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소설 "토지"를 통한 구한말에서 일제강점기의 음식문화 연구
Study on Food Culture During the Late Chosun dynasty and Japanese Colonial Period in the Novel "Toji" 원문보기

韓國食生活文化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Culture, v.26 no.6, 2011년, pp.539 - 553  

김미혜 (호서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 ,  정혜경 (호서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intended to examine the continuance and transformation of food culture during the enlightenment and Japanese ruling era by analyzing the novel of "Toji". In the novel "Toji", the chaotic political and economic situation is reflected, along with the peoples' hard lives in the latter er...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일제강점기 도시화에 따른 매식(買食)문화의 발달은 어떤 현상의 계기가 되었는가? 『토지』에 등장하는 음식점 역시 술과 음식을 동시에 파는 분화되지 않고 전문화 되지 않은 모습을 보이고 있었다. 또한 도시화에 따른 매식(買食)문화의 발달은 다양한 매체의 발달과 함께 이 시기에 특정 지역에서만 맛볼 수 있었던 향토음식이 다른 지역에 까지 널리 알려지기 시작하는 계기가 되었다.
토지에서 개화기와 일제강점기의 음식문화의 지속과 변용을 엿볼 수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즉, 이 시기 식생활상의 모습을 고스란히 반영하고 있는 당시의 자료가 녹아 있다.『토지』에서 개화기와 일제강점기의 음식문화의 지속과 변용을 엿 볼 수 있는 이유는 사건이나 현상을 단순히 기술하고 있는 것이 아니라 삶으로서 직접 체험한 작가가 새로운 창작활동을 통해재 반영한 것이기 때문이다.
『토지』의 북간도 한인사회 묘사에 자주 등장하는 호떡이 우리나라에 들어오기 시작한 것은 언제로 알려졌는가? 소설『토지』의 북간도 한인사회 묘사에서 아이들이 호떡을 먹는 모습들이 자주 보인다. 호떡은 우리나라에 정확히 언제 들어왔는지 알 수 없으나 ‘오랑캐 호(胡)’자에서 따온 떡이라는 게 다수설이다. 오랑캐의 떡이 우리나라에 본격 들어오기 시작한 것은 화교(華僑)가 들어오면서 부터로 알려졌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1)

  1. 고석규. 2008. 우리는 지난 100년 동안 어떻게 살았을까-문화, 그 말의 출처는. 역사비평사. 서울. pp 61-75 

  2. 농촌진흥청 편. 2010. 고농서국역총서17, 감저경장설(甘藷耕藏說)(작자 미상. 조선시대). 농촌진흥청. 수원. p 79 

  3. 농촌진흥청 편. 2010. 구황방고문헌집성-조선의 구황방, 구황촬요(救荒撮要)(이택 1554). 농촌진흥청. 수원 pp 57-67 

  4.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소. 2010. 개화기에서 일제강점기까지 한국문화자료총서-음식문화관련 자료집. 민속원. 서울. pp 19-22 

  5. 박경리. 2010. 토지(土地). 나남. 경기 파주. 전 21권 

  6. 박명규. 1995. 토지와 한국 근대사: 사회사적 이해. 솔. 서울. p 126 

  7. 손정목. 1996. 일제강점기 도시화 과정 연구. 일지사. 서울. p 57 

  8. 신용하. 2001. 일제 강점기 한국민족사. 서울대학교 출판부. 서울. pp 5-528 

  9. 염정섭. 2009. 조선시대 구황서 편찬과 구황식품의 활용. 농촌진흥청. 수원. pp 53-65 

  10. 오카다 데쓰. 2007. 정순분 옮김. 돈가스의 탄생-튀김옷을 입은 일본근대사. 뿌리와 이파리. 서울. pp 149-151 

  11. 오쿠보 히로코. 2004. 이언숙 옮김. 에도의 패스트푸드. 청어람미디어. 서울. pp 8-80 

  12. 이대한. 2002. 해방 후 1950년대의 경제. 삼성경제 연구소. 서울. pp 17-41 

  13. 이상희. 2009. 한국의 술문화 I. 선. 서울. pp 76-82 

  14. 이성우 편. 1992. 한국고식문헌집성(I), 산림경제(山林經濟)(홍만선. 1715년경). 수학사. 서울. pp 321-351 

  15. 이성우 편. 1992. 한국고식문헌집성(V), 해동죽지(海東竹枝)(최영년. 1925). 수학사. 서울. p 1792 

  16. 이성우 편. 1992. 한국고식문헌집성(V), 간편조선요리제법(이석만. 1934). 수학사. 서울. p 1931 

  17. 임송산. 1985. 재난구제사(災難救濟史). 법수출판사. 서울. pp 5-294 

  18. 이재선. 2002. 현대소설의 서사시학. 학연사. 서울. p 232 

  19. 조선농회. 2010. 구황방고문헌집성-일제강점기의 구황방, 조선의 구황식물(朝鮮の救荒植物)-기호(畿湖) 이북산 중심 (우에키 호미키(植木秀幹). 1919). 농촌진흥청. 수원. p 51 

  20. 조희제. 1987. 산미증산계획에 있어서 한국의 농촌경제구조: 식민지지주경영과 농업금융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석사학위. 연세대학교. pp 3-50 

  21. 정인경. 2008. 과학기술의 도입, 그 환희와 절망. 한국역사연구회. 우리는 지난 100년 동안 어떻게 살았을까-삶과 문화 이야기. 역사비평사. 서울. pp 18-28 

  22. 정혜경. 2009. 천년한식견문록. 생각의 나무. 서울. pp 304-305 

  23. 주영하. 2006. 음식전쟁 문화전쟁. 사계절. 경기 파주. pp 136- 218 

  24. 진주문화원. 2001. 진주의 역사와 문화: 역사와 전통이 살아 숨쉬는 고장-진주. 진주문화원. 경상남도. p 157 

  25. 최상진 편. 2007. 조선의 상식, 조선 상식 문답(최남선. 1946). 두리미디어. 서울. p 95 

  26. 한복진. 2007. 우리가 정말 알아야 할 우리 음식 백가지 I. 현암사. 서울. p 180 

  27. An SW. 2004. A Study on (The Land) and the Chronotope of the Road. The Journal of Korean Fiction Research, 21: 205-221 

  28. Cho YA. 2003. Study of Space in Park Kyong-ni`s novel Toji. Korean J. The Learned Society of Korean Modern Literature, 21:287-326 

  29. Choi BS. 2005. The Policy Context of the Agricultural Land Registration Project in the Japanese Colonial Era: Focused to the Local Administrative Perspectives. Korean J. Association for Korean public administration history, 17:153-173 

  30. Chung HJ. 1992. A Study on relief policy in late Yi dynasty. Ph. D. Dissertation. ewha University. pp 2-225 

  31. Heelasawa AK. 2008. The process of establishment of the industrial policy of the government general and the Japanese entrepreneurs in the early 1920's. MS Thesis. Yonsei University. pp 1-3 

  32. Joo YH. 2008. Modern Continuance and Differentiation of 'Chumak(酒幕)': A Study on Modernity of Korean Restaurants. Korean J. The Society of Practice Folkloristics, 11: 5-28 

  33. Kim JY. 2004. A Study on the Spatial Experience and Representation of the Japan-Studied Students in Modern Times. Korean J. The Korean Language and terature, 32: 241-272 

  34. Kim KT, Kim SS, Lee SH, Kim DM. 2003. The Functionality of Barley Leaves and its Application on Funtional Foods. Korean J. Food science and industry, 36(1):45-49 

  35. Kim TK. 2010. The social and cultural conditions and the movements of establishing Middle school in LongJing in 1920's. Korean J. The Historical Association of Soong Sil, 25:183-206 

  36. Lee GL. 2006. A study on family ideology reflected on the Park Kyun-Ri's Novel. Ph. D. Dissertation. Soongsil University. pp 5-205 

  37. Lee SJ. 2005. History of Jinju Area under the Japanese Colonial Rule, Park Kyong-ni's Toji. Korean J. The Learned Society of Korean Modern Literature, 27:95-131 

  38. Lee MH. 2008. Post-colonial Feminism Shown in Toji Written by Park Kyeongni: Centered on Nationalism, Culture, and Differance Used as Resistance Consciousness. Korean J. Thesises on Korean literature, 49:139-162 

  39. Lee SJ. 2009. The East Asian Cities in Toji, Criticism on Colonialism and Materialism. Korean J. The Learned Society of Korean Modern Literature, 37:385-413 

  40. Miyazaki Y, Tokunaga Y, Takagaki K, Tsusaki S, Tachibana H, Yamada K. 2001. Effect of Dietary Cabbage Fermentation Extract and Young Barley Leaf Powder on Immune Function of Sprague-Dawley Rats. Journal of nutritional science and vitaminology, 47(3): 253-257 

  41. Yang L, Mickelson S, See D, Blake TK, Fischer AM. 2004. Genetic analysis of the function of major leaf proteases in barley (Hordeum vulgare L.) nitrogen remobilization. Journal of experimental botany, 408: 2607-261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