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차광재배 가루녹차의 이화학적 품질 특성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hade-cultivated Powdered Green Teas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43 no.6, 2011년, pp.719 - 722  

이란숙 (한국식품연구원) ,  박종대 (한국식품연구원) ,  차환수 (한국식품연구원) ,  김종태 (다미안) ,  김상희 (한국식품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대차12호와 야부기다 품종을 녹차를 85% 차광률로 15일간 재배한 후 제조한 가루녹차를 대상으로 카테킨, 카페인, 테오브로민, 테아닌, 루테인, 클로로필 및 색도를 비교 분석하였다. 총카테킨 함량은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며 비 gallate형 카테킨 함량은 대차12호가 유의적으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p<0.01). 개별 카테킨 함량은 2종류 가루녹차 모두 EGCG, EGC, ECG, EC, GCG, GC 및 C의 순으로 함유되어 있었다. 테아닌 함량은 대차 12호가 2.99g/100g, 야부기다 2.27g/100g으로 대차12호에 32% 높게 함유되어 있었으며 카페인 함량 또한 대차12호에 14% 높게 함유되어 있었다(p<0.01). 루테인 및 클로로필 분석 결과 대차12호가 루테인은 약 15%, 총클로로필 함량은 약 28% 더 높게 함유되어 있었다(p<0.001). 색도 분석 결과 L값은 야부기다에서 유의적으로 더 높게 나타났으며(p<0.05), 녹색도를 나타내는 a의 음의 값과 b값은 대차12호에서 유의적으로 더 높음을 알 수 있었다(p<0.01). 본 실험결과, 대차12호는 기존 말차용 품종인 야부기다와 비교하여 카테킨 함량은 낮고 그 외 녹차성분인 테아닌, 카페인, 테오브로민, 루테인 및 클로로필 함량과 녹색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대차12호는 가루녹차 제조용 녹차 품종으로 적합한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Daecha-12 and Yabukita varieties of powdered green teas were grown under 85% shade-cultivated condition, and their physicochemical properties were analyzed. Total catechin content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ut, non-gallated catechin content in Daecha-12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HPLC 분석을 위해 multiwavelength detector(MD-2010 Plus)를 장착한 HPLC system(JASCo Co.)을 이용하여 XTerra RP18 column (3.5 µm, 4.6×150 mm, Waters)을 사용하여 분리하였다.
  • HPLC 분석조건은 Hu 등의 방법(11)을 변형하여 multiwavelength detector (MD-2010 Plus)를 장착한 HPLC system(JASCo Co., Tokyo, Japan)을 이용하여 XTerra RP18 column(3.5 µm, 4.6×150 mm, Waters, Milford, MA, USA)을 사용하여 분리하였다.
  • 즉 가루녹차 10 mg을 2 mL용 microtube에 취한 후 80% cold acetone 1 mL을 가하여 1분간 교반 추출 후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을 얻었다. 가루녹차에 함유된 루테인 및 클로로필이 완전 용출되도록 이 과정을 3회 반복하여 실시 후 상등액을 모두 합하여 membrane filter하였으며 HPLC 분석용 시료로 사용하였다. HPLC 분석을 위해 multiwavelength detector(MD-2010 Plus)를 장착한 HPLC system(JASCo Co.
  • 가루녹차의 루테인 및 클로로필 분석을 위한 시료 조제 및 HPLC 조건은 Caldwell 등의 방법(12)을 변형하여 사용하였다. 즉 가루녹차 10 mg을 2 mL용 microtube에 취한 후 80% cold acetone 1 mL을 가하여 1분간 교반 추출 후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을 얻었다.
  • 대차12호와 야부기다 품종을 녹차를 85% 차광률로 15일간 재배한 후 제조한 가루녹차를 대상으로 카테킨, 카페인, 테오브로민, 테아닌, 루테인, 클로로필 및 색도를 비교 분석하였다. 총카테킨 함량은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며 비 gallate형 카테킨 함량은 대차12호가 유의적으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p<0.
  • 지금까지 가루녹차에 관한 연구로는 가루차용 차엽의 저장 중 성분변화, 한일 말차의 성분비교, 가루녹차를 첨가한 제품 개발, 시판 가루녹차의 이화학적 특성비교 등의 연구(7-11)가 일부 진행되었으나 품종에 따른 가루녹차의 성분변화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녹색이 강하여 가루녹차용으로 적합한 야부기다와 병충해에 강하고 다수성이며 주로 우롱차 제조용으로 사용되는 대차12호를 대상으로 차광재배 후 가루녹차 제조 후 카테킨, 카페인, 테오브로민, 테아닌, 루테인, 클로로필 및 색 등 성분특성을 비교하였다.
  • 우리나라에서 재배되고 있는 녹차 품종으로는 광주, 보성, 하동 등에서 재배되고 있는 우리나라 자생종인 재래종, 일본에서의 점유 비율이 80% 이상이며 제주도, 강진, 해남지역에서 주로 재배되고 있는 야부기다 및 향기가 강하여 우롱차 제조에 적합하며 우리나라에서도 생육 적응도가 우수한 품종인 대차 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다수성이며 꽃향기가 강한 대차12호 및 녹색이 강하고 떫은맛이 적어 가루녹차용으로 적합한 야부기다를 15일간 차광재배한 후 제조한 가루녹차를 대상으로 카테킨 함량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Table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카테킨 조성은 품종에 관계없이 EGCG, EGC, ECG, EC, GCG, GC 및 C의 순으로 함유되어 있었고 CG의 존재는 확인하지 못했으며 총카테킨 함량은 대차12호 16.
  • 차광재배 차엽은 생엽 채취 후 100℃에서 20초로 증열처리 후 냉각하였고 100℃에서 17분간 조유, 80℃에서 17분간 중유, 80℃에서 17분간 수건, 120℃에서 34분간 재건 및 80℃에서 30분간 건조하고 이물질 선별 후 micro air jet mill(Hankook Crusher Co., Ltd., Seoul, Korea)로 분쇄하여 10-12µm의 평균입도를 갖는 가루녹차를 제조하였으며 −20℃에 저장하면서 분석용 시료로 사용하였다.
  • 본 실험에 사용한 가루녹차는 아래와 같이 제조하여 사용하였다. 차나무는 전남 해남군 소재 다원에서 대차12호 및 야부기다를 대상으로 차잎의 새잎 2-3엽이 50% 이상 전개시 85% 흑색 화학피복재를 사용한 1단 직접피복 방법으로 15일간 차광재배 하였으며 이때 시비조건은 N-P-K의 비율을 43-7-5로 하여 질소질 구아노, 유채박, 어분, 피마자박, 채종유박 및 미강유박으로 구성된 비료를 4회 분시하였다. 차광재배 차엽은 생엽 채취 후 100℃에서 20초로 증열처리 후 냉각하였고 100℃에서 17분간 조유, 80℃에서 17분간 중유, 80℃에서 17분간 수건, 120℃에서 34분간 재건 및 80℃에서 30분간 건조하고 이물질 선별 후 micro air jet mill(Hankook Crusher Co.

데이터처리

  •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Daecha-12 and Yabukita group measured by Student’s t-test (***p<0.001).
  •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Daecha-12 and Yabukita group measured by Student’s t-test (**p<0.01).
  •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Daecha-12 and Yabukita group measured by Student’s t-test (**p<0.01, ***p<0.001).
  •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Daecha-12 and Yabukita group measured by Student’s t-test (*p<0.05, **p<0.01).
  • 모든 분석결과는 SPSS program(SPSS version 17.0, SPSS Inc., Chicago, IL, USA)를 통해 3회 반복하여 측정한 평균값과 표준편차로 나타내었으며, Student’s t-test를 실시하여 유의성을 검정하였다.
  • 차나무 품종에 따른 가루녹차의 색도는 투명한 플라스틱 원통용기(35×10 mm)에 담아 분광측색계(Minolta, CM-2500D, Tokyo, Japan)를 사용하여 CIE 체계인 L*, a*, b*를 측정하였으며 각각 3개씩 준비하여 3회 반복 측정하였으며 평균(mean)과 표준편차 (SD)로 나타내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가루녹차 이용의 장점은 무엇인가? 최근 차는 단순히 마시는 음료뿐만 아니라 차를 이용한 음식, 의약품, 건강식품, 화장품 등으로 그 이용 영역이 확대되고 있으며 특히 가루녹차는 다도용 이외에 직접음용 또는 식품 첨가소재 등으로 활용이 계속 증가하고 있다(5,6). 차의 수용성성분은 카테킨, 카페인, 아미노산 등 35-45%에 불과하며 그 중차를 우려마실 때 차성분의 20% 정도 만을 섭취하게 되는 반면가루녹차로의 이용은 수용성 및 불수용성 성분 자체를 섭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가루녹차는 차엽 재배시 차광막을 설치하여 광선의 양 및 시비 등을 조절하여 클로로필, 아미노산 등의 함량을 높여 색택과 감칠맛 등 기호성을 개선하여 분말화한 것으로 일본에서는 옥로, 전차와 함께 대표적인 녹차 제품으로 자리잡고 있다(3).
차나무 품종별 특징은 무엇인가? assamica로 분류되며 우리나라에서는 중국 소엽종의 일종인 재래종과 야부기다, 대차 등이 재배되고 있다(1-4). 재래종은 떫은맛을 내는 폴리페놀 함량이 많고 아미노산 함량은 낮은 편이며, 야부기다는 녹색이 강하고 맛이 부드러우며 떫은맛은 적고, 대차는 대만에서 육성한 조생종 품종으로 수확량이 많고 꽃향기가 강한 특징이 있다. 최근 차는 단순히 마시는 음료뿐만 아니라 차를 이용한 음식, 의약품, 건강식품, 화장품 등으로 그 이용 영역이 확대되고 있으며 특히 가루녹차는 다도용 이외에 직접음용 또는 식품 첨가소재 등으로 활용이 계속 증가하고 있다(5,6).
녹차란 무엇인가? 녹차는 동백과(Theaceae), 동백속(Camellia)에 속하는 차나무 (Camellia sinensis(L.) O. Kuntze)의 싹이나 잎을 가공한 것으로서 오랜 역사를 거치면서 각 민족의 기호에 맞게 다양하게 고안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차나무 품종은 중국 소엽종인 Camellia sinensis var.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Kim JT. Science and Culture of Tea. Borimsa Publishing Co., Seoul, Korea. pp. 157-248 (1996) 

  2. Park JH. Studied on chemical composition in Korean native tea plants. PhD thesi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ju, Korea (1997) 

  3. Chung DH. Components and Efficacy of Tea. Hongikjae, Seoul, Korea. pp. 31-73 (2004) 

  4. Willson KC, Clifford MN. Tea Cultivation to Consumption. Chapman & Hall, London, UK. pp 25-48 (1992) 

  5. Tang S, Kerry JP, Sheehan D, Buckley DJ, Morrissey PA. Antioxidative effect of added tea catechins on susceptibility of cooked red meat, poultry, and fish patties to lipid oxidation, Food Res. Int. 34: 651-657 (2001) 

  6. Lee JW, Do JH. Market trand of health functional food and prospect of ginseng market. J. Ginseng Res. 29: 206-214 (2005) 

  7. Park JH, Lim KC. Growth and constituents of tea shoots for powder green tea. J. Medicinal Crop Sci. 10: 379-383 (2002) 

  8. Kim KS, Kouzkue N, Han JS. Comparison of the ingradients at powdered green teas commercialized in Korea and Japan. Korean J. Food Culture 19: 177-183 (2004) 

  9. Jung DW, Park SI. Preparation of drinkable yoghurt added with green tea powder. Korean J. Food Nutr. 18: 349-356 (2005) 

  10. Park SI. Application of green tea powder for sikhe preparation. Korean J. Food Nutr. 19: 227-233 (2006) 

  11. Hu B, Wang L, Zhou B, Zhang X, Sun Y, Ye H, Zhao L, Hu Q, Wang G, Zeng X. Efficient procedure for isolating methylated catechins from green tea and effective simultaneous analysis of ten catechins, three purin alkaloids, and gallic acid in tea by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with diode array detection. J. Chromatogr. A 1216: 3223-3231 (2009) 

  12. Caldwell CR, Britz SJ. Effect of supplemental ultraviolet radiation on the carotenoid and chlorophyll composition of green house-grown leaf lettuce (Lactuca sativa L.) cultivars. J. Food Compos. Anal. 19: 637-644 (2006) 

  13. Lee LS, Park JD, Cha HS, Lee YM, Park JW, Kim SH.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powdered green teas in Korea. Korean J. Food Sci. Technol. 42: 33-38 (2010) 

  14. Wang H, Cai Y, Davis AP, You X. Study on bitterness and astrigency of green tea. pp. 58-59. In: Proceedings of the 7th Annual Meeting of LSSCB. July Cambridge, UK (1998) 

  15. Zang D, Kuhr S, Engelhardt UH. Influence of catechins and theaflavins on the astringent taste of black tea brews. Z. Lebensm. Unters. For. 195: 108-111 (1992) 

  16. Yamanishi T. Flavor of tea. Special issue on tea food. Food Rev. Int. 11: 477-525 (1998) 

  17. Kimura R, Murata T. Influence of alkylamides of glutamic acid and related compounds on the cetral nervous system. Central depressant effect of theanine. Chem. Pharm. Bull. 19: 1257-1261 (1971) 

  18. Kakuda T, Nozawa A, Unno T, Okamura N. Inhibiting effects of theanine on caffeine stimulation evaluated by EEG in the rat. Biosci. Biotech. Bioch. 64: 287-293 (2000). 

  19. Sagesaka Y, Kakuda T, Kawamura K. Pharmacological effect of theanine. pp. 362-365. Proceedings of the International symposium on Tea Science. Shizuoka, Japan (1991) 

  20. Anan T, Nakagawa M. Effect of light on chemical constituents in tea leaves. Nippon Nogeik. Kaishi. 48: 91-96 (1974) 

  21. Cornish HH, Christman AA. A study of the metabolism of theobromine. theophylline and caffeine in man. J. Biol. Chem. 228: 315-323 (1957) 

  22. Kim SY, Kozukue N, Han JS, Lee KR. Catechins, theaflavins and methylxanthins contents of commercial teas. Korean J. Food Cookery Sci. 21:346-353 (2005) 

  23. Takeda Y. Studies on variations in genetic resources of tea in Japan and application to tea breeding. TEA Res. J. Jpn. 1: 97-180 (2002) 

  24. Goto T, Yoshida Y, Kiso M, Nagashima H. Simultaneous analysis of individual catechins and caffeine in green tea. J. Chromatogr. A 749: 295-299 (1996) 

  25. Bone RA, Landrum JT, Tarsis SL. Preliminary identification of the human macular pigment. Vision Res. 25: 2970-2977 (1997) 

  26. Choi YM, Lim H, Kim HS, Jong SK, Lee JS. Lutein contents of soybeans (Glycine max L.) cultivated in Korea. Korean J. Food Sci. Technol. 39: 580-583 (200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