환자안전문화 인식 및 안전간호활동 수행 정도를 알아보고 간호사의 안전간호활동수행에 미치는 관련요인을 파악하고자 수행되었다. 그 결과, 중소병원 간호사들의 환자안전문화 인식 및 안전간호활동 수행 정도는 ‘보통’ 수준으로, 간호사들은 의료과오 보고에 대한 인식은 높으나, 병원 내 의료과오보고 및 개선과 관련하여 개방적으로 의사소통하는 것에 대한 인식은 낮았다.
  • 본 연구는 중소병원 간호사들의 환자안전문화 인식과 안전간호활동 수행 정도를 알아보고, 간호사들의 안전간호활동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 본 연구는 중소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들을 대상으로 환자안전문화 인식과 안전간호활동수행에 미치는 관련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시도하였으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는 중소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들을 대상으로 환자안전문화 인식과 안전간호활동수행에 미치는 관련요인을 파악하고 병원 내 환자안전을 증진 시킬 수 있는 병원정책 개발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환자의 안전 및 질적인 의료서비스에 대한 새로운 위협에는 어떠한 것들이 있는가? 최근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병원을 이용하는 환자와 보호자 등 의료소비자들의 양질의 의료서비스에 대한 요구, 특히 안전한 의료 환경에서의 질적인 의료서비스를 받고자 하는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의료서비스의 전문화, 대형화, 분업화됨에 따른 의료서비스 제공 과정의 복잡성 증가, 원활하지 못한 의료인간의 의사소통, 의료정보의 과잉과 환자의 치료결과에 대한 기대치 증가, 환자중증도 및 취약성 등은 환자의 안전 및 질적인 의료서비스에 대한 새로운 위협이 되고 있다(Kim, Kil, Min, Jung, & Choi, 2009; Park, 2008). 미 국립의학연구소(Institute of Medicine [IOM], 2001)에 따르면, 병원에서의 의료과오가 미국인 사망원인의 8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이로 인한 사망자 수가 연간 44,000~98,000 명으로 추정된다.
환자안전문화 인식과 안전간호활동수행에 미치는 관련요인을 파악하는 연구의 구체적인 연구목적은? 1) 중소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 인식과 안전간호활동 수행정도를 파악한다. 2) 간호사의 인구사회학적 및 직무관련 특성에 따른 환자안전문화 인식과 안전간호활동 수행 정도의 차이를 파악한다. 3)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 인식과 안전간호활동 수행 정도 간의 관련성을 파악한다. 4) 잔호사의 안전간호활동 수행 정도에 미치는 요인을 파악한다.
환자안전문화란? 환자안전문화란, 의료서비스 제공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환자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조직 내 공동의 믿음, 가치, 지속적인 탐구를 바탕으로 한 통합된 개별적 및 조직적 행동 패턴으로(Kizer, 1999), 본 연구에서는 병원 내 환자안전관련 조직문화에 대한 간호사들의 인식정도를 말하며(Park, 2008), Kim 등(2007)이 한국어로 번역하여 사용한 미국 Agency for Healthcare Research and Quality [AHRQ] (2004)의 환자안전문화조사도구(Hospital Survey on Patient Safety Culture, [HSPSC])를 수정ㆍ보완한 도구로 측정한 점수를 말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gency for Healthcare Research and Quality (2004). Hospital survey on patient culture (NO. 04-0041). AHRQ publication. Retrieved at April, 2010, from http://www.ahrq.gov/ qual/patients afetyculture/hospsurvindex.htm. 

  2. Aspden, P., Corrigan, J. M., Wolcott, J., & Erickson, S. M. (Eds.) (2004). Patient safety: achieving a new standard for care.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y Press. 

  3. Carmel, M. H., & Kate, L. L. (2006). Nurses' and nursing assistants'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culture in nursing homes. International Journal for Quality in Health Care, 18(4), 281-286. 

  4. Choi, J. H., Lee, K. M., & Lee, M. A. (2010). Relationship between hospital nurses' perceived patient safety culture and their safety care activities.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17(1), 64-72. 

  5. Choi, M. H. (2010).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culture and influencing the factors among hospital worker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eimyung University, Daegu. 

  6. Faul, F., Erdfelder, E., Buchner, A., & Lang, A. (2009). Statistical power analyses using G*Power 3.1: tests for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es. Behavior Research Methods, 41, 1149-1160. 

  7. Institute of Medicine (2001). Crossing the quality chasm: a new health system for the 21st century.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ies Press. 

  8. Je, W. Y. (2007). Hospital worker's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culture in a university hospital. Unpublished master's thesis, Sungkyunkwan University, Seoul. 

  9. Jeong, J., Seo, Y. J., & Nam, E. W. (2006). Factors affecting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at nursing divisions of two university hospital. Korea Society of Hospital Administration, 11(1), 91-109. 

  10. Kim, J. E., Ahn, K. E., & Yoon, S. H. (2004). Nurses perception of the hospital environment and communication process related to patient safety in Korea.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Medical Informatics, 10(suppl 1), 130-135. 

  11. Kim, J. E., Kang, M. A., Ahn, K. E., & Sung, Y. H. (2007). A survey of nurses'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related to hospital culture and reports of medical error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13, 169-179. 

  12. Kim, J. H. (2007). Analysis of the nursing interventions performed by nurses working in small-medium sized hospitals using Nursing Interventions Classification [NIC].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3(4), 431-444. 

  13. Kim, M. A., Park, K. O., You, S. J., Kim, M. J., & Kim, E. S. (2009). A survey of nursing activities in small and medium­size hospitals: reasons for turnover.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15(1), 149-165. 

  14. Kim, Y. E. (2009). Perceptions of patient safety culture of hospital nurs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onbuk University, Jeonju. 

  15. Kim, Y. M., Kil, Y. K., Min, J., Jung, Y. Y., & Choi, E. K. (2009). Safety care. Seoul: Korean Nurses Association. 

  16. Kizer, K. W. (1999). Large system change and culture of safety. In Scheffler, A. & Zipperer, M. A. (Eds). Enhancing patient safety and reducing errors in Health care. Chicago, IL: National Patient Safety Foundation. 

  17. Lee, K. H., Lee, Y. S., Park, H. K., Rhu, J. O., & Byun, I. S. (2011). The influences of the awareness of patient safety culture on safety care activities among operating room nurse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17(2), 204-214. 

  18. Korea Institute for Healthcare Accreditation. (2010). 2010 Healthcare accreditation standard (plan), Seoul: Ministry of Health & Welfare. 

  19. Lee, K. M. (2001). A study on the nurse's civil liability. Unpublished master's thesis, Yeungnam University, Daegu. 

  20. Lee, Y. J. (2011). Patient safety culture and management activities perceived by hospital nurs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Eulji University, Daejeon. 

  21. Meterko, M. (2004). Teamworks culture and patient satisfaction in hospitals. Medical care, 42(5), 492-498. 

  22. Milligan, F., & Dennis, S. (2004). Improving patient safety and incident reporting. Nursing standards, 19(7), 33-36. 

  23. Nam, M. H. (2010). The cognition level on the patient safety and safe nursing activities among hospital nurses in Busa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Inje University, Busan. 

  24. National Patient Safety Agency. (2004). Seven steps to patient safety: an overview guide for NHS staff. London: National Health Service. 

  25. Park, H. O. (2003). Medical evaluation, it should be helpful to nurses' empowerment. The Korean Nurse, 46(4), 248. 

  26. Park, S. J. (2008). A study on hospital nurse's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culture and safety care activity. Unpublished master's thesis, Dong-A University, Busan. 

  27. Yang, H. Y. (2009). A study on the effect of perception of hospital nurses toward the patient safety culture on the safety nursing activity-focusing on Suncheon Reg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Suncheon National University, Suncheon. 

  28. You, S. J., Chang, H. S., Kim, M. K., Choi, Y. K., Sung, Y. H., Kim, E. S., & Kwag, W. H. (2005). Study of utilization of nursing personnel by types of medical institutions. Clinical Nursing Research, 13(1), 157-172. 

  29. Waring, J. J. (2004). A qualitative study of the intra-hospital variations in incident reporting. International Journal for Quality in Health Care, 16(5), 347-352. 

  30. Wu, A. W., Folkman, S., Mcphee, S. J., & Lo, B. (1991). Do house officers learn from their mistakes? Journal of America Medical Association, 265, 2089-209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